리눅스 who, w 명령어 & user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who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로그인한 사용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어로 각각의 차이가 있습니다.

✅ 리눅스 who 명령어

  • who 명령어 정의
  • 호스트에 로그인 한 사용자의 정보를 간단하게 출력
  • 명령어 위치: /usr/bin/who
현재 접속 사용자(USER)터미널 유형(TTY)접속 시간 및 IP
rockypts/0, pts/1 ..2070-02-09 10:15 (xxx.xx.xx8.254)
~]# who
rocky    pts/0        2070-02-09 10:15 (xxx.xx.xx8.254)
rocky    pts/1        2070-02-09 10:27 (xxx.xx.xx8.254)
rocky    pts/2        2070-02-09 10:28 (xxx.xx.xx8.254)
리눅스 who 명령어

✅ 리눅스 w 명령어

  • w 명령어 정의
  • 호스트에 로그인 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
  • 명령어 위치: /usr/bin/w
~]# w
 10:30:52 up 15 min,  3 users,  load average: 0.01, 0.02, 0.00
USER     TTY        LOGIN@   IDLE   JCPU   PCPU WHAT
rocky    pts/0     10:15    4:17   0.01s  0.03s sshd: rocky [priv]  
rocky    pts/1     10:27    3:16   0.00s  0.03s sshd: rocky [priv]  
rocky    pts/2     10:28    0.00s  0.00s  0.02s sshd: rocky [priv]
# load average는 5, 10, 15분 동안의 프로세스 평균 사용량을 의미
w 명령어 확인 정보설명
USER로그인 한 사용자 명
TTY터미널 정보한 정보(ex sshd, ftp 등)
LOGIN@로그인 시간
IDLE최종 명령 수행 후 대기 시간
JCPU job cpu를 뜻하며,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한 CPU 총 시간을 의미
PCPUProcess CPU 시간을 뜻하며, WHAT 필드에 나타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CPU의 총 시간을 의미
WHAT현재 접속 정보

✅ 리눅스 users 명령어

  • users 명령어 정의
  • 현재 로그인 한 사용자 이름 출력
  • 명령어 위치: /usr/bin/users
users
rocky1 rocky2 testuser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Similar Posts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 리눅스 chage 명령어

    리눅스 chage 명령어는 change age의 줄임 말로 사용자 계정의 만료 및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관리 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과 목적은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최소 사용 기간 설정, 계정의 비활성화 날짜 설정 등이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chage 명령어 옵션 ✅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 리눅스 uniq 명령어

    리눅스 uniq 명령어는 “unique”의 약자이며, 텍스트 파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하나의 행만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중복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몇 번의 반복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리눅스 uniq 명령어 기본 사용법 INPUT 파일은 대상 파일로써 표준 입력에서 읽은 후…

  • 리눅스 sort 명령어: 파일 정렬

    종류 및 분류의 사전적 의미를 가진 리눅스 sort 명령어는 아스키 파일 내용(레코드)을 정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알파벳순이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리눅스 sor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리눅스 sort 명령어 옵션 ✅ 리눅스 sort 명령어 사용 예시 기본…

  •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와 명령어 옵션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는 ‘리눅스 명령어 인수‘, ‘명령 인자‘ 등으로도 불리며,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매개변수를 뜻 합니다. 리눅스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가리킵니다. 이 값은 해당 프로그램이나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입력 값으로 사용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정의에…

  • [Linux] stat 명령어 : 파일&파일 시스템 확인

    리눅스 stat 명령어는 파일 및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