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10:30:52up15min,3users,loadaverage:0.01,0.02,0.00USERTTYLOGIN@IDLEJCPUPCPUWHATrockypts/010:154:170.01s0.03ssshd:rocky [priv] rockypts/110:273:160.00s0.03ssshd:rocky [priv] rockypts/210:280.00s0.00s0.02ssshd:rocky [priv]# load average는 5, 10, 15분 동안의 프로세스 평균 사용량을 의미
w 명령어 확인 정보
설명
USER
로그인 한 사용자 명
TTY
터미널 정보한 정보(ex sshd, ftp 등)
LOGIN@
로그인 시간
IDLE
최종 명령 수행 후 대기 시간
JCPU
job cpu를 뜻하며, 현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한 CPU 총 시간을 의미
PCPU
Process CPU 시간을 뜻하며, WHAT 필드에 나타나는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CPU의 총 시간을 의미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리눅스 chage 명령어는 change age의 줄임 말로 사용자 계정의 만료 및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관리 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과 목적은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최소 사용 기간 설정, 계정의 비활성화 날짜 설정 등이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chage 명령어 옵션 ✅ chage 명령어 사용 방법…
리눅스 uniq 명령어는 “unique”의 약자이며, 텍스트 파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하나의 행만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중복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몇 번의 반복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리눅스 uniq 명령어 기본 사용법 INPUT 파일은 대상 파일로써 표준 입력에서 읽은 후…
종류 및 분류의 사전적 의미를 가진 리눅스 sort 명령어는 아스키 파일 내용(레코드)을 정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알파벳순이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리눅스 sor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리눅스 sort 명령어 옵션 ✅ 리눅스 sort 명령어 사용 예시 기본…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는 ‘리눅스 명령어 인수‘, ‘명령 인자‘ 등으로도 불리며,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매개변수를 뜻 합니다. 리눅스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가리킵니다. 이 값은 해당 프로그램이나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입력 값으로 사용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정의에…
리눅스 stat 명령어는 파일 및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목차✅ 리눅스 who 명령어✅ 리눅스 w 명령어✅ 리눅스 users 명령어✅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