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와 상표권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지식재산권에서 산업재산권으로 분류되는 상표권상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표(trademark, trade mark, trade-mark)란 자기의 상품타인의 상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장을 말합니다.

표장이란 기호, 문자, 도형, 소리, 냄새, 입체적 형상, 홀로그램·동작 또는 색채 등으로서 그 구성이나 표현방식에 상관없이 상품의 출처(出處)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모든 표시를 말합니다(제2조 제1항 제2호)
=> 표장: 일반적으로 '무엇을 표시하기 위한 부호나 휘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1. 상표

상표는 지식재산권으로 인정되는 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두가 알고 있는 기업인 Amazon, Apple, 삼성 등의 이름 역시 상표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표

상표의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문자상표, 도형상표, 색채상표, 입체상표, 동작 및 홀로그램상표입니다. 그 외에 아직 인정되지 않는 소리, 냄새, 맛이나 동적인 표장을 상표로 등록하는 추세가 늘어나며, 미국에서는 소리상표가 상표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1.1 상표의 종류

ⓐ 문자상표

문자상표는 한글.한자.영어 및 외국어.숫자와 같은 문자로 구성된 상표를 말합니다.

ⓑ 도형상표(도형코드)

도형상표는 동물이나 식물, 사물 등의 도형을 도안화 한 것 또는 기하학적 도형들을 말하며, Apple의 사과 로고가 도형 상표에 해당합니다.

도형상표 - 애플로고

ⓒ 색채상표

색채상표란 색채 및 색채의 조합만으로 된 상표 및 기호, 문자, 도형 입체적영상.홀로그램 등을 색채에 결합한 상표를 말합니다.

ⓓ 입체상표

입체상표는 상품이나 상품의 포장 형성 등과 같은 3차원적인 입체적 형상에 기호, 문자 등 다른 구성요소와 상표의 주요 구성요소가 합쳐진 상표를 말합니다. 빙그레의바나나 우유의 음료수 병이나 코카콜라의 유리병이 입체상표에 해당합니다.

ⓔ 동작.홀로그램상표

  • 동작상표는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이미지가 변하는 상표를 말합니다.
  • 홀로그램상표는 빛의 간접효과를 이용해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가지게 한 상표를 말합니다.

1.2 상표의 기능

ⓐ 자타상품의 식별기능

상표를 상품에 표시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상표의 표시로 인하여 자기의 상품과 타인의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출처표시 기능

동일한 상표를 표시한 상품은 동일한 출처(orgin)에서 나온다는 것을 수요자에게 나타내는 기능입니다.

ⓒ 품질보증 기능

동일한 상표를 표시한 상품은 그 품질이 동일한 것으로 수요자에게 보증하는 기능입니다.

ⓓ 광고선전기능

상표의 상품에 대한 심리적인 연상 작용을 동적인 측면에서 파악한 것으로 상품 거래 사회에서 판매 촉진 수단으로서의 상표의 기능을 말합니다.

ⓔ 재산적 기능

상표가 갖는 재산적·경제적 가치로서의 기능으로서 상표의 재산적 기능은 상표권의 자유양도 및 사용권 설정 등을 통해 구현됩니다.

2. 상표권

상표권은 등록된 사욮에 대한 배타적, 독점적 권리를 말합니다.

2.1 상표권의 존속기간

‘상표권의 존속기간’은 설정 등록이 있는 날로부터 10년입니다. ‘존속기간’ 갱신 등록출원에 의하여 10년 씩 기간을 갱신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한 반 영구적인 효력을 갖게 됩니다.

2.2 권리의 이전

상표권의 이전은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소유주체를 교체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영업을 같이 하지 않아도 매매, 증여 등에 의한 자유로운 양도가 가능합니다.

2.3 상표의 사용권제도

ⓐ 전용사용권

상표권자는 타인에게 상표권에 관한 전용사용권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용사용권자는 설정 행위로 정한 범위 안에서 지정 상품에 관한 등록상표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독점하게 됩니다.

전용사용권자는 상표권자와 동일한 권리를 가지고 타인이 등록상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표를 사용할 경우 권리 침해에 대한 금지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상표권자의 동의를 얻은 경우 전용사용권을 타인에게 이전 또는 통상사용권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통상사용권

상표권자 or 전용사용권자에게 통상사용권을 부여 받은 경우 정해진 범위 내에세 지정상품에 대한 등록상표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상표권자나 전용사용권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통상사용권은 타인에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통상사용권자는 지정상품에 등록상표를 사용할 권리만 가지게 되어 권리침해에 대한 금지청구권은 없습니다.

상표 브랜드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당기법인세부채 및 당기법인세자산

    ‘당기법인세부채‘와 ‘당기법인세자산‘은 회계 상의 구분으로, 기업이 법인세를 계산하고 납부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목입니다. 목차1. 상표1.1 상표의 종류1.2 상표의 기능2. 상표권2.1 상표권의 존속기간당기법인세부채 당기법인세 부채(영어:Current Tax Liabilities)란 현재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법인세 부채로, 당기에 지불해야 할 예상 법인세액을 나타냅니다. 회사가 이미 발생한 법인세 부채를 기록하여 기업의 재무상태표에서 당기의 부채로 보고합니다. 일반적으로, 회사는 당기의 수익에 대한…

  • 보건증 발급 방법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은 요식업의 사업주 또는 직원이나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 의무적으로 발급 받아야 하는 서류입니다. 위생과에서 불시 점검 시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과태료를 물을 수 있습니다. 위생 분야 종사자인 경우 건강진단규칙에 따라 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는 관계자들은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관련 법령: 식품위생법 제 40조) 2021년 기준 보건증 발급 수수료는 3,000원입니다. 일반 병원의 발급…

  • 자기자본(총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자기자본 (owner’s capital)은 재무상태표에서 자본총계(Total Equity)로 표시하며 둘 다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으며, ‘총자본’ 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기자본이란 큰 항목으로 봤을 때 자본금 + 이익잉여금 항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초기자본금과 그동안 영업 활동을 해서 번 자금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자기자본은 상세 항목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으로 총 5가지 항목으로 나뉘게 됩니다. 목차1….

  •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A(총자산이익률) 2가지 이익률 지표

    ‘ROE와 ROA‘ 중에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의 자기 자본을 이용해서 얼마 만큼의 당기순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목차1. 상표1.1 상표의 종류1.2 상표의 기능2. 상표권2.1 상표권의 존속기간 1. ROE (자기자본이익률) 회사의 시가 총액이 100억 원이라 하더라도 ‘자기자본이익률‘과 무관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의 계산은 회사의 자산과 부채를 뺀 순수한 자본에 대한 값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시가총액=현재의 주가가 아닌)…

  • 저작권 공정 사용이란? 구글의 공정 사용 4가지 권장 사항

    저작권 공정 사용(or 저작권 공정 이용)은 저작권에서 보호되는 저작물을 저작권자의 허가를 구하지 않고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미국 저작권법 상 개념입니다. 일반적인 국가라면 예술에 포함되는 소설, 드라마, 영화, 책, TV 프로그램과 같이 저작물을 만들 사람이 저작권을 가지고 됩니다. 타인이 지식재산권에 속하는 저작권 소유자의 저작물을 허락 없이 이용할 경우 원칙적으로 타인은 저작권을 침해하는…

  • 네이버배달 수수료3% 예상

    네이버가 소상공인(SME)의 배달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N배달(가칭)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2022년 9월 5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역 음식점을 운영 중인 소상공인을 위한 네이버배달 서비스를 오픈 할 예정이다. 네이버 배달주문 서비스는 네이버주문과 네이버예약 두 가지 네이버 간편주문 서비스와 연동 될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다. 목차1. 상표1.1 상표의 종류1.2 상표의 기능2. 상표권2.1 상표권의 존속기간 1. 네이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