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세금과 시뇨리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인플레이션 세금‘이란 공식이 성립하는 이유와 ‘시뇨리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

현대 사회 ‘인플레이션 세금 공식’을 설명하기에 앞서 주조 화페(금화,은화 등)의 시뇨리지 역사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

시뇨리지Seigniorage‘는 중세 유럽의 봉건 영주를 시뇨르Seigneur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봉건 시대 국왕과 영주는 조폐소에서 금화 또는 은화를 화폐로 찍어 낼 권한을 가지고 금속의 원가 및 화폐 액면가에서 차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10원 짜리 동전 1개를 만드는 데는 10원보다 워가 비용이 더 들어갑니다.(구리 외) 반대로 만원 짜리 지폐를 만드는 데는 1,000원 이하의 제조 원가가 들어가 9,000원의 이익이 나며 액면가를 뺀 비용을 화폐주조차익, 프랑스어로 ‘Seigniorage‘라고 합니다.

중세 프랑스의 시뇨르는 금화나 은화 등을 제조할 때 실제의 금화 가치보다 더 적은 금을 다른 불순물과 함께 섞음으로서 액면가 차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1.1 로마의 인플레이션

로마가 망한 이유 중 하나는 역시 Seigniorage의 역사에서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초창기 로마의 주화(금화&은화)는 실물적 가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귀금속 함유량보다 주화의 가치는 조금 더 높았거나 비슷했을 것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주화의 무게와 함유량은 점점 변하기 시작합니다.

BC 211년 2차 포에니 전쟁 중에 발행되기 시작한 데나리우스(은화)는 여러 나라에서 인기 있는 화폐였습니다. 아우구스투스 시절 순도 100%의 화폐 였으며, 네로 황제의 개혁으로 92%로 낮아진 후에도 상업적인 가치는 지속되었습니다. 데나리우스의 순도는 점점 하락하여 기원 후 3세기에 순도가 5%까지 하락합니다.

인플레이션 세금-데나리우스

이에 ‘데나리우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A.D 284년~305년 재위)의 화폐 개혁으로 인하여 주조된 ‘안토니니아누스’가 기원전 211년에 주조되어 유통되었던 데나리우스의 두배 가격으로 대체되었습니다. 하지만 ‘데나리우스’의 명목상 두배 가치를 가진 ‘안토니니아누스’는 ‘데나리우스’의 은 함유량 1.6배보다 높았던 적이 없으며, 전쟁과 정치적 불안정성 등으로 ‘안토니니아누스’의 가치는 하락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 세금-안토니니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물러난 후 콘스탄티누스 대제(A.D 306~337년 재위)는 개혁을 시행하여 솔리두스(solidus) 금화로 데나리우스(은화)를 대체하게 되며 안정을 되찾으며, 초창기 솔리두스는 98.8%의 순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물론 솔리두스도 순도는 떨어지게 되지만 1,000년 간 유통된 화폐입니다.

시뇨리지-솔리두스 금화

2. 인플레이션 세금

Seigniorage‘ 효과를 통해 로마 시대 및 중세 봉건 시대 프랑스에서 ‘인플레이션 세금‘이란 공식이 적용되는 이유를 알아 봤습니다. 현대 사회 중앙 정부는 ‘중앙은행‘을 통해 화폐를 발행할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폐를 발행하는데 있어 주조 비용만 들어갈 뿐 발행해서 얻는 차익은 정부의 몫으로 고스란히 정부의 수익이며, 현대 사회의 Seigniorage라고 합니다. 찍어 낸 화폐는 시장에 화폐의 유통이 늘어나며 인플레이션을 가져오게 됩니다. 물가 상승은 국민이 부담하며, 화폐의 결제 중에 발생하는 부가세를 포함한 각종 세수는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현대의 Seigniorage로 인한 정부가 가져가는 금액은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 세금’ 공식은 큰 수익이 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보여집니다.

방금 설명한 이유 및 그 외 이유들로 인하여 화폐 거래를 하는 모든 이들에게 인플레이션은 세금이라는 공식이 성립할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은 일상 생활에서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세금이라는 공식을 인지하긴 어렵습니다.

화폐 발행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국채 발행처럼 민간에 부담을 주지 않는 좋은 방법인 것 같지만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을 보유한 측에는 큰 부담이 없겠지만 월급을 받는 현금소득자인 직장인은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인한 고통을 감내해야 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채권 투자전략 水

    채권을 알면 펀드 및 주식에 대한 투자 전략을 더 크게 짤 수 있습니다. 채권 투자전략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식은 소액으로도 투자 할 수 있지만 이에 반해 채권은 주식보다 거래 단위가 크고 개인 투자자가 투자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펀드를 하는 경우를 들자면 실제 펀드에 투자하며, 많은 투자자가 채권에 간접 투자를 하고…

  •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거시 경제학에서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를 말 합니다. ‘Stagflation’ 용어를 보면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영국의 보수당 정치친 이언 맥클레오드에 기인합니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동시에 높안던 시기 중 1965년 의회 연설에서 이 단어를 사용 했습니다. GDP 하락과 수요(Demand)의 하락이 있지만 물가 상승과 실업률(unemployment)이 오르는 최악의 경제 상황이라고 할…

  • 채권이란. 채권 2가지 수익: 자본이익과 이자수익 地

    채권(債權)의 사전적인 의미는 재산권의 하나로써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게 어떤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채권’의 수익은 자본이익과 이자수익으로 나뉘어 볼 수 있습니다. 금융에서 채권(Bond)은 증권의 범주에 속하고 있으며, 증권에는 주식과 증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증권이란 ‘증거가 되는 서류나 문서’이며, 유가 증권(코스피)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줄임 말로 볼 수 있습니다. 금융의 채권은 국가와 국가의 지방 자치…

  • 디스인플레이션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이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통화팽창 시기에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 통화량과 물가수준의 안정을 위한 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디스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 속도의 둔화라고 할 수 있으며 디스인플레이션이 심화될 경우 디플레이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disinflation 정책은 물가 안정 목적은 상승한 물가를 원래 수준으로 되 돌리는 것이 아닙니다. 물가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의를…

  • 디플레이션이란? 현상 및 3가지 분류

    보통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는 상승하고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디플레이션deflation은 인플레이션의 반대되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물가는 하락하고 돈의 가치는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목차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1.1 로마의 인플레이션2. 인플레이션 세금 1. 디플레이션 현상 경제에서 필요로 하는 통화수축으로 화페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물가는 하락하는 상태가 됩니다. 디플레이션 발생 시 임금과 물가가 내려가며 불황으로…

  • [경제 순환]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이란?

    현재의 민주주의 체제의 자본주의에서 경제는 끊임 없이 순환합니다. 경제 확장(Economic Expansion) 기간에는 이용 가능한 상품과 서비스가 증가함으로써 가계와 기업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입니다. 경제 팽창, ‘경기 침체’나 ‘경기 불황’ 이후라면 ‘경제 회복(Economic recovery)‘의 시기이기도 합니다. GDP가 증가하며, 경제 순환 저점에서 정점으로 이동하는 단계입니다. 목차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1.1 로마의 인플레이션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