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란? 원화 강세와 원화 약세의 의미(1달러 당 원화 금액)

환율이란? 대외적인 돈의 값으로 서로 다른 통화의 비율입니다. 환율(exchange rate)은 ‘원/달러‘ 또는 ‘원/엔화‘ 그리고 반대로 ‘달러/원‘ 등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TV 또는 네이버, 구글 등의 뉴스를 통해 많이 봤을 것입니다.

1. 환율이란-표시법

‘원/달러’와 같은 내용으로 뉴스에서 환율이 오르고 내림을 발표하는데 표시법은 외국 통화 1단위 당 자국 통화의 수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자국통화표시법’ or ‘직접표시법(direct quotation)이라고 합니다. 자국 통화 1 단위 당 수량으로 표시하는 ‘외국통화표시법’ or ‘간접통화표시법’ 등이 있습니다.

  • 자국통화표시법
    • 원/달러 : 1달러와 교환 되는 원화의 양
  • 외국통화표시법
    • KRW/USD : 1원과 교환 되는 달러 양을 표시

한국에서는 보통 1달러와 교환 되는 원화의 양을 나타내는 자국통화표시법으로 달러화를 기준으로 확인합니다.

환율이란(exchange rate)

2. 환율 보는법

이제 환율이 “올랐다”와 “내렸다”를 ‘자국통화표시법’ 기준으로 환율 보는 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뉴스를 보면서 종종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원/달러 기준으로 1달러=1,000원이고 1달러=1,200원으로 올랐을 경우 환율이 상승했다고 합니다.

원/달러: 1달러=1,000원 ▷ 1달러=1,200원 ▶ 환율 상승

원/달러 기준으로 1달러=1,000원이고 1달러=800원으로 내렸을 경우 환율이 하락했다고 합니다.

원/달러: 1달러=1,000원 ▷ 1달러=800원 ▶ 환율 하락

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

‘원화 강세’란 달러화의 약세를 의미합니다.

원/달러: 1달러=1,000원 ▷ 1달러=800원 ▶ 환율 하락 ▶ 원화 강세/달러 약세

반대로 ‘원화 약세’는 달러화의 강세를 의미합니다.

원/달러: 1달러=1,000원 ▷ 1달러=1,200원 ▶ 환율 상승 ▶달러 약세/원화 강세

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

원화 강세(환율하락)일 때는 원화의 가치가 올랐기 때문에 수출 기업에 불리하며, 반대로 달러의 가치 하락으로 수입을 하는 내수 기업에 유리합니다. 반대로 원화 약세(환율상승) 시기에는 원화 가치 하락으로 수출 기업이 유리하며, 수입을 주로 하는 기업에게 불리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환율은 증권 시장의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치며, 원화 강세 및 약세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 매입 및 매수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

환율 조회를 할 수 있는 사이트는 구글 검색이나 네이버금융 등 많이 있습니다. 네이버금융에서 시장지표의 경로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일반음식점 영업신고증 발급 방법

    일반음식점 영업신고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업신고 대상은 ⓐ일반음식점 영업을 포함하여 ⓑ휴게음식점 영업, ⓒ제과점 영업, ⓓ위탁급식 영업과 ⓔ유흥주점, ⓕ단란주점과 같이 네 가지+ 두가지 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에 해당하는 영업을 하려는 경우 영업 종류 별 또는 영업소 별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이하 “신고관청”이라 함)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식품접객업 종류 허용 범위 신고·허가 일반음식점 음식류를…

  •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A(총자산이익률) 2가지 이익률 지표

    ‘ROE와 ROA‘ 중에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의 자기 자본을 이용해서 얼마 만큼의 당기순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 1. ROE (자기자본이익률) 회사의 시가 총액이 100억 원이라 하더라도 ‘자기자본이익률‘과 무관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의 계산은 회사의 자산과 부채를 뺀 순수한 자본에…

  • 앨버말 ALB(ALBEMARLE CORP) | 개요 : 리튬 시장 점유율 1위 기업

    전 세계 리튬 시장 점유율 35%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앨버말(Albemarle Corporation)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를 둔 특수 화학제품 제조 회사입니다.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 앨버말 개요 리튬 외에 제약, 시추 등에 사용되는 브롬과 석유화학 공정의 촉매제 등을 생산하며 리튬은 전체…

  • 코스피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 코스피 – 종합주가지수 코스피 지수는 한국종합주가지수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는  한국 거래소 유가 증권 시장의 종합주가지수를 말합니다.2020년  대한민국의 코스피 지수의 시가 총액은 4분기 초 2,000조 원을 넘었으며, kospi에 상장 된 회사는 800개 정도의 회사가 상장…

  • PBR과 BPS의 정의: 주가순자산비율과 주당순자산

    ‘PBR과 BPS의 정의‘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 1. PBR: 주가순자산 비율 ‘PBR‘이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rice to Book Ratio : 주가 순자산 비율) PER 및 ROE와 함께 많이 보는 주식 지표입니다. 주가 순자산 비율 = 현재주가 ÷ 주당 순자산(BPS) PBR…

  • 1720년 남해회사 버블(South Sea Bubble)

    남해회사 버블(South Sea Bubble)은 1720년 영국에서 일어난 금융 버블입니다. 남해 회사의 주식 가격이 급등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게 되었지만, 가격이 급락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본 사건입니다. 남해회사(The South Sea Company)는 아프리카 노예를 스페인령 서인도 제도로 수송하고 이익을 얻는 것이 주 목적으로 1711년 영국에서 설립된 회사였습니다.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