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사이클] 경기 호황이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경제 사이클은 침체와 불황, 확장과 호황을 반복합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경기 호황(Economic Boom)에 대해 다뤄 보겠습니다.

1. 경기 호황이란 어떤 경우인가요?

경제 호황은 경제 사이클 의 확장 및 절정 단계입니다 . 상승기, 호황기, 성장기라고 다양하게 불리어지고 있습니다. 호황기에는 전반적인 주요 경제 지표들이 상승합니다. GDP가 상승하는 것이 가장 큰 지표이기도 합니다.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판매 증가로 인한 기업 실적이 좋아집니다. 가계와 기업의 소득이 증가합니다. 평균적인 호황 주기는 38.7개월입니다.

경기 호황 중 GDP 상승

2. 호황의 원인

경기 상승기를 견인하는 것은 가계의 소비 지출 증가입니다. 더 좋은 일자리와 상승하는 집값, 주식 등의 투자 상품의 투자수익률 상승과 맞물려 늘어난 소득을 바탕으로 소비가 증가하는 것이지요. 호황기를 달성하기 위해 미 연준은 이상적인 성장률을 2~3%로 보고 있습니다. 연준은 또한 인플레이션의 이상적인 설계를 2% 대로 보고 있습니다.

경기 호황(Economic Boom) 붐비는 뉴욕 거리

3. 호황의 끝

호황의 끝은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 섰을 때를 끝으로 보는 것이 보통입니다.

4. 호황과 버블

때때로 호황기에 경제 버블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버블은 닷컴 버블과 ‘일본의 거품 경제‘ 들 수 있습니다. 일본 버블은 ‘일본 잃어버린 30년‘의 신호탄이기도 했습니다.

일본의 버블과 일본 잃어버린 30년 원인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정치 테마주 투자 전략: 인맥주&정책주 2가지 분류

    정치 테마주는 특정 정치인에 의해서 형성되고 움직이게 됩니다. 인맥주는 뉴스에 의한 이벤트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대통령 선거 2~3년 전부터 선거일 당일까지 한번 관심을 받게 된 기업의 주식은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맥주 이슈 후에는 정책주를 눈 여겨 봐야 할 것입니다. 정치 테마주의 매력은 계절 테마주처럼 규칙적으로 돌아온다는 것입니다. 4년마다 국회의원 선거,…

  • CJ CGV 유상증자 99퍼센트 달성

    목차1. 경기 호황이란 어떤 경우인가요?2. 호황의 원인3. 호황의 끝4. 호황과 버블■ CJ CGV 유상증자 99% 달성 CJ CGV 유상증자 99퍼센트 달성이 되었습니다.2020년 07월 20부터 24일까지 CJ CGV의 유상증자 청약이 있었습니다.2000억 원 가량의 유상증자가 진행되면서 CJ CGV는 99% 청약율을 보였습니다. 7월 20일과 21일 이틀 간 우리사주조합 및 주주를 상대로 한 청약으로 자금을 모으는데 성공하였습니다.총…

  • 이재명 테마주(인맥주) 정리: 대장주 5종목과 일반

    2021년 4월 16일 오늘 2022년 대선에 대한 큰 뉴스 거리를 아직 찾아보긴 어렵습니다. 이전에 여론 조사로 이재명을 포함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관련주들이 한번 들썩였습니다. 이재명 테마주 정리(대장주)를 오늘 해 보겠습니다. 목차1. 경기 호황이란 어떤 경우인가요?2. 호황의 원인3. 호황의 끝4. 호황과 버블 1. 이재명 테마주: 대장주 리스트…

  • 포괄손익계산서: 3가지 주요 항목 분석 및 후행지표 활용

    포괄손익계산서(영어: State of Comprehensive Income)는 기업의 경영 성과를 명확히 보고하기 위해 회계 기간에 존속하는 모든 수익과 비용을 정리하여 손익을 정리한 표입니다. 기업의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의 실적에 따라 주가의 상승 및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기업의 실적 발표가 있을 때 3가지 항목인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보게 됩니다. 목차1. 경기 호황이란 어떤…

  • 채권이란. 채권 2가지 수익: 자본이익과 이자수익 地

    채권(債權)의 사전적인 의미는 재산권의 하나로써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게 어떤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채권’의 수익은 자본이익과 이자수익으로 나뉘어 볼 수 있습니다. 금융에서 채권(Bond)은 증권의 범주에 속하고 있으며, 증권에는 주식과 증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증권이란 ‘증거가 되는 서류나 문서’이며, 유가 증권(코스피)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줄임 말로 볼 수 있습니다. 금융의 채권은 국가와 국가의 지방 자치…

  • 메리츠증권 배당 및 기업분석

    메리츠증권은 금융주 중에서도 대표적인 배당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리츠증권 배당금은 2020년 12월 기준 320원으로 배당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목차1. 경기 호황이란 어떤 경우인가요?2. 호황의 원인3. 호황의 끝4. 호황과 버블 1. 메리츠증권 배당금과 배당 성향 메리츠증권 배당금은 2020년 사업보고서 항목 배당에 관한 사항에서도 꾸준한 배당 성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분 2020년 2019년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