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 체계입니다.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때 규약으로 프로토콜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통신하기 위한 규칙이 통신 프로토콜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크게 물리적 측면과 논리적 측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발이 시작되던 1900년 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환경은 열악했으며, 적은 자원과…
네트워크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OSI 계층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OSI 물리 계층의 역할은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로 나뉘게 됩니다. 목차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Ⅱ. OSI 7계층1. 애플리케이션 계층(상위 계층)과 데이터 플로 계층(하위 계층)2. OSI 모델 계층표3. OSI 모델 계층의…
OSI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계층입니다.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 데이터 전송은 가능하지만 인터넷이나 외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라우터(Router)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가정용 공유기로…
케이블을 포함한 리피터(Repeater), 허브(HUB)는 네브워크 1계층인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목차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Ⅱ. OSI 7계층1. 애플리케이션 계층(상위 계층)과 데이터 플로 계층(하위 계층)2. OSI 모델 계층표3. OSI 모델 계층의 역할Ⅲ. TCP/IP 4계층Ⅳ. OSI 계층에 따른 분류✅ 리피터(Repeater) Repeater는 전기 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입니다. 멀리 있는…
컴퓨터를 사용할 때 비트Bit와 바이트Byte 두 가지 용어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하게 됩니다. 비트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정보의 최소 단위입니다. 바이트는 8개의 비트가 모여서 1바이트가 됩니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먼저 비트의 개념부터 이해하도록 해 보겠습니다. 목차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Ⅱ. OSI 7계층1. 애플리케이션 계층(상위 계층)과 데이터 플로 계층(하위 계층)2. OSI 모델 계층표3. OSI 모델 계층의…
보통 네트워크 WAN, MAN, LAN 3가지는 규모와 범위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기술이 이더넷으로 통합되어 사용자가 전송 기술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해졌으며, 범위 기준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목차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Ⅱ. OSI 7계층1. 애플리케이션 계층(상위 계층)과 데이터 플로 계층(하위 계층)2. OSI 모델 계층표3. OSI 모델 계층의 역할Ⅲ. TCP/IP 4계층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