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계층의 데이터가 송수신 되는 과정에서 데이터는 OSI 계층의 상위에서 하위로 데이터가 보내지게 되며, 데이터를 상위 > 하위, 하위 > 상위로 보내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캡슐화와 역캡슐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헤더라는 정보를 붙여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하는데 헤더를 붙여 나가는 것을 캡슐화(encapsulation)라고 하며, 데이터를 받는 쪽에서 헤더를 하나 씩 제거하면서 받게 되는…
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는 서버의 전원이 꺼졌거나 운영체제가 다운된 경우에도, 하드웨어 수준에서 원격으로 서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드웨어 기반의 관리 인터페이스입니다. 인텔이 주도하여 정의한 하드웨어 관리 표준(1998년 시작)으로, 다양한 서버 제조사가 채택하고 있으며 현재 버전은 IPMI 2.0입니다.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가지이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서버가 오류가 발생하여, 외부 망에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네트워크는 서비스를 받는 쪽과 서비스를 제공 쪽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두 가지 경우에 따라 네트워크 구성도는 다르게 적용됩니다.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경우는 집에서 인터넷을 접속하는 경우와 회사에서 인터넷에 접속해 업무를 보는 경우입니다. 서비스는 제공하는 경우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IDC), 회사 서버실에 서버를 놓고 운영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목차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Ⅱ….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은 외부 차폐(shield)가 없는 꼬여있는 한 쌍의 케이블을 의미합니다. RJ45 커넥터는 UTP 케이블 끝에 붙는 8핀 표준 커넥터를 의미합니다. UTP 케이블을 이용해서 RJ45 커텍터 연결 시 순서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UTP 케이블 배선 순서는 T568A와 T568B 방식 두 가지로 나뉘어집니다. 목차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Ⅱ. OSI 7계층1. 애플리케이션 계층(상위 계층)과…
IPv4 주소는 총 32비트로 구성되며, 4개의 옥텟(8비트씩)으로 표기됩니다. 8비트는 28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8은 256개의 숫자로 각 옥텟은 이해하기 쉽게 0~256의 10진수 숫자로 표기됩니다. 4개의 옥텟으로 이루어진 IP 주소 클래스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뉘게 됩니다. 목차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Ⅱ. OSI 7계층1. 애플리케이션 계층(상위 계층)과 데이터 플로 계층(하위 계층)2. OSI 모델 계층표3. OSI…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말 그대로 동적으로 호스트를 구성하는 규약입니다. 실제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나 장치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입니다. 목차Ⅰ. OSI 계층을 나눈 이유?Ⅱ. OSI 7계층1. 애플리케이션 계층(상위 계층)과 데이터 플로 계층(하위 계층)2. OSI 모델 계층표3. OSI 모델 계층의 역할Ⅲ. TCP/IP 4계층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