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차감계정 3가지 요소

‘대손충당금’ 내용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대손충당금 (allowance for bad debts)

대손(bad debt)은 불량채권이며, 회수가 어려운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미수금 등을 채무자로부터 받지 못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충당의 뜻은 모자라는 것을 메워 채운다는 뜻입니다. 회사는 경험 상 매출채권 금액 중에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을 재무상태표에 대손충담금을 미리 설정합니다. 이를 대손처리라고 합니다. 유동자산의 매출 채권에서 차감하며 이를 차감계정이라고 합니다. (회계에서 계정[account]은 자산,부채,자본,비용 및 수익의 변동을 명백히 하기 위해 설정하는 계산 상의 구분으로 보면 됩니다.)

한자어 뜻 대손(貸損): 대출 손실

대손충당금이란 A기업이 10억 원의 매출 중에 현금 매출은 5억 원, 매출채권 5억 원의 매출이 발생했는데 이 중에서 1억 원의 대손이 발생했습니다.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1억 원의 손실을 대비하여 회사의 자금 중 1억 원을 미리 적립하여 둔다고 보면 되며, 회계 상으로 적립할 금액을 미리 정해 놨다고 판단하면 됩니다.
아래의 내용은 DART 전자공시 홈페이지 내 사업보고서 > 3.연결재무제표 주석에서 매출채권의 대손충당금을 잡아 놓은 내역입니다.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차감계정

당기말의 매출채권 3,856,937원에서 대손충당금 1,284,287원을 빼면 매출 채권(순액) 즉, 순수하게 잡은 매출채권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상되는 대손충당금을 차감 계정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대손상각비(Bad debt expenses)

결국 대손(bad debt) = 불량채권상각 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를 ‘대손상각‘이라고 하며, 대손상각으로 처리된 비용을 대손상각비라고 하게 됩니다. 연결재무제표 주석에서 내용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각각 다른 회사의 연결재무제표 주석에서 확인한 항목입니다.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차감계정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차감계정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일반음식점 영업신고증 발급 방법

    일반음식점 영업신고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업신고 대상은 ⓐ일반음식점 영업을 포함하여 ⓑ휴게음식점 영업, ⓒ제과점 영업, ⓓ위탁급식 영업과 ⓔ유흥주점, ⓕ단란주점과 같이 네 가지+ 두가지 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에 해당하는 영업을 하려는 경우 영업 종류 별 또는 영업소 별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또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이하 “신고관청”이라 함)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식품접객업 종류 허용 범위 신고·허가 일반음식점 음식류를…

  • 주식발행초과금이란? 증자와 자본잉여금 관계

    주식발행초과금(영어: premium on capital stock)은 기업 상장을 하면서 출자, 기업 운영 중 유상증자 시 공모가가 액면가를 초과하는 차액으로 자본준비금에 속하게 됩니다. 상법에서는 자본준비금이란 용어로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제459조(자본준비금) ① 회사는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본준비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② 합병이나 제530조의2에 따른 분할 또는 분할합병의 경우 소멸 또는 분할되는 회사의 이익준비금이나 그…

  • 회계 자산이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2가지 분류

    목차1. 대손충당금 (allowance for bad debts)2. 대손상각비(Bad debt expenses) ■자산이란? 자산이란? 재무상태표의 자산(Assets)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회계 기준으로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자산을 유동자산(Current Assets)이라고 부르고,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비유동자산(Non-Current Assets) 또는 고정자산이라고  합니다.(from 재무상태표 ) ‘유동자산‘ 은 현금,주식,사채 등을 말하며, 유동자산이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것이라면, 당좌자산은…

  • 자본주의(capitalism) 1ST

    자본주의는 재화의 사적 소유권을 개인의 가지고 자유의지에 반하거나 법률의 의하지 않는 방법으로 양도 불가능한 사회 구성원의 기본권을 인정하는 경제 체제입니다. 또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capitalism이란 봉건제 사회 이후 경제 체제·생산 수단을 자본으로서 소유하는 자본가의 이윤 획득을 목적으로 하여, 자신의 노동력 외에는 팔 것이 없는 노동자로부터 노동력을 상품으로 사들여 상품 생산을 하는 경제 체제를 이야기합니다….

  • 인플레이션 세금과 시뇨리지

    ‘인플레이션 세금‘이란 공식이 성립하는 이유와 ‘시뇨리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목차1. 대손충당금 (allowance for bad debts)2. 대손상각비(Bad debt expenses) 1. 인플레이션과 주조화폐 역사 현대 사회 ‘인플레이션 세금 공식’을 설명하기에 앞서 주조 화페(금화,은화 등)의 시뇨리지 역사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1 주조화폐 시뇨리지의 역사 사례 ‘시뇨리지Seigniorage‘는 중세 유럽의 봉건 영주를 시뇨르Seigneur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봉건 시대 국왕과…

  • 2023년 8월 17일 헝다 그룹 파산 신청 [ⅱ]

    중국 2위 부동산 기업인 헝다 그룹이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 보호법 15조(챕터15)에 따라 파산 보호를 신청하게 되었다. 헝다 그룹 파산 신청의 원인은 코로나 이후 중국이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이유가 가장 크다. 이미 헝다 그룹은 2021년 대규모 채권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파산 위기 이력이 있었다. 당시 헝다 그룹은 360조 원 가량의 부채로 파산 위기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