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거래 확인 및 공매도 종목 확인 방법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주식을 대여·상환하는 거래인 대차거래와 빌려온 주식을 장내에서 매도하는 공매도는 상호 연관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대차가 발생한 거래 확인 방법과 공매도 종목의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2개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각각의 방법을 기재할 것이며, 대차 거래 확인 후 실제 일어나는 공매도가 있는 종목의 차이를 확인 후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이 글을 보면 되겠습니다.

대차가 되었다고 하여 관련 종목이 무조건 공매도에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대차 거래의 차입자는 차입한 주식으로 시장에서 매도하는 공매도 뿐 아니라 매매거래의 결제, 차익 햇지거래 등 다양한 투자 전략 목적으로 다양한 곳에 활용합니다.

대차거래 확인

1. 대차거래 확인

확인 방법은 금융투자협회 하단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종합통계 서비스로 접속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대차거래 확인 2

금융투자협회의 종합통계 페이지에서 주식 메뉴를 클릭하게 되면 통계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대차거래 확인 3

주식 메뉴에서 대차가 이루어진 상위 10종목을 포함한 내역을 하루 조회부터 최대 6개월 간의 조회가 가능합니다. 추이와 업종별 거래내역이나 추이를 알 수 있습니다.

종합통계는 채권 및 파생상품, 펀드 등 다양한 통계를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공매도 종목 확인

대차 확인 후 정말로 공매도가 이루어졌는지 공매도가 발생한 종목에 대해 확인하여 주가의 변동 사항을 예측하고 대비를 해야 되겠죠.

종목 확인은 한국거래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 종목 확인

한국거래소 메인 페이지 접속 후 우측 상단의 정보 데이터 시스템으로 접속하면 각종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접속됩니다.

공매도 종목 - 통계 확인

2번째 통계 메뉴의 공매도 통계를 통해 공매도 종합정보와 공매도 거래 및 공매도 과열 등의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제일 하단에서 2번째 메뉴인 대차 정보를 클릭하면 다시 금융투자협회의 종합통계 대차 정보 페이지로 다시 이동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반독점법이란? 19세기에 시작된 미국 반독점법 역사와 사례

    반독점법(영어: Antitrust Law)이란 특정 기업의 시장 독점을 규제하는 법률입니다. 인수합병과 담합 등의 행동 및 이를 포함한 다른 기업의 시장 진입을 방해하는 불공정 행위 등을 규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목차1. 대차거래 확인2. 공매도 종목 확인 반독점법or 독점금지법 역사 19세기 후반 미국 자본주의는 빠른 속도로 독점 자본으로 변질되었습니다. 자유 경쟁을 추구한 결과 대기업을 방임하여 역으로 자유…

  • 1720년 남해회사 버블(South Sea Bubble)

    남해회사 버블(South Sea Bubble)은 1720년 영국에서 일어난 금융 버블입니다. 남해 회사의 주식 가격이 급등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게 되었지만, 가격이 급락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본 사건입니다. 남해회사(The South Sea Company)는 아프리카 노예를 스페인령 서인도 제도로 수송하고 이익을 얻는 것이 주 목적으로 1711년 영국에서 설립된 회사였습니다. 목차1. 대차거래 확인2. 공매도 종목 확인 1. 남해회사…

  • 2013년 KT 위성 매각 논란(무궁화위성 3호)

    2013년 11월 드러난 KT 위성 매각 사건은 무궁화 1호, 2호, 3호 위성 및 주파수와 관제소를 중국 홍콩 ABS사에 팔아넘기면서 큰 논란을 빚었던 사건이다. 정부와의 사전 협의나 통보 없이 진행된 이 매각 과정은 황당하고 불투명한 점이 많았던 사건이다. 목차1. 대차거래 확인2. 공매도 종목 확인 KT 위성 매각의 불투명성 KT의 매각 협상 담당자인 김원철은 무궁화…

  • 지급준비제도란-지급준비율(7%)과 통화승수

    지급준비제도(Reserve Requirement System)란 시중 은행이 전체 예금 중 일정 비율 이상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총 예금액 대비 지금준비금의 비율을 지급준비율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법정 지급준비율은 0~7%로 차등화 디ㅗ어 있습니다. 지급준비제도 적용 대상은 일반은행 및 특수은행이 있습니다. 목차1. 대차거래 확인2. 공매도 종목 확인 1. 지급준비제도의 목적 및 개념 지급준비제도는 1980년대 이후 전 세계적인…

  • 뱅크런 사례와 예금자 보호법:예금보호 5천만원

    뱅크런(Bank Run)이란 은행에 보관한 예금을 돌려 받지 못한다고 생각한 예금자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인출하는 대규모의 예금 인출 상황을 말합니다. 주식이나 펀드 등의 여러가지 위험으로 인한 파산 위험이 있는 은행에서 뱅크런이 발생하게 됩니다. 뱅큰런은 경제 상황의 악화나 최악의 경우 경제공황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목차1. 대차거래 확인2. 공매도 종목 확인 1. 뱅크런 사례 1.1 부산저축은행 뱅크런…

  • 2030년 전기차 배터리 수요 전망

    중국을 제외한 유럽, 미국 시장에서 2020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공급 부족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2025년 1111기가와트시(GWh), 2030년 4028GWh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수요 전망을 예측했을 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목차1. 대차거래 확인2. 공매도 종목 확인 전기차 예상 수요 2023년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2022년에 1,000만 대를 넘어 2023년 말까지 1400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