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및 파일 종류🔝

리눅스 운영체제는 계층적 파일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위에서 아래 또는 위와 아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시작 지점인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됩니다.

Linux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는 리눅스를 포함한 유닉스 유형 운영 체제의 디렉토리 구조와 내용을 결정하는 일련의 지침인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 표준의 적용을 받습니다. 계층 구조 표준은 리눅스 재단(영어: Linux Foundation)에서 관리합니다.

✅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파일은 크게 일반 파일, 디렉토리, 특수 파일(장치 파일)로 나뉘어집니다.

파일 종류

설명

일반 파일

텍스트, 실행파일, 이미지 등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바이너리 형식일 수 있음.

디렉토리

하위 파일이나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하는 특별한 파일.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도 파일로 취급됨.

특수 파일(장치 파일)

하드디스크, 마우스 등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파일. /dev 디렉토리 아래에 존재함.

링크 파일(심볼릭 링크)

원본 파일을 참조하는 링크 파일.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함.

  • 일반 파일
  • 일반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텍스트 파일, 실행파일, 이미지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파일이 일반파일에 속하게 됩니다. 실행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의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도 합니다.
  • 디렉토리
  • 리눅스 디렉토리도 파일로 취급합니다. 디렉토리 파일에는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됩니다.
  • 특수 파일(장치 파일)
  • 리눅스는 하드디스크나 마우스 같은 장치들도 파일로 취급합니다. 장치 파일은 이와 같은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입니다. 장치 파일은 /dev 디렉토리 아래에 위치합니다. /dev/null 역시 장치 파일입니다.
  • 심벌릭 링크
  • 심볼릭 링크는 원본 파일을 대신하도록 원본 파일을 다른 파일명으로 지정한 것이며,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리눅스 파일 종류
├── 일반 파일
   └──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 바이너리 파일 포함 가능
├── 디렉토리 파일
   └── 하위 파일/디렉토리 정보를 담는 특수한 파일
├── 특수 파일
   ├── 장치 파일
      ├── 문자 디바이스 (예: /dev/tty)
      └── 블록 디바이스 (예: /dev/sda)
   ├── 소켓 파일
      └── 프로세스  통신용 파일
   └── 파이프(이름 있는 FIFO)
       └── 프로세스  데이터 흐름용
└── 링크 파일
    ├── 심볼릭 링크
       └── 다른 파일의 경로를 참조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
    └── 하드 링크 ( 내부적으로는 일반 파일처럼 보임)

리눅스 시스템은 파일에 대한 소유권과 권한을 부여하여, 각 사용자가 자신의 파일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토리의 계층 구조가 중요한 이유는 명확하게 이해하면 파일 시스템 탐색을 빠르고 쉽게 파일과 폴더를 찾을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파일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의 모든 디렉토리는 [/] 디렉토리에서 시작합니다. 파티션을 나눌 때에도 [/] 아래 디렉토리에 마운트 합니다. 장치 파일은 /dev/sda와 같은 형식을 띄게 됩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 [ROOT]
├─/bin -> usr/bin
├─/boot
├─/dev
├─/etc
├─/home
├─/lib -> usr/lib
├─/media
├─/mnt
├─/opt
├─/proc
├─/root
├─/run
├─/sbin -> usr/sbin
├─/srv
├─/sys
├─/tmp
├─/usr
   ├─ /bin
   ├─ /include
   ├─ /lib
   └─ /sbin
└─/var
    ├─ cache
    ├─ lib
    ├─ local
    ├─ log
    ├─ opt
    ├─ spool
    └─ tmp

🔲 리눅스 /usr/ 계층 구조

🔲 리눅스 /var/ 계층 구조

/var 계층은 9개의 하위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Linux)

Similar Posts

  • 리눅스 퍼미션(4,2,1)과 소유권 | chmod, chown, umask 명령어 | 스티키 비트

    리눅스 퍼미션(Permission)은 권한(&허가)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들은 MS-DOS 계열의 운영 체제들은 멀티 테스킹 시스템이 아니며 멀티 유저 시스템 역시 아닙니다. 보통 컴퓨터는 하나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가지고 한 명이 사용하지만 멀티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한 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의 멀티 유저 시스템은 운영 체제 설계 초기부터 깊게 내장된…

  • 리눅스 free 명령어: 메모리 상태 확인

    리눅스 free 명령어는 서버의 메모리 사용량과 여유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 /proc/meminfo의 메모리 정보를 가져와 보여줍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계층 구조✅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 1. free -h 설명 2. 옵션 활용 ✅ 스왑(SWAP)메모리란? ✅ 명목…

  • yum 명령어 | 사용법 | 옵션 | yum-utils | 패키지 관리와 저장소 관리🔝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YUM 명령어는 패키지 관리(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yum은 기존 패키지 시스템인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구이며, RPM에서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계층…

  • 리눅스 sort 명령어: 파일 정렬

    종류 및 분류의 사전적 의미를 가진 리눅스 sort 명령어는 아스키 파일 내용(레코드)을 정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알파벳순이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계층 구조✅ 리눅스 sor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 Apache MPM Module: Prefork, Worker, Event 3가지 방식 비교 및 Event Module 최적화 설정

    Apache MPM Module은 Apache HTTP Server의 중요한 부분으로, 서버의 요청 처리 방식을 결정합니다. MPM(Multi-Processing Module)은 서버의 성능과 확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합니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계층 구조 ✅ MPM Module(Multi-Processing Module) MPM 모듈은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 echo 명령어: From 확장과 인용

    echo 명령어는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echo 명령어는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쉘 스크립트 작성 시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표준 출력 상에 해당 텍스트 인자를 표시한다. 목차✅ 리눅스 파일 종류✅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의 중요성✅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정리🔲 리눅스 /usr/ 계층 구조🔲 리눅스 /var/ 계층 구조1. echo 명령어 옵션 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