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 장치 파일(Device File) | /dev 디렉토리

리눅스는 모든 것을 파일로 관리합니다. 리눅스에는 장치 파일(Device File)은 여러 프로그램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파일입니다.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필수 요구 사항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이 마우스 장치 파일을 참조해서 마우스의 조작을 하게 하거나 프린트의 출력 등을 담당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주로 스토리지를 마운트 하는데 많이 사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장치 파일 | /dev 디렉토리

장치 파일은 /dev 디렉토리에 위치하며 주요 장치 파일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치 파일 종류설명
/dev/input/mice마우스
/dev/sro0, /dev/sr1CD 드라이브 0은 첫번째, 1은 두번째
/dev/sda /dev/sdbSATA 접속 장치: 하드 디스크 SSD, 플래시 메모리 등.
/dev/xvda1 /dev/xvda1 AWS와 같은 클라우드(EC2 인스턴스 등)의 스토리지
/dev/usb/xxx/xxxUSB 장치. xxx는 USB 장치의 번호
/dev/tty가상 터미널
/dev/null아무 것도 표시하지 않은 장치 파일로 출력 내용을 없앨 때 리다이렉트(>)로 사용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

리눅스에서 각종 마우스, 키보드, 스토리지, 프린터 등의 장치(Device)를 구동하기 위해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장치 파일을 추상화 시켜 사용자 프로그램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1. 사용자 관점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 사용자는 디바이스 자체에 대한 정보를 알 필요 없음
  • 디바이스는 하나의 파일로 인식
  • 파일에 대한 접근을 통해 Real Device에 접근 가능

2. 리눅스에서 디바이스

  • 리눅스에서 디바이스는 특별한 파일로 취급되고 엑세스가 가능함.
  • 각각의 디바이스는 Major Number 와 Minor number를 소유.
    • Major number : 커널에서 디바이스 장치 구분
    • Minor number : 같은 종류의 디바이스들을 구분
ll -a

✅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구조와 종류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종류와 구조

1. Character Device

캐릭터 디바이스는 스트림 데이터를 캐릭터(문자) 단위로 처리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 키보드, 마우스 등이 캐릭터 디바이스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의 문자 또는 바이트씩 처리하며, 데이터의 흐름은 순차적입니다.

  • 특징
  • 버퍼와 캐시를 사용하지 않음.
  • 터미널, 키보드, 사운드 카드, 프린터 등
Character Device
Character Device File

2. Block Device

  • 특징
  • random access 가능
  • 버퍼 및 캐쉬 사용
  • 파일 시스템에 Mount 되어 관리됨
  • 하드디스크, SSD, RAM, CD-ROM
Block Device File
Block Device File

3. Network Device

대응하는 장치 파일이 없으며,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패킷을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 특징
  • 응용 프로그램과의 통신은 표준 파일 시스템 호출 대신 Socket 또는 Bind와 같은 시스템 호출
  • 이더넷, PPP 등

Similar Posts

  •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E, RHCA

    레드햇 자격증(Red Hat Certification)은 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확인하고 입증하는 자격증입니다. 레드햇 웹사이트에서 확인한 RHCSA, RHCE, RHCA 3개 자격증의 정보입니다. 자격증의 기본적인 취득 조건은 RHCSA 자격증 취득 후 RHCE, RHCA 순서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장치 파일 | /dev 디렉토리✅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1. 사용자 관점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2. 리눅스에서 디바이스✅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 리눅스 history 명령어

    리눅스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리눅스 콘솔에 접속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history만 입력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보다 더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장치 파일 | /dev 디렉토리✅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1. 사용자 관점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2. 리눅스에서 디바이스✅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구조와 종류1. Character Device2….

  • 리눅스 Logrotate 개념과 설정

    리눅스 Logrotate는 “로그를 회전하다.”라는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로그와 Rotate(회전하다[동사])의 합성어입니다. 리눅스 설치 시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로테이션(Rotation)은 사람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교대하는 일, 야구 경기에서 선발 투수를 차례로 기용하는 일 등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반복과 교대의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로그로테이션(Logrotation) > 로그 회전이라는 명사로도 언급됩니다. Logrotate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명령어를…

  • 셸 스크립트란? 셸과 셸 프롬프트&bash shell

    목차✅ 리눅스 장치 파일 | /dev 디렉토리✅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1. 사용자 관점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2. 리눅스에서 디바이스✅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구조와 종류1. Character Device2. Block Device3. Network Device ▥ 셸 스크립트란(shell script)? 1. 셸이란? 키보드에 입력한 명령어를 운영체제에 전달해서 전달한 명령어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2. 셸 프롬프트 셸 프롬프트는 셸이 입력 가능한 상태일 때에만…

  • Linux snapd | Rocky Linux에서 snapd 설치

    스냅크래프트(Snapcraft) 또는 스냅(Snap)은 캐노니컬(Canonical)이 시작한 Ubuntu 스마트폰 운영 체제를 위한 소프트웨어 배포 및 패키지 도구로서 개발되었으며,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스냅(snap)이라고 불리는 패키지와 snapd를 사용하는 도구는 업스트림 소프트웨어 패키징을 간편화하여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Linux snapd은 앱 패키지로 데스크톱, 클라우드, IoT에서 사용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안전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점 9가지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리눅스와 유닉스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점이 한번 씩 생기게 됩니다. 간단하게 차이점을 요약하자면, 리눅스는 유닉스의 오픈 소스 구현체로,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 체제를 제공하면서도 커뮤니티 기반의 개방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둘 다 안정적이고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운영 체제이지만, 유닉스는 상용 운영 체제의 역사적인 뿌리를 가지고 있고, 리눅스는 개방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