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 or 심링크로도 불리며, 하나의 파일에 여러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s 옵션]은 Symbolic Link를 만들어 주는 옵션이며 [-s 옵션]이 빠지게 되면 Hard Link를 생성하게 됩니다.

ln -s [원본파일 or 원본 디렉토리] [새로 생성할 링크명]

✅ 기존 하드 링크의 단점

Hard Link는 기존 유닉스 시스템 방식으로 Symbolic Link가 더 최신 방식입니다. 기존 Hard Link의 단점은 파일 시스템 외부에 있는 파일을 참조할 수 없어, 같은 디스크 파티션에 있는 파일만 참조할 수 있으며, 디렉토리를 참조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파일 자체만으로 구분해 내기가 어려우며, 링크를 포함한 디렉토리 목록에서 해당 링크가 가리키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주지 않습니다.

✅ Symbolic Link 특징

Symbolic Link는 참조 될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텍스트 포인터가 포함된 파일을 생성합니다. 아파치 설치 후 /etc/httpd 폴더에서 기본으로 생성된 logs를 포함한 파일들의 폴더를 포함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심볼릭 링크 logs를 포함한 목록

이러한 이유로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한 방식을 가졌다고 하며, 오히려 윈도우보다 먼저 나왔습니다.

  • Tip: Symbolic Link를 삭제하기 전에 원본 파일이 지워졌다면 링크는 살아있지만 링크는 아무것도 가리키지 않게 되며, 이런 경우 링크가 깨졌다고 표현합니다.

Similar Posts

  • 리눅스 퍼미션(4,2,1)과 소유권 | chmod, chown, umask 명령어 | 스티키 비트

    리눅스 퍼미션(Permission)은 권한(&허가)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들은 MS-DOS 계열의 운영 체제들은 멀티 테스킹 시스템이 아니며 멀티 유저 시스템 역시 아닙니다. 보통 컴퓨터는 하나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가지고 한 명이 사용하지만 멀티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한 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의 멀티 유저 시스템은 운영 체제 설계 초기부터 깊게 내장된…

  • 리눅스 file 명령어

    리눅스 file 명령어는 그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으로 파일의 파일 타입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은 텍스트 파일(ASCII 텍스트), 바이너리 파일, 그림 파일 및 동영상 등입니다. 단순하게 파일의 확장자만 확인하는 것이 아닌 파일의 매직파일(usr/local/magic)의 내용을 참조하여 파일 종류를 표시해 줍니다. magic 파일은 특정 파일의 형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 리눅스: lrzsz 툴 설치 및 파일 업로드(rz) 및 다운로드(sz) 사용하기

    리눅스 OS에서 rz와 sz를 이용한 각각의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 lrzsz가 서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lrzsz 툴 설치 후 rz와 sz는 ZMODEM/YMODEM/XMODEM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서 파일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Xshell을 사용해서 lrzszs 툴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목차✅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기존 하드 링크의 단점✅ Symbolic Link 특징 lrzsz 툴 설치 CentOS,…

  • 리눅스 who, w 명령어 & user 명령어

    리눅스 who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로그인한 사용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어로 각각의 차이가 있습니다. 목차✅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기존 하드 링크의 단점✅ Symbolic Link 특징✅ 리눅스 who 명령어 현재 접속 사용자(USER) 터미널 유형(TTY) 접속 시간 및 IP rocky pts/0, pts/1 …..

  • 리눅스 host 명령어 | DNS 조회 명령어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목차✅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기존 하드 링크의 단점✅ Symbolic Link 특징✅ host 명령어 사용법…

  • [Shell 특수문자] 리눅스 와일드카드(메타문자)

    리눅스 와일드카드는 Shell 특수문자로 메타 문자로 불리기도 합니다. Shell 특수 기호 중 와일드카드(글로빙으로 부르기도 함)는 문자 패턴에 따라 파일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수 문자에는 인용(따옴표) 기호, 리눅스 다중 명령어, 리눅스 히스토리 기호, 리눅스 디렉토리 기호, 리눅스 괄호 기호 및 입출력 리다이렉션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목차✅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기존 하드 링크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