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cat 명령어

리눅스에서 텍스트 파일을 출력하는 간단한 ‘cat 명령어’는 명령어 뒤에 파일명을 적어 표준 출력(Standard Output)을 할 수 있습니다.

cat은 “연결시키다”, “연관시키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는 영어단어 “concatenate”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리눅스(Linux)

1. cat 명령어 특징

출력과 비슷한 의미의 단어가 아닌 “concatenate“라는 단어에서 유래된 이유는 “|” pipe 명령어나 “>” redirection 명령어 등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결국 여러 종류의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연결시키는데 유용한 명령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 cat [-옵션] [파일명]

2. cat 명령어 옵션

3. 간단한 활용

~]# cat -n access_log | grep Google
    
    31  66.102.6.143 - - [16/Nov/2023:00:24:32 +0800] "GET / HTTP/1.1" 301 707 "-" "Mozilla/5.0 (Linux; Android 4.0.4; Galaxy Nexus Build/IMM76B) AppleWebKit/[WEBKIT_VERSION] (KHTML, like Gecko; GoogleAdSenseInfeed) Chrome/[CHROME_VERSION] Mobile Safari/[WEBKIT_VERSION]"
    32  66.102.6.143 - - [16/Nov/2023:00:24:32 +0800] "GET / HTTP/1.1" 301 707 "-" "Mozilla/5.0 (Macintosh; Intel Mac OS X 10_7_3) AppleWebKit/[WEBKIT_VERSION] (KHTML, like Gecko, GoogleAdSenseInfeed) Chrome/[CHROME_VERSION] Safari/[WEBKIT_VERSION]"
    33  66.249.71.200 - - [16/Nov/2023:01:32:55 +0800] "GET /ads.txt HTTP/1.1" 301 707 "-" "Google-adstxt"
    57  66.249.74.136 - - [16/Nov/2023:05:32:57 +0800] "GET /ads.txt HTTP/1.1" 301 707 "-" "Google-adstxt"
    75  66.249.71.200 - - [16/Nov/2023:14:02:59 +0800] "GET /ads.txt HTTP/1.1" 301 707 "-" "Google-adstxt"

번호를 매긴 후 grep 명령어로 ‘Google’ 관련된 내용만 출력한 일부분입니다.

3.1 파일 생성

~]# cat -n access_log | grep Google > Google_log

기존 명령어 조합으로 원하는 명령어 출력 후 원하는 내용의 파일을 별도로 만들 수 있습니다.

리눅스 이미지

3.2 입출력 리다이렉션 활용

## 예시 
~]# cat access_log_0514_* >  access_log_1133_all
## 기본 사용
~]# cat file.txt
## 여러 파일 출력 후 합치기
~]# cat file.txt file2.txt file3.txt > file_all 
## 파일 내용 추가
cat file5.txt >> file_all
### 새로운 내용을 입력(기존 파일 사라짐)  | cat > 파일명 내용 입력 후 Ctrl + D 입력 후 빠져 나갈 수 있음.  
~]# cat > file_all
### 하단에 내용을 추가 입력) 
~]# cat >> file_all

Similar Posts

  • 리눅스 less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 less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을 볼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less 명령어의 특징은 vi 명령어가 파일 실행 시 전체 파일을 읽어야 하고 txt 파일 크기가 클 경우 읽는데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vi 명령어는 파일 편집 명령어입니다. 목차1. cat 명령어 특징2. cat 명령어 옵션3. 간단한 활용3.1 파일 생성3.2 입출력 리다이렉션 활용리눅스 less 명령어 기본 사용…

  • echo 명령어: From 확장과 인용

    echo 명령어는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해 주는 명령어이다. echo 명령어는 프롬프트에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쉘 스크립트 작성 시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표준 출력 상에 해당 텍스트 인자를 표시한다. 목차1. cat 명령어 특징2. cat 명령어 옵션3. 간단한 활용3.1 파일 생성3.2 입출력 리다이렉션 활용1. echo 명령어 옵션 2. echo $ $뒤에 오는 문자열이 변수로 선언되어…

  • 리눅스 pwd 명령어 & realpath 명령어 | 절대 경로 위치 확인

    목차1. cat 명령어 특징2. cat 명령어 옵션3. 간단한 활용3.1 파일 생성3.2 입출력 리다이렉션 활용✅ pwd 명령어 pwd 명령어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절대 경로를 표시합니다. 🔲 명령어 옵션 pwd 명령어는 간단한 명령어로 옵션은 2가지만 존재합니다. ✅ realpath 명령어 realpath 명령어는 실제 경로를 절대 경로로…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1. cat 명령어 특징2. cat 명령어 옵션3. 간단한 활용3.1 파일 생성3.2 입출력 리다이렉션 활용✅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 리눅스 tree 명령어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무 형태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어떤 구조로 정리되어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문서화 및 시스템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목차1. cat 명령어 특징2. cat 명령어 옵션3. 간단한 활용3.1 파일 생성3.2 입출력 리다이렉션 활용✅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tree 옵션 ✅…

  • nslookup 명령어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