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free 명령어: 메모리 상태 확인

리눅스 free 명령어는 서버의 메모리 사용량과 여유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 /proc/meminfo의 메모리 정보를 가져와 보여줍니다.

  • free 명령어
  • /proc/meminfo의 메모리 정보를 확인
  • 메모리 확인 명령어 / 분류 프로세스(top, ps)
  • 기본 사용 옵션
free -옵션 

✅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

1. free -h 설명

~]# free -h       
         |              |          |     |             |         |        |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989M       553M         220M          2.1M         190M        252M
Swap:             2.0G       118M         1.9G

# centos free m or h 옵션
~]# free -h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15789        14751        1037        473        123       1966
-/+ buffers/cache:             12662        3127
Swap:              4095         2025        2070
  • 서버에 할당된 메모리스왑(SWAP)메모리
  • total: 총 메모리
  • used: 사용중인 메모리 양
  • free: 남은 메모리
  • shared: 공유 메모리 용량(여러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음) tmpfs(메모리 파일 시스템), ramfs 등으로 사용됨
  • buff/cache: 가용한 메모리 용량
  • available(유효한):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용메모리) / swapping 없이 새로운 프로세스를 실행 시 할당 가능한 메모리의 예상 크기 > centos6의 -/+ buffers/cache가 사라지고 새로 생김.

2. 옵션 활용

  • -w 옵션으로 buffers와 cache를 분리해서 본 화면.
free -hw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   available
Mem:           1.7Gi       549Mi       1.0Gi        15Mi       3.0Mi       328Mi       1.2Gi
Swap:             0B          0B          0B
  • -t 옵션으로 램과 스왑 메모리의 합계 확인
free -ht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1.7Gi       549Mi       1.0Gi        15Mi       331Mi       1.2Gi
Swap:             0B          0B          0B
Total:         1.7Gi       549Mi       1.0Gi
## -hwt 활용
free -hwt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   available
Mem:           1.7Gi       549Mi       1.0Gi        15Mi       3.0Mi       328Mi       1.2Gi
Swap:             0B          0B          0B
Total:         1.7Gi       549Mi       1.0Gi

✅ 스왑(SWAP)메모리란?

  • RAM에 용량이 부족할 경우 프로세스가 임시 저장되는 공간.
  • RAM을 사용한 것이라 하드디스크에 일정 공간을 SWAP메모리 공간으로 지정하여 사용을하며,
    악의 경우 메모리가 부족하여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는 일을 방지 할 수 있음.
  • 단점으로는 하드디스크에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사용할때 보다 속도면에서는 많이 떨어짐.
  • 스왑 메모리 크기는 보통 RAM의 두배를 권장하고 있음.

✅ 명목 메모리 사용량 계산법

  • 명목 메모리 사용량(used) 및 사용률 (CentOS 7 이후 계산)
free -w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   available
Mem:         1802732      510176     1239384       13868        3124      210588     1292556
Swap:              0           0           0

# 실제 사용 가능한 명목 메모리 사용량(used)
total-(free + buffers + cached)
ex) 1802732-(1239384+210588+3124) = 349,636
# 사용률 계산
total-(free + buffers + cached)/total*100
1802732-(1239384+210588+3124) = 349,636/1802732*100=19.39%  / sar -r 1 명령어로 %를 쉽게 확인 

free(1239384)는 실제로 사용되지 않은 메모리 용량이며 100%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아닙니다.

명령줄 인터페이스(CLI-Command-Line Interface)

Similar Posts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1. free -h 설명2. 옵션 활용✅ 스왑(SWAP)메모리란?✅ 명목 메모리 사용량 계산법✅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 리눅스 tree 명령어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무 형태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어떤 구조로 정리되어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문서화 및 시스템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목차✅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1. free -h 설명2. 옵션 활용✅ 스왑(SWAP)메모리란?✅ 명목 메모리 사용량 계산법✅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tree 옵션…

  • 리눅스 top 명령어(CPU, 메모리 점유율 확인)

    리눅스 top 명령어는 구동 중인 OS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ble of processes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총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량 등을 보여주며 각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메모리와 CPU 사용량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1. free -h 설명2. 옵션 활용✅ 스왑(SWAP)메모리란?✅ 명목 메모리 사용량 계산법Ⅰ. 리눅스 top 명령어 기본 사용 top…

  • Rsync 명령어: 옵션 | 사용 예시

    Rsync 명령어는 Remote sync의 줄임말로 원격에서 로컬, 로컬에서 로컬로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rsync에는 두 가지 접속 방법이 있는데 SSH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과 rsync 데몬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목차✅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1. free -h 설명2. 옵션 활용✅ 스왑(SWAP)메모리란?✅ 명목 메모리 사용량 계산법 ✅ rsync의 두 가지 접속 방법 🔲 SSH 사용…

  • 리눅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 or 심링크로도 불리며, 하나의 파일에 여러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1. free -h 설명2. 옵션 활용✅ 스왑(SWAP)메모리란?✅ 명목 메모리 사용량 계산법✅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s 옵션]은 Symbolic Link를 만들어 주는 옵션이며 [-s 옵션]이…

  • 리눅스 history 명령어

    리눅스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리눅스 콘솔에 접속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history만 입력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보다 더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1. free -h 설명2. 옵션 활용✅ 스왑(SWAP)메모리란?✅ 명목 메모리 사용량 계산법✅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사용 history 명령어 자체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