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head 명령어 & tail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와 tail 명령어는 보통 서버의 access_log를 볼 때 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두 명령어의 사용법과 테스트 서버에서 access_log를 각각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

  • head 명령어
  • 파일의 시작 행을 보여주며,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기본 10줄을 보여줌.
  • 위치: /usr/bin/head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ead -[옵션] [파일명]

access_log를 출력한 결과입니다.

리눅스 head 명령어

1. head 명령어 옵션

2. 사용 예시

head -50 access_log

✅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

tail 명령어는 [-f] 옵션으로 서버의 access_log 및 error_log의 실시간 로그를 볼 때 특히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 taiil 명령어
  • 기본 옵션 없이 사용 시 행의 마지막 10행을 출력
  • 위치: /usr/bin/tail
tail -[옵션] [파일명]

1. tail 명령어 옵션

2. 사용 예시

tail -n 15 -f access_log
192.36.109.115 - - [13/Feb/2024:00:47:34 +0000] "GET /robot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127 - - [13/Feb/2024:00:47:35 +0000] "GET /human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90 - - [13/Feb/2024:00:47:35 +0000] "GET /ad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91 - - [13/Feb/2024:00:47:46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1.101.130.24 - - [13/Feb/2024:01:28:02 +0000] "GET /.env HTTP/1.1" 404 196 "-" "Mozilla/5.0 (Linux; U; Android 4.4.2; en-US; HM NOTE 1W Build/KOT49H) AppleWebKit/534.30 (KHTML, like Gecko) Version/4.0 UCBrowser/11.0.5.850 U3/0.8.0 Mobile Safari/534.30"
---- 생략 ----
tail -n 15 -f access_log | grep 403
192.36.109.91 - - [13/Feb/2024:00:47:46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86.176.7.162 - - [13/Feb/2024:01:42:57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6.1; WOW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52.0.2743.116 Safari/537.36"
162.216.150.252 - - [13/Feb/2024:02:06:26 +0000] "GET / HTTP/1.1" 403 7620 "-" "Expanse, a Palo Alto Networks company, searches across the global IPv4 space multiple times per day to identify customers' presences on the Internet. If you would like to be excluded from our scans, please send IP addresses/domains to: scaninfo@paloaltonetworks.com"
146.19.24.28 - - [13/Feb/2024:02:27:04 +0000] "GET / HTTP/1.1" 403 7620 "-" "-"

Similar Posts

  • 리눅스 free 명령어: 메모리 상태 확인

    리눅스 free 명령어는 서버의 메모리 사용량과 여유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 /proc/meminfo의 메모리 정보를 가져와 보여줍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 1. free -h 설명 2. 옵션 활용 ✅ 스왑(SWAP)메모리란? ✅ 명목 메모리 사용량…

  • [Linux] usermod 명령어

    usermod 명령어는 user modification(사용자 수정)의 약자로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usermod는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 UID (사용자 ID), 홈 디렉토리, 로그인 셸, 그룹 등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usermod 명령어 기본…

  • 리눅스 tree 명령어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무 형태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어떤 구조로 정리되어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문서화 및 시스템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 [Linux] stat 명령어 : 파일&파일 시스템 확인

    리눅스 stat 명령어는 파일 및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 리눅스 chage 명령어

    리눅스 chage 명령어는 change age의 줄임 말로 사용자 계정의 만료 및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관리 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과 목적은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최소 사용 기간 설정, 계정의 비활성화 날짜 설정 등이 있습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 yum-config-manager 명령어 | YUM 저장소 설정

    yum 명령어는 기본 사용 시 기본 저장소(보통 안정화 버전)에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저장소 파일을 추가하면 안정화(stable) 또는 최신(mainline) 버전 중 활성화된 저장소에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안정화와 최신 버전 저장소가 모두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yum은 버전이 더 높은 패키지(보통 최신 버전)를 설치합니다. 원하는 버전을 설치하려면, remi 저장소 설정 또는 yum-config-manager를 사용하여 특정 저장소를 활성화해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2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