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head 명령어 & tail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와 tail 명령어는 보통 서버의 access_log를 볼 때 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두 명령어의 사용법과 테스트 서버에서 access_log를 각각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

  • head 명령어
  • 파일의 시작 행을 보여주며,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기본 10줄을 보여줌.
  • 위치: /usr/bin/head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ead -[옵션] [파일명]

access_log를 출력한 결과입니다.

리눅스 head 명령어

1. head 명령어 옵션

2. 사용 예시

head -50 access_log

✅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

tail 명령어는 [-f] 옵션으로 서버의 access_log 및 error_log의 실시간 로그를 볼 때 특히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 taiil 명령어
  • 기본 옵션 없이 사용 시 행의 마지막 10행을 출력
  • 위치: /usr/bin/tail
tail -[옵션] [파일명]

1. tail 명령어 옵션

2. 사용 예시

tail -n 15 -f access_log
192.36.109.115 - - [13/Feb/2024:00:47:34 +0000] "GET /robot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127 - - [13/Feb/2024:00:47:35 +0000] "GET /human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90 - - [13/Feb/2024:00:47:35 +0000] "GET /ads.txt HTTP/1.1" 404 196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2.36.109.91 - - [13/Feb/2024:00:47:46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91.101.130.24 - - [13/Feb/2024:01:28:02 +0000] "GET /.env HTTP/1.1" 404 196 "-" "Mozilla/5.0 (Linux; U; Android 4.4.2; en-US; HM NOTE 1W Build/KOT49H) AppleWebKit/534.30 (KHTML, like Gecko) Version/4.0 UCBrowser/11.0.5.850 U3/0.8.0 Mobile Safari/534.30"
---- 생략 ----
tail -n 15 -f access_log | grep 403
192.36.109.91 - - [13/Feb/2024:00:47:46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100.0.4896.127 Safari/537.36"
186.176.7.162 - - [13/Feb/2024:01:42:57 +0000] "GET / HTTP/1.1" 403 7620 "-" "Mozilla/5.0 (Windows NT 6.1; WOW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52.0.2743.116 Safari/537.36"
162.216.150.252 - - [13/Feb/2024:02:06:26 +0000] "GET / HTTP/1.1" 403 7620 "-" "Expanse, a Palo Alto Networks company, searches across the global IPv4 space multiple times per day to identify customers' presences on the Internet. If you would like to be excluded from our scans, please send IP addresses/domains to: scaninfo@paloaltonetworks.com"
146.19.24.28 - - [13/Feb/2024:02:27:04 +0000] "GET / HTTP/1.1" 403 7620 "-" "-"

Similar Posts

  • certbot 명령어(인증서 관리 및 삭제)

    Alma Linux에서 이 사이트에 Certbot 설치 및 갱신 설치를 해 진행하는 중 인증서 삭제 후 재설치를 할 이유가 생겨 삭제와 함께 나머지 Certbot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 체크하게 되었습니다. certbot 명령어는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

  • 리눅스 리다이렉션(Redirection)

    웹 상에서 리다이렉션(Redirection)은 웹 브라우저가 특정 URL을 요청했을 때, 미리 지정된 다른 URL로 재요청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 연결의 사전적인 의미를 가진 Redirection은 리눅스에서 입력과 출력을 다루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파일로 보내거나 파일에서 읽어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리눅스 리다이렉션은은 키보드로 입력, 화면으로 출력을 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다이렉션에는 표준…

  • 리눅스 host 명령어 | DNS 조회 명령어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 리눅스 touch 명령어

    touch 명령어는 파일의 날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무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파일의 최근 사용 시간, 변경 시간이 서버의 현재 시간으로 변경됩니다. 파일이 없는 파일명을 입력할 경우 새로운 크기가 0인 빈 파일이 생성됩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 리눅스 kill 명령어[kill -9 PID]

    리눅스 kill 명령어는 사용 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터미널에서 프로세스에 시그널(Signal)을 보내서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프로그램이 정지하거나 응답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인 종료가 되지 않는 경우 등에 따라 명령어를 실행하게 됩니다. kill process는 사용 시 중요한 시스템 프로세스를 종료 시키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 리눅스 mkdir 명령어 | Linux 디렉토리 생성하기

    리눅스 mkdir 명령어는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리눅스에서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리눅스 head 명령어 사용법1. head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tail 명령어 사용법1. tail 명령어 옵션2. 사용 예시✅ 리눅스 mkdir 명령어 기본 사용법 경로 미 지정 시 현재 위치에서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mkdir 명령어 옵션 설명 -m 디렉토리 생성 시 권한(퍼미션) 설정(기본 값:…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