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touch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touch 명령어는 파일의 날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무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파일의 최근 사용 시간, 변경 시간이 서버의 현재 시간으로 변경됩니다.

파일이 없는 파일명을 입력할 경우 새로운 크기가 0인 빈 파일이 생성됩니다.

✅ touch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ouch 옵션 파일이름

✅ touch 명령어 명령어 옵션

옵션

쉬운 설명

-m

수정 시간만 현재 시간으로 바꿉니다. (파일 내용은 안 바뀜)

-t

원하는 시간으로 파일의 시간(생성/수정)을 바꿀 때 사용합니다.

✅ 사용 예시

최근 사용 시간(Access), 변경 시간(Modify)이 변경 된 것을 stat 명령어로 확인합니다.

touch 명령어 옵션 없는 기본 사용

🔲 수정 시간(mtime) : -m 옵션

기본 옵션 없이 사용 했을 때는 접근 시간 및 수정 시간 모두 변경 되었지만, -m 옵션은 수정 시간만 현재 시간으로 바꾸고, 접근 시간은 그대로 둡니다.

 testuser]# touch TestDir/
 testuser]# stat TestDir/
  File: TestDir/
  Size: 6         	Blocks: 0          IO Block: 4096   directory
Device: 10304h/66308d	Inode: 442502101   Links: 2
Access: (0755/drwxr-xr-x)  Uid: (    0/    root)   Gid: (    0/    root)
Access: 2025-06-07 21:52:33.062877305 +0900
Modify: 2025-06-07 21:52:33.062877305 +0900
Change: 2025-06-07 21:52:33.062877305 +0900
 Birth: 2025-06-07 21:45:21.584334994 +0900
 testuser]# touch -m TestDir/
 testuser]# stat TestDir/
  File: TestDir/
  Size: 6         	Blocks: 0          IO Block: 4096   directory
Device: 10304h/66308d	Inode: 442502101   Links: 2
Access: (0755/drwxr-xr-x)  Uid: (    0/    root)   Gid: (    0/    root)
Access: 2025-06-07 21:52:33.062877305 +0900
Modify: 2025-06-07 21:56:38.822907202 +0900
Change: 2025-06-07 21:56:38.822907202 +0900
 Birth: 2025-06-07 21:45:21.584334994 +0900
  • Access: 마지막 접근 시간 (atime)
  • Modify: 마지막 수정 시간 (mtime)
  • Change: 마지막 상태 변경 시간 (ctime, 권한 등 변경)
  • Birth: 파일 생성 시간 (있으면 표시됨)

🔲 접근시간(atime), 수정 시간(mtime) 변경 : -t 옵션

-t 옵션은 년,월,일,시간(분,초)까지 입력해서 수정이 가능합니다. Access, Modify가 각각 변경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uch 명령어 -t 옵션 사용 예시

초 단위는 생각이 가능하며 초 입력 시 [.ss]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Similar Posts

  • nslookup 명령어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 df 명령어

    df(Disk Free)는 마운트 된 장치 전체 용량, 사용 용량, 여유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Filesystem), 디스크 크기(Size), 사용량(Used), 여유공간(Avail), 사용률(Use%), 마운트지점(Mounted on)을 순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touch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ouch 명령어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수정 시간(mtime) : -m 옵션🔲 접근시간(atime), 수정 시간(mtime) 변경 : -t 옵션df 명령어 옵션…

  • Apache 시작, 중지, 재시작 명령어 | 서비스 상태 확인

    리눅스에서 Apache를 설치하고 레드헷 계열과 우분투에서의 시작, 중지, 재시작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Apache 시작, 중지, 재시작 등의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touch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ouch 명령어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수정 시간(mtime) : -m 옵션🔲 접근시간(atime), 수정 시간(mtime) 변경 : -t 옵션✅ Apache 시작 및 중지, 재시작: Red Hat 계열…

  • yum-config-manager 명령어 | YUM 저장소 설정

    yum 명령어는 기본 사용 시 기본 저장소(보통 안정화 버전)에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저장소 파일을 추가하면 안정화(stable) 또는 최신(mainline) 버전 중 활성화된 저장소에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안정화와 최신 버전 저장소가 모두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yum은 버전이 더 높은 패키지(보통 최신 버전)를 설치합니다. 원하는 버전을 설치하려면, remi 저장소 설정 또는 yum-config-manager를 사용하여 특정 저장소를 활성화해서…

  • clear 명령어

    목차✅ touch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ouch 명령어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수정 시간(mtime) : -m 옵션🔲 접근시간(atime), 수정 시간(mtime) 변경 : -t 옵션■ clear 명령어 – 기타명령어 clea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출력 된 터미널 화면을 지우는 명령어이다. clear 명령어는 도스의 cls 명령어와 동일한 뜻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리눅스 터미널 화면을 지워주고 커서는 화면…

  • 리눅스 uptime 명령어(서버 가동 시간&1,5,15 평균 로드 확인)

    리눅스 uptime 명령어는 시스템의 평균 부하율과 서버의 가동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서버의 부팅 시간을 알고 싶을 때, 최근 15분 동안의 평균 로드를 통해 부하율을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목차✅ touch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touch 명령어 명령어 옵션✅ 사용 예시🔲 수정 시간(mtime) : -m 옵션🔲 접근시간(atime), 수정 시간(mtime) 변경…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