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종류

부채(liability) > 타인자본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자금 조달을 위해 일반적으로 주주의 투자금 및 외부차입금을 끌어오는 두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부채는 외부차입을 하는 경우를 말하며, 부채는 현재의 의무가 있으며, 과거 거래나 다른 사건으로 발생한 것에 대해 재무상태표에서 부채 항목으로 기입을 하게 됩니다. 미래에 자산을 갚아야 하거나 용역을 제공할 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나뉘게 됩니다.

1. 유동부채

유동부채

‘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갚아야 할 부채를 의미하며 종류는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당기법인세부채, 미지급금 및 미지급비용, 선수금과 선수수익, 예수금, 유동성장기부채가 있습니다.

1.1 매입채무

매입채무(Accounts Payable)는 기업이 상품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채무로 매입채무는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으로 나뉘어 집니다.

1.2 단기차입금

단기차입금은 현금을 차입한 채무입니다.

차입 뜻 : 돈이나 물건을 빌림.

1.3 당기법인세부채 (미지급법인세)

기업이 당기에 납부하지 못한 법인세입니다. 역시 1년 이내에 지불해야 하는 유동부채입니다.

당기법인세부채 : 선급법인세(선납한 법인세)와 이연세법인세(내야 할 법인세 - 이연 : 시일을 차례로 미루어 나감)

1.4 미지급금, 미지급비용

미지급금은 일반적 상거래 이외에서 발생한 미지급 상태의 채무입니다. 차량할부금,비품, 건물, 토지, 기계설비 등을 취득했을 때 대금을 외상으로 했을 경우입니다.
미지급비용은 지급 기일이 도래하지 않은 미지급 된 이자, 법인신용 카드대금, 미지급입차료 등이 있습니다.

1.5 선수금, 선수수익

선수금은 거래처에 주문 받은 상품 또는 제품을 인도하기 이전에 대금을 미리 지급 받은 것을 이야기 합니다. 거래처에 제품을 인도했을 경우에 채무(선수금)은 소멸됩니다.
선수수익은 대가의 수입은 이루어졌으나 수익의 귀속 시기가 차기 이후인 것을 말합니다. 선수수익은 일종의 부채이기는 하지만, 원칙적으로는 금전으로 변제 되는 부채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계속적인 용역의 제공을 통하여 변제 되는 부채입니다.

1.6 예수금

예수금은 거래에 관계된 선금 및 보증금이며 나중에 돌려줄 금액이나 처리하는 계정 항목을 뜻합니다.

계정 : 회계의 계정[account]은 자산,부채,자본,비용 및 수익의 변동을 명백히 하기 위해 설정하는 계산 상의 구분

2. 비유동부채 (고정부채)

고정부채


‘비유동부채’는 만기일이 1년 이상 남은 장기 부채를 의미합니다. 장기차입금과 장기매입채무, 이연법인세부채 및 사채 기타유동부채로 나뉘어집니다.

2.1 장기차입금

비유동부채에서 장기차입금은 재무상태표에서 1년을 초과하는 것으로 현금을 차입한 채무입니다.

2.2 장기매입채무

장기성매입채무는 재무상태표 상에서 지급해야 하는 시점이 1년 이상인 장기외상매입금 및 장기성 지급어음으로 나뉘게 됩니다.

 장기외상매입금 : 원재료 또는 상품 구입 시 신용 거래로 외상으로 했을 경우 발생하는 금액.
 장기성지급어음 : 상거래에서 발생한 외상매입금의 지급수단으로 발행한 어음. 

2.3 이연법인세부채

회계 상 비유동부채에서 이연법인세부채는 1년 이후에 내도 되는 법인세입니다.

이연 : 시일을 차례로 미루어 나감

2.4 사채 (회사채)

사채는 장기성 회사채(유가증권) 를 말합니다. 주식처럼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차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행한 것을 말합니다.
부채비율 및 매입채무(매출채권과 함께) 등에 관한 링크를 아래에 걸어 두었습니다. 여기까지 읽었는데 주식 투자가 목적이라면 ROE와 ROA에 대한 글을 보는 걸 추천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Self Employment] 이벤트 전략 3가지

    ‘Self Employment’ 및 ‘small business‘ 운영 시 이벤트를 한다면 이벤트 전략에도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반값 ‘Event’를 할 때 이유 없이 단순 이벤트를 한다면 고객은 “유통기한이 지났을까?”, ‘제품에 하자가 있는 건 아닐까”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떤 방법으로 기획을 해서 진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일까요? 무조건 정답은 아니지만 올바른 방법이 있을까요? 목차1….

  • 소비자 물가지수 보는법(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란? 일반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 및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한국 소비자 물가지수’ 및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등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을 확인 하셨을 겁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CPI를 인플레이션 측정 지수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가정이 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는…

  • 펀드란? 펀드와 주식의 차이

    목차1. 유동부채1.1 매입채무1.2 단기차입금1.3 당기법인세부채 (미지급법인세)1.4 미지급금, 미지급비용1.5 선수금, 선수수익1.6 예수금2. 비유동부채 (고정부채)2.1 장기차입금2.2 장기매입채무2.3 이연법인세부채2.4 사채 (회사채) 1. 펀드란? 펀드(fund)는 라틴어로 펀두스(fundus)로 땅의 밑바닥을 의미합니다. 상업적인 뜻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경제학에서 펀드는 투자 신탁의 신탁 재산을 의미하며,투자신탁 회사는 여러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서 펀드를 만들어서 투자를 하는 집합투자 조직을 말합니다….

  • 현금 및 현금성자산 차이와 분류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의 자산 계정 과목에 속하는 현금성자산(cashable Assets)은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유동성이 높은 단기금융상품을 뜻합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 차이와 분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유동부채1.1 매입채무1.2 단기차입금1.3 당기법인세부채 (미지급법인세)1.4 미지급금, 미지급비용1.5 선수금, 선수수익1.6 예수금2. 비유동부채 (고정부채)2.1 장기차입금2.2 장기매입채무2.3 이연법인세부채2.4 사채 (회사채)1. 현금 현금의 종류는 2. 현금성자산 앞서…

  • 변리사법 시행령 개요 및 제5조의3 | 변리사란?

    상표 및 상표권 및 특허 등의 산업재산권을 특허청에 등록하려면 보통 변리사 사무실을 찾게 됩니다. 변리사가 하는 업무는 산업재산권과 관련된 법률업무(산업재산권: 상표 및 특허 등의 출원, 심판, 소송)를 진행합니다. 법률 업무는 변호사가 담당하는 업무였지만 18세기에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해 발명에 대한 특허권이 중요해지면서 변리사 제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로써 법률 지식만으로는 처리가 어려운 발명 기술과 관련된…

  • 신한은행 땡겨요 수수료 정리(2.2%)

    신한은행 땡겨요는 2021년 12월 22일 서울 광진구, 관악구, 마포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6개 지역에서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베타 테스트 등의 과정을 거쳐 2022년 4월부터 서울 및 경기도 지역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 중입니다. ‘땡겨요‘는 이용자인 고객과 가맹점인 소상공인 및 배달라이더까지 상생할 수 있는 슬로건을 걸고 신한은행에서 추구하는 상생 어플입니다. 신한은행 땡겨요 수수료 및 땡겨요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