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반복: 근대 유럽의 3대 버블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근대 유럽은 세 차례의 대규모 금융 버블을 경험했습니다. 이러한 근대 유럽의 3대 버블은 튤립 버블, 남해회사 버블, 그리고 미시시피 회사 버블로 알려져 있습니다.

1. 남해회사 버블

남해회사 버블(South Sea Bubble)은 1720년 영국에서 발생한 금융 버블로, 주식 가격의 급등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투자하였으나 가격이 급락하여 많은 투자자가 손실을 보았습니다. 이 회사는 아프리카 노예를 스페인령 서인도 제도로 수송하고 이익을 얻는 것이 목적으로 1711년 영국에서 설립되었습니다.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주식 시장은 자금이 출렁하며 중산층들이 투자할 곳을 찾고 있었습니다. 남해 회사의 주가는 급격하게 상승하고 부채 인수 회사로 성장하여 주가는 10배 상승했습니다. 이로 인해 무허가 암거래 회사의 주가도 급등하며 투기 열풍이 일어납니다. 많은 사람들이 투기에 휩쓸려 전무후무한 광풍이 발생합니다. 투기 열풍 속에서 기업가들은 빠른 이익을 얻기 위해 주식 시장에서 투기를 펼칩니다.

근대 유럽의 3대 버블-남해회사 버블

정부는 허가 없이 주식회사를 설립하는 것을 금지하나 이미 무허가로 설립된 회사들이 많아지면서 정부는 규제에 나서게 됩니다. 버블이 붕괴되기 시작하고 주가는 제자리로 돌아가며 많은 사람들이 파산하게 됩니다. 과학자 아이작 뉴턴도 투자로 큰 이익을 봤지만 이후에 큰 손실을 입게 됩니다.

투자자들의 분노는 남해 회사의 이사와 정치가에게 집중되며, 로버트 나이트라는 중요한 증인이 잠적합니다. 분노한 의회는 로버트의 수색을 시작하게 됩니다. 남해회사 버블에 연루된 정치인과 왕실 인사가 벨기에에서 로버트의 송환을 막았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결국 책임 추궁을 당해야 할 왕실과 정치인에게는 아무런 일도 발생하지 않고 마무리됩니다.

2. 미시시피 버블

1717년에 프랑스의 존 로John Law가 미시시피 회사의 경영권을 모으고 뱅크 제너럴Banque General로 이름을 바꾸어 경영을 시작합니다. 프랑스 왕실은 미시시피 회사에 25년 간의 개발 독점권과 북미의 담배와 프랑스의 모든 북미 식민지를 개발할 수 있는 독점권을 주며 지원합니다.

근대 유럽의 3대 버블-미시시피 버블(Mississippi Bubble)

1718년, 프랑스 왕실은 Banque General의 주식을 매수하여 왕립 은행Banque Royale로 변경합니다. 이후 1719년에는 미시시피 회사와 왕립 은행Banque Royale이 합병되어 더욱 강력한 금융회사가 형성되며 사업은 미시시피 유역을 포함한 북미에서 아시아, 아프리카 등으로 확장됩니다. 미시시피 회사의 주가는 1718년에 액면가 300리브르에서 1719년 여름에는 3,000 리브르로 10배 급등합니다.

그러나 1720년에는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북미 식민지에서의 문제와 프랑스 정부의 화폐 발행량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으로 버블이 형성됩니다. 1720년 말에는 거품이 터지며 주가는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1721년 9월까지 주가는 500리브르까지 하락하게 됩니다.

3. 튤립 버블

17세기 네덜란드에서는 튤립 버블이 발생했습니다. 이 거래는 술집에서 이뤄졌으며 현물이나 현금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내년에 구근을 배달하는 것으로 계약이 성사되었습니다. 이렇게 된 “선물 거래 시스템” 덕분에 자본금이 없는 사람도 거래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1637년 2월 3일, 튤립의 거래 가격이 갑자기 폭락하면서 버블이 붕괴되었습니다. 구매자를 찾지 못하고 수요와 가격이 폭락한 결과, 투기 거품이 터졌습니다. 당시 지불을 할 수 없는 채무자들과 채권자들 간의 말다툼과 법적 분쟁이 발생하며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네덜란드 전역에 경기 침체가 일어났습니다.

네덜란드 튤립 버블(Tulip mania)
더 읽어보기

4. 근대 유럽의 3대 버블과 현대의 IT 버블 및 일본 버블과 다른 발생 배경

근대 유럽의 3대 버블은 각각 다른 산업이나 기업에 대한 과대평가와 투기적인 투자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튤립 버블은 튤립 봉오리에 대한 과도한 수요와 가격 상승에 기인하며, 남해회사 버블은 정부와 금융회사의 복잡한 금융 거래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미시시피 버블은 미시시피 회사의 주식을 무분별하게 매수하며 급등한 가격으로 인한 현상입니다.

반면에 IT 버블은 정보기술 산업에 대한 높은 기대와 기술 혁신에 대한 과대평가, 그리고 일본 버블은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서의 급등으로 인한 버블 형성입니다.

근대 유럽의 3대 버블은 많은 기업들과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고, 경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면에 IT 버블(닷컴버블)과 일본 버블은 규모와 영향력에서 더 큰 규모의 버블이었습니다. IT 버블과 일본 버블은 각각의 국가 전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일본의 경우 “잃어버린 30년“으로 불리는 장기 침체의 늪에 빠지게 됩니다.

일본의 버블과 일본 잃어버린 30년 원인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주식배당금이란? 주당배당금, 배당기준일, 배당지급일

    주식배당금(Dividend)은 코스피 or 코스닥에 상장(IPO)한 주식회사가 회사의 이익잉여금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누어 주는 금액을 말합니다.배당금은 보통 현금으로 배당이 이루어지며, 특정 기간 내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증권을 보유한 증권사의 계좌로 배당일에 맞춰서 입금됩니다. 목차1. 남해회사 버블2. 미시시피 버블3. 튤립 버블4. 근대 유럽의 3대 버블과 현대의 IT 버블 및 일본 버블과 다른 발생 배경 1. 주식배당금-주당배당금…

  • 세무기장이란? 기장대리 및 신고대리

    세무기장이란? 사업을 지속하면서 세금 신고를 하기 위한 장부 작성입니다. 사업을 영위하면서 발생하는 매입·매출에 대한 모든 영수증을 장부로 만들어 서류로 만드는 것입니다. 기장은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초가 되며, 세무 관리를 함으로써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목차1. 남해회사 버블2. 미시시피 버블3. 튤립 버블4. 근대 유럽의 3대 버블과 현대의 IT 버블 및 일본 버블과 다른 발생…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비교(2020년 12월 10일~)·포인트 정리

    은행에서 사용했던 공인인증서가 2020년 5월 20일에 폐지 된다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국회 의결 후, 6월 9일 공포되었습니다. 2020년 12월 10일 공인인증서가 폐지 되었습니다. ‘공인인증서’란 이름이 폐지된 것이며, ‘공동인증서’란 명칭으로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2020년 12월 10일 ‘금융인증서’가 금융결제원의 본인인증 서비스로 출시 되었습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비교’하여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차이점을 순차적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1. 남해회사…

  • 원가회계란?

    원가회계(cost accounting)는 제품의 정확한 원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생성된 원가 정보는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에서 제품 원가 정보로 사용됩니다. 목차1. 남해회사 버블2. 미시시피 버블3. 튤립 버블4. 근대 유럽의 3대 버블과 현대의 IT 버블 및 일본 버블과 다른 발생 배경1. 원가회계의 목적 원가관리(cost control)는 표준 원가를 설정하고 실제 원가와 표준 원가를 일치시켜 경영상의 낭비를 제거라는데 목적을…

  • PMI 지수란

    주식 투자 시 PBR과 PER, ROE와 같은 주식 투자지표를 본다면, 전체적인 경제지표를 볼 때 보는 지수 중 하나가 PMI 지수입니다. 미국이 세계 경제의 중심인건 여전하기 때문에 미국을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PMI 지수란 미국 공급관리자협회(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 ISM)가 매월 400개 이상 기업의 구매 및 공급 관련 사항을 설문조사 한 결과를 산출한 지수입니다. PMI(Purchasing…

  • 메리츠증권 배당 및 기업분석

    메리츠증권은 금융주 중에서도 대표적인 배당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리츠증권 배당금은 2020년 12월 기준 320원으로 배당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목차1. 남해회사 버블2. 미시시피 버블3. 튤립 버블4. 근대 유럽의 3대 버블과 현대의 IT 버블 및 일본 버블과 다른 발생 배경 1. 메리츠증권 배당금과 배당 성향 메리츠증권 배당금은 2020년 사업보고서 항목 배당에 관한 사항에서도 꾸준한 배당 성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