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 호스트네임 변경

VirtualBox에 윈도우 서버 2016을 설치했습니다. 설치한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을 진행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로컬 서버] > [이더넷] 순서로 클릭합니다.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1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2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3

▲ 속성 클릭 후,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를 클릭합니다.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4_네트워킹

🔲 고정 IP 확인

Windows Server 2016에서 CMD를 실행하면, VirtualBox에서 자동으로 할당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Windows Server 2016 VM에서 확인한 IP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5_CMD_virtualbox에서 랜덤으로 적용한 IP 주소

🔲 고정 IP 적용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6_IPv4 고정 IP 입력

고정 IP 입력 후 외부 PING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7_외부 핑 체크

✅ 호스트네임 변경

윈도우 서버 2016 호스트네임 설정 1
윈도우 서버 2016 호스트네임 설정 2_시스템 속성

DNS 서버 목적이 있어 DNS-01로 이름을 설정하겠습니다.

윈도우 서버 2016 호스트네임 설정 3_컴퓨터 이름_도메인 변경

실제 기업 환경에서는 서버를 도메인에 가입시킵니다.

  • 도메인 컨트롤러(Active Directory)에 가입해 중앙 관리, 보안 정책 적용, 인증 통합 등을 받기 위해서입니다.

서버가 도메인에 가입되면:

  • 그룹 정책(GPO) 적용 가능
  • 사용자 및 컴퓨터 관리가 편리
  • 네트워크 리소스 접근 권한 관리 용이

네임서버(DNS 서버) 역할만 하는 서버도 도메인에 가입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작업 그룹 상태로 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단독 서버나 소규모 환경에서는 도메인 미가입 상태로 운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재부팅 후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고정 IP) 및 호스트네임(컴퓨터 이름)이 설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고정IP)_호스트네임 설정

Similar Posts

  • 리눅스 pwd 명령어 & realpath 명령어 | 절대 경로 위치 확인

    목차✅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고정 IP 확인🔲 고정 IP 적용✅ 호스트네임 변경✅ pwd 명령어 pwd 명령어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절대 경로를 표시합니다. 🔲 명령어 옵션 pwd 명령어는 간단한 명령어로 옵션은 2가지만 존재합니다. ✅ realpath 명령어 realpath 명령어는 실제 경로를 절대 경로로…

  • 리눅스 Rsync 명령어

    Rsync (Remote Sync) 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과 디렉터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는 백업 방식입니다. 전체 데이터를 매번 복사하는 대신 변경된 부분만 증분 방식으로 전송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또한 다양한 옵션을 통해 압축, 암호화, 권한 유지, 삭제 동기화 등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백업과 서버 간 데이터 전송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고, 재 전송…

  • 아파치 재시작 오류 | (20014)Internal error: Error retrieving pid file logs/httpd.pid

    아파치 재시작을 진행했으나 위 두 가지 오류가 확인될 수 있습니다. apachectl restart 등의 명령어를 입력했지만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 이유는 아파치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목차✅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고정 IP 확인🔲 고정 IP 적용✅ 호스트네임 변경✅ Error retrieving pid file logs/httpd.pid 해결하기 로그 폴더에서 httpd.pid를 확인했을 때 폴더가…

  • 리눅스 패키지(Linux Packag)란 무엇인가?

    리눅스 패키지(Linux Packag)를 윈도우와 비교하자면, 윈도우의 인스톨러 파일(.msi, .exe)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리눅스에서는 비슷한 개념으로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설치합니다. 리눅스 패키지는 실행파일, 라이브러리, 설정 파일 등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제공하며,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해당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시스템에 설치합니다. 윈도우의 인스톨러와 유사하게, 리눅스는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쉽게 설치, 업데이트, 삭제할…

  •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E, RHCA

    레드햇 자격증(Red Hat Certification)은 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확인하고 입증하는 자격증입니다. 레드햇 웹사이트에서 확인한 RHCSA, RHCE, RHCA 3개 자격증의 정보입니다. 자격증의 기본적인 취득 조건은 RHCSA 자격증 취득 후 RHCE, RHCA 순서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목차✅ 윈도우 서버 2016 네트워크 설정🔲 고정 IP 확인🔲 고정 IP 적용✅ 호스트네임 변경1.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SA(Red Hat…

  • 셔뱅(Shebang) [#! /bin/bash]

    shebang (셔뱅 또는 해시뱅)은 스크립트 파일의 첫 줄에 쓰이는 #!(해시 기호 + 느낌표)로 시작하는 구문입니다. 이 줄은 해당 스크립트를 어떤 인터프리터로 실행 할지를 지정합니다. 인터프리터(interpreter)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한 줄씩 읽고 즉시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는 “작성된 명령을 번역해서 곧바로 실행해주는 번역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ASCII 텍스트 파일로 작성된 셸 스크립트에서 해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