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근본 원인-지급준비율 7%와 통화승수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걸까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본 원인은 화폐의 사용량이 계속해서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자본주의 시스템에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화폐의 양이 늘어나는지 우리는 알 필요가 있습니다. 급여생활자와 사업자 및 투자자 사이의 부의 양극화가 심해질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이 글에서 풀어보겠습니다.

2022년 인플레이션 원인

1.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화폐량 증가

화폐량의 지속적인 증가는 필연적인 화폐 가치의 하락을 불러 올 수 밖에 없습니다. 화폐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1 예금과 대출 과정의 지급준비율

예를 들어 A씨가 시중 은행에 100만 원의 예금을 맡길 경우 은행은 10만 원의 예금을 남긴 후 90만 원을 대출해 줄 수 있습니다. 그럼 시장에 유통되는 돈의 양은 총 190만 원이 됩니다. 예금과 대출이 반복됨으로써 돈의 양이 늘어납니다.

1.2 은행 간 거래로 인한 화폐량 증가

이렇게 A은행에 100억 원의 예금이 있을 경우 B은행에 90억 원을 대출해 준다고 가정하면, 시중에 유통되는 돈은 190 억원, B은행이 다시 C은행에 81억 원을 대출 해 줍니다. 이렇게 무한 반복이 이루어지면 100억 원의 돈은 1,000억 원까지 늘어납니다.

100억 원+91억 원 + 81억 원 + 72 억원 ..... = 1,000억 원
이렇게 돈이 늘어나는 과정을 통화승수라고 합니다.
손익계산서

2.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 두 번째 – 돈을 지속적으로 찍어내는 은행시스템

예를 들어 한 섬에서 A씨가 은행으로부터 1억 원의 돈을 대출했는데 섬에서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1억 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럼 A씨는 1억 원의 돈을 갚아야 하지만 갚을 수 있는 돈의 양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결국 중앙은행은 돈을 추가로 찍어내야 합니다. 다시 중앙은행은 찍어낸 화폐는 시중 은행에서 다른 B씨에게 대출을 해 주며 무한 반복이 이루어집니다. 결국 돈의 가치는 하락하며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 중 하나가 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급준비제도란-지급준비율(7%)과 통화승수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2차 전지 관련주: 삼성 SDI 개요

    삼성 SDI(Samsung Display Interface)는 한국의 IT 기업이며 삼성그룹의 전자 계열사입니다. 브라운관, PDP, OLED 등 디스플레이 제품이 주력이었으나 사업 영역을 넓혀 2000년 리튬이온 위주의 2차 전지 사업에도 진출하였습니다. 1970년 1월 20일 삼성-NEC 주식회사로 설립되었고, 1979년 1월 29일 기업공개를 실시하여 1979년 2월 27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또한 1999년 11월 29일 디지털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 CJ CGV 유상증자 99퍼센트 달성

    목차1.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화폐량 증가1.1 예금과 대출 과정의 지급준비율1.2 은행 간 거래로 인한 화폐량 증가2. 인플레이션 근본 원인 두 번째 – 돈을 지속적으로 찍어내는 은행시스템■ CJ CGV 유상증자 99% 달성 CJ CGV 유상증자 99퍼센트 달성이 되었습니다.2020년 07월 20부터 24일까지 CJ CGV의 유상증자 청약이 있었습니다.2000억 원 가량의 유상증자가 진행되면서 CJ CGV는 99% 청약율을 보였습니다….

  • 2차 전지(Secondary Cell) | 정의와 미래 산업을 주도하는 핵심 역할!

    2차 전지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 및 재생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차 전지의 개발과 발전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에 대한 중요한 동력원으로 점점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자동차 산업에서 주목 받기 시작한 이차 전지 시장은 2020년 대 한국, 일본, 중국 세 나라가 주도하고…

  • 재무상태표: 차입금 뜻과 분류

    주식 투자자 중 재무제표를 보고 기업의 재무를 확인하는 경우 재무상태표의 유동부채의 차입금(영어: borrowings)이란 내용을 확인하게 됩니다. 재무에서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 차입을 하게 되며, 일정한 기한 내에 원금 및 이자에 상환을 지급한다는 조건으로 채권·채무 계약에 따라 조달된 자금을 의미합니다. ※ 차입금은 빌릴 차(借), 들일 입(入), 쇠 金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빌리다(borrow)의 뜻을 가진 영어가…

  • 포스코퓨처엠 개요: 2차 전지 양극재 및 음극재 생산 기업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회사이자 45,000톤/년(2022년)의 Hi-Ni계 양극재 생산 capa를 보유한 국내 유일 음/양극재 소재를 동시 생산 및 납품하는 2차 전지 소재사입니다. 2022년 매출액 비중은 내화물부문 16.7%, 라임화성부문 24.6%, 에너지소재부문 58.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거래처는 내화물부문은 (주)포스코 등, 라임화성부문은 (주)포스코, OCI(주) 등, 에너지소재부문은 이차전지 배터리사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이며, 2022년 당기 누적…

  • 상표 브랜드 2가지 다른 용도

    ‘상표 브랜드‘ 2개 단어는 그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세계 무역기구 (The World Organization)에서 지적 재산권을 무역 관련 측면에서 봤을 경우로써 상표(trademark)의 의미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상표(trademark): 어떤 기호 및 기호의 조합으로 하나의 사업에 제품과 서비스를 구별 할 수 있어야 한다. brand는 마케팅 측면에서 판매 촉진을 위해 상품 판매자가 본인의 상품을 홍보하기 위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6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