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와 자바스크립트 차이

자바와 자바스크립트 차이에 대해 자바를 배웠다면 이름만 비슷하고 확연히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바(Java)

자바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Sun Microsystems(현재의 오라클)에서 개발했으며 현재는 오라클이 유지보수 하고 있습니다.

  • 자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바는 안정적이고 이식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Write Once, Run Anywhere(WORA)라는 개념으로 알려져 있음.
  • 자바는 정적 타입 언어로,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소스 코드를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고, 이를 JVM(Java Virtual Machine)에서 실행

자바의 기본 데이터 타입과 자바 배열 사용 예시입니다. ▼ (출처: https://blog.naver.com/trader_ryu/220856442482)

# 자바 기본 데이터 타입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기본 데이터 타입 */
        int i = 1;
        float f = 1.1f;
        double d = 1.2;
        boolean b = true;
        char c = 'a';
        System. out.println(i );
        System. out.println(f );
        System. out.println( d);
        System. out.println(b );
        System. out.println(c );
    }
}
# 자바 배열 사용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배열 선언 */
       int[] arr = {1,2,3,4};
       System. out.println(arr .getClass());
      }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자바스크립트는 객체지향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 자바스크립트: 객체지향 스크립트 언어
  • 자바스크립트는 웹 개발을 위한 스크립트 언어로, 웹 페이지의 동적 기능을 추가하는 데 주로 사용.
  • 초기에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Node.js와 같은 런타임 환경을 통해 서버 측 프로그래밍에도 사용
  • 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HTML과 CSS와 함께 웹 개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
  •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 언어로, 브라우저에서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됩니다. 최근에는 JIT(Just-In-Time) 컴파일러도 사용하여 성능이 향상되고 있음.
자바와 자바스크립트 차이: 자바 >객체와 클래스 개념 / 자바스크립트 > CSS와 HTML에 의존

프론트 앤드 개발

두 언어는 프론트 엔드 개발에서 주로 사용되며, 자바스크립트는 HTML 안에 직접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HTML에서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형됩니다.

자바는 애플릿 형태로 사용됩니다.

백 앤드 개발

모두 서버 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바는 apache, JBoss와 같은 백 앤드 기술에서 자바가 사용되어 왔으며, Node.js를 사용하게 되면서 서버 쪽에서도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자바와 자바스크립트 차이: 비교표

커피와 노트북

Similar Posts

  • HDD SSD 차이 7가지

    HDD SSD 차이로 볼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인식은 SSD가 더 작은 크기지만 HDD에 비해 더 빠른 성능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DD와 SSD는 컴퓨터의 기본 구성 중에 보조 기억 장치에 속하게 됩니다. 보조 기억 장치는 주 기억 장치인 RAM보다 용량이 크지만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유지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SEO: Nofollow Link란? | 사용 및 미사용 해야 하는 경우

    노팔로우 링크란 A사이트의 외부 링크를 통해 B사이트가 백링크를 얻는다면 B사이트는 페이지랭크 점수를 얻게 되만 rel=”nofollow” 속성을 추가하여 구글을 포함한 검색 엔진링 링크를 통한 링크 주스를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노팔로우 링크(Nofollow Link)는 SEO에서 필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중요성에 대한 논쟁은 여러가지 의견이 있지만 대체로 중요하다는 의견이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사용하는 것이 SEO에…

  • 글루 레코드란? 개인 네임서버 등록 지원을 하는 namecheap

    목차자바(Java)자바스크립트(JavaScript)프론트 앤드 개발백 앤드 개발자바와 자바스크립트 차이: 비교표글루 레코드 글루 레코드(Glue Record)는 NS 레코드를 가리키는 A 레코드입니다. 도메인을 호스팅 서버에 연결하려면 네임서버를 거치게 되기 되며, 네임서버 연결 시 확인되는 도메인은 앞에 ns1.domain.com 및 ns1.domain.com처럼 서브로 ns1이 붙는 2차(서브) 도메인입니다. 개인 네임서버를 위한 Glue Record 등록 지원 namecheap 보통 이용하는 호스팅 회사의 네임서버를 사용하지만…

  • 디스크 섹터란?

    본 의미는 분류, 기하학적으로 부채꼴을 뜻합니다. 디스크 섹터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플래시, 등의 저장 매체에서 특정 크기로 구분한 것을 의미합니다. 저장 장치의 물리적 위치를 의미하는 섹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세분화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드 디스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 전에 하드 디스크(Hard Disk Drive: HDD)는 SSD와 함께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비휘발성으로 순차 접근이…

  • JPEG vs PNG 파일 크기와 속도 비교하기

    웹사이트에 이미지 파일 확장자를 업로드 할 때 적절한 이미지 파일 형식을 고민하게 됩니다. 수 많은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 중에 JPEG 파일과 PNG 파일 사이에서 고민하게 됩니다. JPEG vs PNG 파일의 다른 점은 무엇이며, 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있어 어떤 파일을 사용하는 게 효과적일까요? 우선 차이점부터 알아봐야 합니다. 이 글에서 다룰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무손실 vs…

  • [SEO] 구글 지식 패널 | 개요

    구글 지식 패널(Google Knowledge Panel)이란 크롬 앱 및 구글 이용자들이 기업, 사람, 장소, 인터넷 사이트, 사물과 단어 뜻 등의 다양한 항목을 검색했을 때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 우측에 표시되는 정보 상자입니다. 주로 구글링을 하게 되면 제일 많이 나오는 지식 패널은 위키피디아입니다. 지식 패널은 자동으로 생성되며, 지식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처는 웹 전체의 다양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