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자산이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2가지 분류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자산이란?

■자산이란?

자산이란? 재무상태표의 자산(Assets)은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자산이란

회계 기준으로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자산을 유동자산(Current Assets)이라고 부르고, 1년 이상 걸리는 자산을 비유동자산(Non-Current Assets) 또는 고정자산이라고  합니다.
(from 재무상태표 )

유동자산‘ 은 현금,주식,사채 등을 말하며, 유동자산이 재무상태표 작성일 기준 1년 이내에 돈이 되는 것이라면, 당좌자산은 유동자산 중에서 판매 과정 없이 1년 이내 바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입니다. (회계에서 당좌는 현금으로 즉시 전환이 편리한 것을 의미합니다.)

Ⅰ. 유동자산

1. 당좌자산

당좌자산의 분류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등이 있습니다.

자산이란? - 자산,자본,부채 -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현금은 화폐 및 화폐로 교환할 수 있는 수표와 어음을 뜻하며, 현금성 자산은 취득 당시에 만기가 3개월 이내인 유동성 있는 단기 금융 상품을 뜻합니다. (단기 금융 상품은 만기 3개월 아내 국공채, 회사채 및 양도성 예금증서(CD) MMDA환매조건부채권, 증권사의 MMF 및 CMA가 있습니다.) 매출채권은  상거래에서 제품과 상품 등을 외상으로 제공하면서 발행한 채권을 말합니다.

매출채권이 당좌자산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코스닥 상장 기업의 경우 지속적인 영업손실로 인한 4년 간 영업손실 발생 (기술 성장기업 제외) 시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 폐지를 당할 수 있으니 투자 시에는 이 점을 참고하셔야 합니다.

2. 재고자산

‘재고자산’ 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구입한 상품과 원료를 써서 완성된 제품. 완제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가공한 중간 반제품 또는 저장과 판매가 가능한 반제품이 있으며, 아직 제조 공정에 있는 재공품, 제품을 만들기 위한 원재료, 그리고 아직 도착하지 않음 미착품과 제조중에 소모되는 소모품 등이 있습니다.

Ⅱ. 비유동자산

1년 이상 걸리는 ‘비유동자산’ 은 유형자산,무형자산 및 기타자산이 있습니다.

1. 유형자산 (부동산, 플랜트, 장비)

유형자산은 회사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장이나 보유한 사무실과 같은 건물 등의 형태를  유형자산이라고 합니다.
차량 및 토지와 건물(공자,사무실) 기계 등이나 해운업의 경우 선박, 항공사의 경우 보유한 항공기가 되며, 물리적 형태가 있는 자산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특히 제조업 기업의 경우 유형자산의 규모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자동차를 샀을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자동차의 가치가 내려가는 것처럼 유형자산은 감가상각이 적용됩니다.

2.무형자산

무형자산은 영업권 및 개발비, 산업재산권 등이 있습니다.
영업권은 보통 법적으로 인정이 되지 않는 식별이 불가능한 미래의 경제적 효과를 말하며, 권리금 등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영업권은 기업을 인수할 경우 기업이 가진 자산가치를 초과해서 지불하는 프리미엄 금액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개발비는 신제품, 신기술 등에 투자한 비용을 이야기 합니다. 제약회사 등에서는 신약 개발에 개발비 항목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산업재산권은 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의장권, 상표권 등이 있습니다.

3. 기타비유동자산

기타비유동자산은 비유동자산 중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에 속하지 않는 자산을 가리키며, 기타비유동자산은 임차보증금과 전세권 장기매출채권 및 장기미수금 등이 포함됩니다.

Ⅲ. 당좌비율(Quick Ratio)

당좌비율은  유동부채를 갚기 위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당좌자산을 처분 했을 떄의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 상에서 계산한 비율입니다.
이를테면,
100억 원의 당좌자산이 있고 유동부채가 100 억원이면 당좌비율은 100%입니다.

당좌비율이 100% 이상이면 기업의 재무는 건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당좌비율이 너무 높을 경우에는 유보금이 쌓여 기업의 효율적인 재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고려해야 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 익명의 개발자로부터 시작된 역사

    비트코인Bitcoin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암호화페입니다.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라는 익명의 프로그래머가 시도되지 않은 탈중앙화 디지털 통화를 설명하는 9페이지 분량의 문서를 발행했습니다. 목차■자산이란?Ⅰ. 유동자산1. 당좌자산2. 재고자산Ⅱ. 비유동자산1. 유형자산 (부동산, 플랜트, 장비)2.무형자산3. 기타비유동자산Ⅲ. 당좌비율(Quick Ratio)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Bitcoin은 개인, 그룹 및 정부 기관이 통제할 수 없는 화폐 및 결제 수단으로 작동하게 설계된 가상화폐입니다….

  • 국세청 홈택스 회원가입 방법(국세청 연락처 126)

    원천세 및 부가세 등 각종 세금 관련 업무를 처리하려면 홈택스 회원 가입이 되어야 합니다. 목차■자산이란?Ⅰ. 유동자산1. 당좌자산2. 재고자산Ⅱ. 비유동자산1. 유형자산 (부동산, 플랜트, 장비)2.무형자산3. 기타비유동자산Ⅲ. 당좌비율(Quick Ratio) 1. 홈택스 회원가입 방법&홈택스 사업자 가입 회원 가입 시 개인으로 가입 후 사업자등록증 번호 기준으로 관리도 가능합니다만, 만일 사업자 계정으로 가입한 후에 써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 엘앤에프 주가 전망 및 투자 의견[2024]

    2차 전지 양극제 제조/판매 기업인 엘앤에프는 2023년 3월 2분기 영업 이익이 이전 분기에 비해 374억 줄어 들었으며, 2022년 이후 분기마다 매출이 감소한 상태이다. 남은 3·4 분기 실적에서 큰 기대를 모으지 못하는 추세가 강하며 엘앤에프 주가 전망이 2023년 한해 어두운 이유이기도 하다. 목차■자산이란?Ⅰ. 유동자산1. 당좌자산2. 재고자산Ⅱ. 비유동자산1. 유형자산 (부동산, 플랜트, 장비)2.무형자산3. 기타비유동자산Ⅲ. 당좌비율(Quick Ratio)…

  •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목차■자산이란?Ⅰ. 유동자산1. 당좌자산2. 재고자산Ⅱ. 비유동자산1. 유형자산 (부동산, 플랜트, 장비)2.무형자산3. 기타비유동자산Ⅲ. 당좌비율(Quick Ratio) ■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증자와 대표이사 및 상호 변경’ 3가지 항목에 대해 전자 공시 사이트 DART에서 알아 보겠습니다. □증자 (회사의 자본 증가) 증자란 주식회사가 회사의 주식 총 수 를 늘려서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반대로 주식의 수를 줄이는 경우…

  • 2021년 10월 25일 KT 인터넷 장애

    목차■자산이란?Ⅰ. 유동자산1. 당좌자산2. 재고자산Ⅱ. 비유동자산1. 유형자산 (부동산, 플랜트, 장비)2.무형자산3. 기타비유동자산Ⅲ. 당좌비율(Quick Ratio) 1. 개요 2021년 10월 25일 KT 인터넷 장애 사건이 발생했다. 금일 11시 16분 경 KT망 서비스에 최초의 장애가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KT 휴대폰을 사용하는 중 인터넷이 되지 않았던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집에서 사용하는 KT 인터넷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전국 인터넷과…

  • 외상매출금과 미수금

    ‘외상매출금과 미수금‘ 은 재무상태표에서 ‘당좌자산‘ 에 속합니다. 매출채권은 ‘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으로  나뉘어 진다고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의 글에서 언급했습니다. 매출채권은  상거래에서 제품과 상품 등을 외상으로 제공하면서 발행한 채권을 말합니다. 매출채권 = 외상매출금&받을어음 목차■자산이란?Ⅰ. 유동자산1. 당좌자산2. 재고자산Ⅱ. 비유동자산1. 유형자산 (부동산, 플랜트, 장비)2.무형자산3. 기타비유동자산Ⅲ. 당좌비율(Quick Ratio)1. 외상매출금(Accounts receivable) 외상매출금은 거래를 하고 결제를 받기 전 상태의 매출 금액입니다. 즉,…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