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전자공시를 확인할 수 있는 DART  사이트는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 된 기업들의 재무에 관한 사항을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주식 투자자에게 있어 중요한 정보를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에서 전자공시 또는 다트를 입력하면 전자공시를 볼 수 있는 사이트가 구글링 됩니다.
외부 감사를 받은 결과를 공시하는 사이트입니다. 주식 투자자라면 회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확인하는 건 기본이겠죠.(가치 투자자이든 모멘텀 투자자이든, 그리고 성장 중에 투자하는 투자자이든 상관 없이 봐야겠죠.)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전자공시시스템(DART: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사이트입니다.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전자공시에서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보는 방법은 회사명에 회사명 입력 및 정기공시 및 외부감사 관련에서 각각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체크 후 검색을 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를 기간 전체로 검색하여 확인 시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는데 감사보고서는 2009년에 결산이 마지막입니다. 카카오 정도 규모의 법인은 매년 사업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사업보고서에는 감사보고서가 이미 첨부되어 있습니다. 2010년도 사업보고서를 클릭하여 확인하면, 22009년부터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법인은 감사보고서 제출을 사업보고서에 첨부하여 제출하며,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첨부된 감사보고서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업보고서에서 좌측 재무에 관한 사항의 연결재무제표 재무제표를 통해 해당 기업의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재무제표를 확인하여 최소한 투자하지 말아야 할 기업을 가려내야 합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대한항공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대한항공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 이 2020년 5월 13일에 결정했다는 공시가 발표되었습니다. 7월 8일에 전자공시에  정정되어 보고된 주요사항보고서에서 대한항공이1조 1천 269억 8천만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진행하였습니다.유상증자 방식은 주주배정 후에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하며, 7월 14일~15일 일반 투자자에게 실권주 청약을 진행하게 됩니다.그리고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을 대상으로 각각 1천 8백억 원, 1천 2백억 원 총 3천…

  • 한국 기업경기실사지수(BSI)란?-0~200점 점수 산정 방식

    기업의 매출, 생산 등의 주요 경영활동을 통한에 의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통계값인 기업경기조사가 있습니다. 이렇게산출된 지표가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입니다. 기업 경영자들의 경기에 대한 판단과 전망 계획들을 설문조사를 통해 작성하는 지표로써 심리적인 측면이 반영된 ‘경제심리지수’입니다. 대한민국은 전경련과 한국은행에서 지수를 산출합니다. 주식 투자 시 미국의 PMI 지수, 한국에선 BSI 및 PMI 지수를 제조업 경기…

  • 사업보고서: DART의 11가지 항목

    ▥ 사업보고서 – 항목 ‘사업보고서‘ 는 사업년도 결산 후 90일 이내, 분기보고서는 결산일 후 60일 이내, 반기 보고서는 결산일 후 45일 이내입니다.기업들은 사업 보고서와 반기 보고서, 분기 보고서를 정해진 기간 내에 공시를 하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사업 보고서’ 는 Ⅰ. 회사의 개요, Ⅱ. 사업의 내용, Ⅲ. 재무에 관한 사항, Ⅳ.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 PBR과 BPS의 정의: 주가순자산비율과 주당순자산

    ‘PBR과 BPS의 정의‘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BR: 주가순자산 비율 ‘PBR‘이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rice to Book Ratio : 주가 순자산 비율) PER 및 ROE와 함께 많이 보는 주식 지표입니다. 주가 순자산 비율 = 현재주가 ÷ 주당 순자산(BPS) PBR (주가 순자산 비율)은 현재주가 ÷ BPS(주당 순자산) 풀어서 현재의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로써 현재의 주가가 낮거나…

  • 금본위제란? BC 700년 시작된 금본위제도 역사

    금본위제Gold Standard)란 화폐를 금의 가치로 환산한 것입니다. 금본위제도(Gold Standard System)는 지정된 금의 양을 자국 통화 가치와 고정하거나 연결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금본위제를 사용한 국가의 중앙은행은 세 가지의 통화 정책 기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고정된 가격의 법정 화폐를 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지하여 물가 안정 ⓑ 환율 방어 ⓒ 국제수지 불균형의 안정적인 조정 1. 금본위제도와 법정화폐…

  • 배달의 민족 수수료 정리(배민 광고&배민1) – 2022년 3월 21일

    배달의 민족 수수료가 2022년 3월 21일부터 개편되었습니다. 배민1 요금제와 광고비를 포함함 일반 배달의 민족 수수료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맨 아래에는 상품 별 총 수수료가 계산되어 있으니 목차에서 맨 아래로 바로 내려가셔서 보셔도 됩니다. 배달의 민족 및 쿠팡이츠 수수료 계산 시 부가세를 뺀 금액으로 표시해서 정확한 계산이 어렵습니다. 이 콘텐츠에서는 부가세를 포함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