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발행초과금이란? 증자와 자본잉여금 관계

주식발행초과금(영어: premium on capital stock)은 기업 상장을 하면서 출자, 기업 운영 중 유상증자 시 공모가가 액면가를 초과하는 차액으로 자본준비금에 속하게 됩니다. 상법에서는 자본준비금이란 용어로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제459조(자본준비금) 
① 회사는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잉여금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자본준비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② 합병이나 제530조의2에 따른 분할 또는 분할합병의 경우 소멸 또는 분할되는 회사의 이익준비금이나 그 밖의 법정준비금은 합병ㆍ분할ㆍ분할합병 후 존속되거나 새로 설립되는 회사가 승계할 수 있다.

460조(법정준비금의 사용)제458조 및 제459조의 준비금은 자본금의 ‘결손 보전’에 충당하는 경우 외에는 처분하지 못한다.

출처: 상법 제459조(자본준비금), 법정준비금의 사용
※주식발행초과금은 상법에 따라 반드시 회사 내에 적립되어야 합니다. 주주에게 배당할 수 없으며, 자본의 결손보전에 충당하는 경우 외에 처분하지 못 하는 것을 상법 460조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 결손금: 일정한 기간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서 생긴 손실의 금액이며, 결손보전은 결손금을 충당하는 것.
재무제표 작성을 위한 재무 회계

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관계

주식발행초과금은 자본잉여금 계정 과목에 속하며, 재무상태표 자본 항목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발행초과금은 자본잉여금에 속하게 됨을 재무상태표에서 확인

주식발행초과금 무상증자

준비금의 자본금 전입을 통해 무상증자로 초과금을 처리할 수 있으며, 관련 법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461조(준비금의 자본금 전입)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준비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자본금에 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정관으로 주주총회에서 결정하기로 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4. 14.>


② 제1항의 경우에는 주주에 대하여 그가 가진 주식의 수에 따라 주식을 발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1주에 미달하는 단수에 대하여는 제443조제1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③ 제1항의 이사회의 결의가 있은 때에는 회사는 일정한 날을 정하여 그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가 제2항의 신주의 주주가 된다는 뜻을 그 날의 2주간전에 공고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 날이 제354조제1항의 기간 중인 때에는 그 기간의 초일의 2주간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④ 제1항 단서의 경우에 주주는 주주총회의 결의가 있은 때로부터 제2항의 신주의 주주가 된다.

⑤ 제3항 또는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신주의 주주가 된 때에는 이사는 지체없이 신주를 받은 주주와 주주명부에 기재된 질권자에 대하여 그 주주가 받은 주식의 종류와 수를 통지하여야 한다.  <개정 2014. 5. 20.>

⑥ 제339조의 규정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의 발행이 있는 경우에 이를 준용한다.  <개정2020. 12. 29.>

출처: 상법 461조
재무 회계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채권 투자전략 水

    채권을 알면 펀드 및 주식에 대한 투자 전략을 더 크게 짤 수 있습니다. 채권 투자전략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주식은 소액으로도 투자 할 수 있지만 이에 반해 채권은 주식보다 거래 단위가 크고 개인 투자자가 투자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펀드를 하는 경우를 들자면 실제 펀드에 투자하며, 많은 투자자가 채권에 간접 투자를 하고…

  • 워런티(Warranty)와 개런티(Guarantee) 2가지 용어의 뜻과 차이

    상품 및 서비스의 품질 및 보증을 의미하는 용어로 워런티(Warranty)와 개런티(Guarantee)가 있습니다. Warranty는 주로 제조사가 제품의 하자를 보증할 때 사용되며, Guarantee는 제품을 포함한 서비스에 포괄적인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Warranty는 보증을, Warranty는 보장하다는 기본 뜻에서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목차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관계주식발행초과금 무상증자Warranty와 Guarantee 공통점 소비자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지고 일정한 기간…

  • 외상매출금과 미수금

    ‘외상매출금과 미수금‘ 은 재무상태표에서 ‘당좌자산‘ 에 속합니다. 매출채권은 ‘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으로  나뉘어 진다고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의 글에서 언급했습니다. 매출채권은  상거래에서 제품과 상품 등을 외상으로 제공하면서 발행한 채권을 말합니다. 매출채권 = 외상매출금&받을어음 목차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관계주식발행초과금 무상증자1. 외상매출금(Accounts receivable) 외상매출금은 거래를 하고 결제를 받기 전 상태의 매출 금액입니다. 즉, 상품이나 제품을 판매하고 대금을 받지 않은 외상으로 처리된…

  • 감가상각

    목차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관계주식발행초과금 무상증자■감가상각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감가상각 (減價償却)에서 감가(減價)란 가치가 감소한다는 뜻을 지니며, 상각(償却)은 손해를 보상하여 갚아준다는 원 뜻과 토지를 제외한 고정 자산에 생기는 가치를 계산하여 자산의 가격을 감소 시키는 회계 상의 절차라고 볼 수 있습니다.기업이 소유한 공장과 기계설 비와 같은 비유동자산은 일정 시간이 흐르면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해당…

  •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 발급 받는 4가지 방법

    목차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관계주식발행초과금 무상증자1.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이란?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이란 사업자가 특정기간 신고한 ‘부가가치세 매출과세표준’과 ‘납부세액’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부가가치세세 신고가 완료된 내역에 한해 발급 가능합니다. 세무서 전산 처리 기간에 따라 몇 일 되지 않은 신고 건은 바로 조회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을 발급 받는 4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2. 부가세과세표준증명원 발급 받기 2.1 정부 24에서…

  • 2022년 배달대행업체 사기 사례

    2022년 코로나가 장기화 되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플레이션 및 배달비 등 많은 자영업자들이 힘든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배달대행업체’ 사기 관련 글들이 네이버 카페에 올라와서 글을 하나 씩 모아서 정리해 봤습니다. 목차주식발행초과금 자본잉여금 관계주식발행초과금 무상증자1. 배달대행업체 사기 사례 1.1 별내 xxx 배달업체 아프니까 사장이다 카페의 사기 사례 공유글입니다. https://cafe.naver.com/jihosoccer123/1629271 1.2 계약한 금액 이상 금액…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0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