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예수금 및 증거금과 미수금 | D+1, D+2 의미

주식 예수금이란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사의 증권 계좌에 입금한 돈을 예수금(영어: deposit received)이라고 합니다. 일종의 보증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거래를 위한 자금으로 사용되는 것이 주 목적으로 투자자가 거래를 하기 위해 특정 금액을 계좌에 예치해야 하므로 거래 시 자금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주식 거래 시 발생하는 수수료와 세금 등을 제외 후 매수/매도가 진행되었을 때 100만원을 입금 후 50만 원의 주식을 매수한 경우 주식 계좌에 남아 있는 예수금은 50만 원이 됩니다.

※ 주식은 매매한 날 포함 3 영업일 후에 결제되는 시스템입니다.
주식 예수금(영어:deposit received)

주식 예수금 D+1과 D+2 의미

주식 계좌에서 예수금 D+1과 D+2를 보셨던 적이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의 금액이 있으며, 주식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 다면 잔금은 D+1과 D+2에 동일하게 100만원이 됩니다. 하지만 이후 당일 50만 원의 거래를 했다면 D+1에는 100만원 그대로이며, D+2에 50만원으로 변경됩니다.

예수금 100만원 기준D+1D+2
50만원 매수100만원50만원

공휴일 등과 같은 주말이 하루 껴 있을 경우 +1일이 추가되는 점 역시 참고해야 합니다.

주식용어 시가(영어:Opening Price)

주식 증거금

증권(주식, 선물·옵션 등) 거래 시 3일 후 주식과 현금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후불제입니다. 주식 계약 후 매수한 날을 포함한 3 영업일(D+2) 후에 매수한 주식이 입고 되기 때문에 3영업일 이내에는 돈을 입금해야 합니다.

증거금 율이 30%인 증권사에서 100만원의 주식을 매수했다면 증거금으로 30만원만 있어도 매수 주문이 가능합니다. 주식 증거금 부족 시 매수 체결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주식 미수금

주식을 매수할 때 증권사로부터 단기적으로 빌린 돈이며, 3 영업일 안에 갚아야 하는 돈입니다. 미수금일 3 영업일을 넘어 4일 째 아침이 되면 시장가로 강제 매도 되는 반대 매매가 발생하니 주식 거래 시 주의해야 합니다. 중·장기 적인 투자가 아닌 단기적인 테마주 투자 등을 하는 경우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 시 참고해야 할 기본 사항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식 투자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경제 사이클] 경기 호황이란?

    경제 사이클은 침체와 불황, 확장과 호황을 반복합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경기 호황(Economic Boom)에 대해 다뤄 보겠습니다. 목차주식 예수금 D+1과 D+2 의미주식 증거금주식 미수금1. 경기 호황이란 어떤 경우인가요? 경제 호황은 경제 사이클 의 확장 및 절정 단계입니다 . 상승기, 호황기, 성장기라고 다양하게 불리어지고 있습니다. 호황기에는 전반적인 주요 경제 지표들이 상승합니다. GDP가 상승하는 것이 가장 큰…

  • 채권이란. 채권 2가지 수익: 자본이익과 이자수익 地

    채권(債權)의 사전적인 의미는 재산권의 하나로써 특정인이 다른 특정인에게 어떤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채권’의 수익은 자본이익과 이자수익으로 나뉘어 볼 수 있습니다. 금융에서 채권(Bond)은 증권의 범주에 속하고 있으며, 증권에는 주식과 증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증권이란 ‘증거가 되는 서류나 문서’이며, 유가 증권(코스피)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줄임 말로 볼 수 있습니다. 금융의 채권은 국가와 국가의 지방 자치…

  • 자본잉여금이란? 자본금 차이와 자본잉여금 종류 4가지

    자본잉여금((additional paid in capital)은 주식 발행을 통한 자본금을 초과하는 금액을 뜻합니다. 주주와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며, 출자 및 증자와 감자 등을 통해 발생한 자본금에 플러스(+) 된 금액을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 목차주식 예수금 D+1과 D+2 의미주식 증거금주식 미수금자본잉여금과 자본금 차이 자본금은 앞서 설명한 출자 등을 통한 자본거래에 의해 성립된 금액입니다. 이렇게 남은 자본 잉여금은 주식…

  • 이익잉여금

    이익잉여금(영어: Retained Earnings)이란 기업의 영업 활동 후 남은 당기순이익이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배정되지 않거나 배정된 후에 남은 금액을 뜻 합니다. 사업에 재투자 하기 위해 비축 된 사업 이익의 누적(누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익 잉여금 계정은 재무상태표 자본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남게 된 이익 잉여금은 기업이 R&D 투자, 설비 구매, 마케팅 등의 투자하는데…

  • 위생교육수료증 발급받기:한국외식산업협회(02-449-5009)

    일반음식점 영업신고증을 발급 받기 위해서 위생교육수료증이 필요합니다. 한국외식업중앙회, 한국외식산업협회 중에서 한 군데에서 수료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은 한국외식산업협회에서 발급 받기로 결정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 후 위생교육을 받으려면 회원가입을 먼저 해야 합니다.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27(양재동 232) aT센터 1101호 대표전화 : 02-449-5009 휴대폰 인증, 신용 카드 인증, 아이핀 인증 중에서 원하는 인증 방식을…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비교(2020년 12월 10일~)·포인트 정리

    은행에서 사용했던 공인인증서가 2020년 5월 20일에 폐지 된다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국회 의결 후, 6월 9일 공포되었습니다. 2020년 12월 10일 공인인증서가 폐지 되었습니다. ‘공인인증서’란 이름이 폐지된 것이며, ‘공동인증서’란 명칭으로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2020년 12월 10일 ‘금융인증서’가 금융결제원의 본인인증 서비스로 출시 되었습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비교’하여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차이점을 순차적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주식 예수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