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 개발자 도구 Coverage: 사용하지 않는 코드(CSS, JS) 찾기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웹사이트의 속도는 단순히 서버 응답이나 캐시 설정뿐 아니라, “얼마나 많은 코드가 실제로 사용되는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크롬 개발자 도구 Coverage 탭은 페이지에서 로드된 CSS·JavaScript 파일의 실제 사용 비율
바이트 단위로 분석하여, 코드 낭비를 한눈에 시각화 해주는 도구입니다.

특히 워드프레스와 같은 CMS 환경에서는 테마·플러그인별로 불필요하게 로드되는 리소스가 많기 때문에,
Coverage 탭은 사용하지 않는 자바스크립트 및 css 코드를 파악하고 페이지별 최적화(자산 비활성화, 불필요한 로드 차단 등)를 검증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Coverage 탭의 측정 원리와 데이터 해석 방법, 그리고 실무에서 이를 활용해 사용되지 않는 자바스크립트 및 css를 줄이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Ⅰ. Coverage 개요 및 측정 준비

  • Coverage 탭은 단순히 “속도 점수”를 보여주는 도구가 아니라, 실제 코드 단위에서 낭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유일한 브라우저 내장 툴입니다.

Coverage 탭은 Network·Performance·Lighthouse와 함께 브라우저 수준에서 코드를 직접 분석할 수 있는 고급 도구입니다. Coverage를 실행하기 전에 다음 사항을 확인하면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항목

설명

테스트 전 페이지 새로고침

DevTools를 열고 Ctrl + Shift + P → “Coverage: Start instrumenting coverage” 실행

Disable Cache 활성화

Network 탭에서 “Disable cache” 체크 후 테스트

분석 범위 선택

CSS / JavaScript만 측정 대상 (HTML은 포함되지 않음)

코드 압축 여부 확인

.min.js, .min.css 파일은 축약되어 Unused 계산이 일부 다를 수 있음

Ⅱ. 크롬 개발자 도구 Coverage 활용

크롬 개발자 도구 Coverage 탭은 페이지에서 로드 된 CSS와 JavaScript 파일 중, 실제로 사용된 코드(Used Bytes)와 사용되지 않은 코드(Unused Bytes)를 비교해 효율성을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즉, 페이지가 불필요하게 많은 리소스를 불러오고 있는지, 코드 단위에서 낭비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워드프레스와 같은 CMS 환경에서는 테마나 플러그인 별로 어떤 CSS·JS 파일이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리소스를 정리하거나, 성능 최적화 플러그인의 효과를 검증할 때 유용합니다.

영어한국어
웹사이트 성능 테스트 - 크롬 개발자 도구_Coverage 탭 - 사용되지 않은 바이트[영어]
웹사이트 성능 테스트 - 크롬 개발자 도구_Coverage 탭 - 사용되지 않은 바이트

Coverage 탭에서 사용하지 않는 바이트는 페이지 로드 시 함께 불러왔지만 실제 렌더링에는 사용되지 않은 코드 영역을 의미합니다.

영어한국어
웹사이트 성능 테스트 - 크롬 개발자 도구_Coverage 탭 - 사용되지 않은 바이트[영어]
웹사이트 성능 테스트 - 크롬 개발자 도구_Coverage 탭 - 사용되지 않은 바이트

예를 들어, 특정 플러그인이나 테마에서 공통으로 로드되는 CSS·JS 파일이 있지만, 현재 페이지에서는 그 중 일부만 실제로 적용되는 경우 나머지 코드는 ‘사용하지 않은 바이트’로 표시됩니다.

총 338KB 중 40.4KB(12%)가 사용되고 나머지 297KB(88%)가 사용되지 않았다는 기본 설명을 좌측 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체 코드: 338 KB ]
|■■■■■■■■■■■■■■■■■■■■■■■■■■■■■■■■■■■■■■■■■■■■■■■|  297KB(88%): 사용하지 않은 바이트
|□□□□□□□□□□□□□□□| 40.4KB (12%) 사용된 바이트

[사용하지 않은 바이트]는 렌더링 중에 실제로 쓰이지 않은 코드 양입니다. style.min.css 파일의 경우 97.3%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사용되지 않은 양만큼 빨간 막대로 시각화 되어 있습니다.

반대로, “Unused Bytes = 0%” 로 표시된다면 해당 파일의 모든 코드가 실제로 사용되어 낭비가 전혀 없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파일명

Used %

Unused %

의미

bundle.js

100%

0%

모든 코드 사용됨 ✅

gtag.js

40%

60%

40%만 렌더링에 기여 ⚠️

test.js

0%

100%

완전히 로드만 됨 ❌

Unused %가 높다”낭비가 많다는 뜻입니다. Coverage 데이터 상 실제로는 더 안 쓴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완벽하게 정확하지 않은 점을 참고해야 합니다.

🔢 워드프레스 CMS를 사용할 경우

워드프레스는 테마와 플러그인이 공통으로 CSS·JS 파일을 로드하기 때문에, Coverage 탭에서 사용하지 않은 바이트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Coverage에서 Unused로 보이더라도, 실제로는 나중에 다른 페이지나 기능에서 사용될 코드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워드프레스의 경우, 워드프레스의 JS/CSS 구조는 전역 로드 방식으로 테마나 플러그인이 공통 리소스를 함께 불러오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Coverage에서는 낭비로 인식하지만 워드프레스 입장에서는 낭비가 아닌 공통 기능을 미리 로드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불필요하지만 피할 수 없는 낭비라 할 수 있습니다.

구분

확인 방법

설명

테마 CSS

/wp-content/themes/ 경로

모든 페이지에 공통 적용. 일부는 사용되지 않아도 정상.

플러그인 JS/CSS

/wp-content/plugins/ 경로

특정 기능용 파일일 가능성이 높음. 해당 기능이 없는 페이지라면 낭비.

외부 스크립트

https://www.googletagmanager.com/, fonts.googleapis.com

광고, 통계, 폰트 등의 리소스. 미사용 코드가 많을 수 있음.

사용자 정의 코드

/wp-content/uploads/ 또는 /assets/

커스텀 스크립트일 경우, 불필요한 부분이 없는지 직접 확인 필요.

🔧 개선 방향

  • ↳ WP Rocket, WP Fastest Cache와 같은 캐시 플러그인으로 Remove CSS 등의 기능을 활성화 합니다.
  • ↳ Perfmatters, Asset CleanUp과 같은 워드프레스 최적화 플러그인을 이용해 “자산 비활성화 기능”을 사용하여 페이지 별로 불필요한 CSS·JS를 차단합니다. 예를 들어,
  • Contact Form 7 : 문의 페이지 외 모든 페이지에서 비활성화
  • WooCommerce : 상품·장바구니 페이지 외 로드 금지

워드프레스의 경우 웹사이트 속도를 결정하는 요인 중 가장 큰 요소는 서버와 테마, 플러그인입니다. 플러그인이 웹사이트를 느리게 만들지만 역설적으로 해결 역설적으로 해결 역시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는 플러그인으로 사용해야 웹사이트가 사용자에게 더 빨리 로드됩니다.

Similar Posts

  • URL 디렉터리 구조 vs 플랫 구조: SEO 성능과 웹사이트 운영 효율

    구글의 검색엔진 최적화(SEO) 기본 가이드에 따르면, URL 디렉터리 구조를 통해 유사한 주제의 페이지를 그룹화하는 것은 검색 엔진이 사이트 구조를 이해하고 색인을 최적화하는 데 유리합니다. 특히 사이트의 규모가 크거나 페이지 수가 많을수록 디렉터리(폴더) 단위로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묶어 두면 크롤러가 페이지 관계를 파악하고 크롤링 빈도를 조정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플랫 구조도 관리 효율성과 URL 단순성 측면에서…

  • [GA4] 애널리틱스 기본 보고서와 라이브러리 활용 맞춤 보고서 만들기

    웹사이트와 앱 분석을 위한 GA4 보고서를 도입했지만 용어와 설정 방법 등에서 데이터 활용 방법을 어떻게 할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GA4 애널리틱스 기본 보고서’의 유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Ⅰ. Coverage 개요 및 측정 준비Ⅱ. 크롬 개발자 도구 Coverage 활용🔢 워드프레스 CMS를 사용할 경우 1. GA4 애널리틱스 기본 보고서 GA4 기본 보고서는 [보고서 개요]를 클릭하면…

  • [SEO] 링크 빌딩(Link Building)이란 무엇인가?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 중 링크 빌딩(Link Building)은 필수 요소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링크 빌딩이 무엇이며, 어떤 방법으로 이용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구글 및 기타(야후, 빙 등) 검색 엔진 순위를 높일 수 있는 Link Building(링크 구축)은 다른 웹 사이트로부터 내 웹 사이트로 품질 좋은 백링크를 말합니다. 목차Ⅰ. Coverage 개요 및…

  • Avast Browser 삭제 방법

    Avast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삭제한 이후에도 Avast Browser가 남아 있어 PC 부팅 후 자동으로 브라우저가 나오는 불편한 경우가 있습니다. 불필요한 Avast Browser 삭제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Ⅰ. Coverage 개요 및 측정 준비Ⅱ. 크롬 개발자 도구 Coverage 활용🔢 워드프레스 CMS를 사용할 경우윈도우 탐색기 어베스트 세이프존 부라우저를 삭제하려고 제어판에 들어갔지만 삭제할 항목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먼저…

  • magicxml 프로그램 삭제

    컴퓨터로 인터넷을 하다가 우연히 프로그램 파일에서 magicxml 프로그램 삭제를 안랩에서 진단해서 알려 줬습니다. 처음 보는 프로그램이고 윈도우에서 삭제해도 전혀 무방할 거 같아 바로 동의하고 삭제를 진행했습니다. 목차Ⅰ. Coverage 개요 및 측정 준비Ⅱ. 크롬 개발자 도구 Coverage 활용🔢 워드프레스 CMS를 사용할 경우magicxml 프로그램 삭제 후 확인 삭제 전에 확인해야 겠지만 필요 없는 프로그램으로 밖에…

  • [Chrome App-PC] 세이프 브라우징 설정 방법

    Google의 데스크탑 및 모바일 앱인 Chrome 세이프 브라우징은 유저가 위험한 웹사이트를 탐색하는 중 위험한 파일을 다운로드 하려고 할 때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구글의 서비스입니다. 랜섬웨어, 스파이웨어, 바이러스, 웜 및 트로이 목마를 포함한 맬웨어 등의 감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서비스인 것이죠.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던 중 빨간 화면의 안내 창을 본 적이 있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