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프로토콜이란? 인터넷에서 자주 언급되는 protocol 종류 7가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 체계입니다.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때 규약으로 프로토콜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통신하기 위한 규칙이 통신 프로토콜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크게 물리적 측면과 논리적 측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물리적 측면: 이더넷에서 주로 사용
    • 데이터 전송 매체, 신호 규약, 회선 규격 등.
  • 논리적 측면: TCP/IP
    • 장치들끼리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규격으로 TCP/IP에서 사용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발이 시작되던 1900년 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환경은 열악했으며, 적은 자원과 느린 네트워크 속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문자 기반이 아닌 2진수 비트로 만들어졌습니다.

✅ 프로토콜 스택

TCP/IP를 통신 프로토콜이라 부르기 보다 더 정확하게는 프로토콜 스택이라고 부릅니다.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총 4개 부분으로 나뉘며 물리 부분인 이더넷 외 데이터가 목저지를 찾아가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데이터 형태로 조합하도록 도와주는 전송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구성됩니다.

✅ 통신 프로토콜 종류

통신 프로토콜

대표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TCP, HTTP, HTTPS, TLS/SSL, UDP, FTP&SFTP, SSH 7가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TC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규약)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며 IP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보통 TCP/IP를 함께 사용하며 IP는 데이터의 배달, TCP는 패킷의 추적 및 관리를 맡게 됩니다.

TCP - 전송 제어 프로토콜

2. HTTP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월드와이드웹(WWW)의 기반이며, HTTP를 사용해서 웹 브라우저와 같은 통신 플랫폼에 웹 사이트를 로드할 때 사용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3. HTTPS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HTTP 통신의 암호화 된 버전입니다. 해커로부터 HTTP 메시지가 해킹될 소지를 암호화 함으로써 막아줍니다.

HTTPS SSL 보안인증서 적용 미적용 차이

4. TLS/SSL

TLS(전송 보안 계층)는 HTTPS의 암호화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SSL 버전 이후 TLS로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여전히 SSL로 불리고 있습니다.

SSL TLS 보안인증서

5. UD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는 TCP에 비해 빠르지만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비디오 스트리밍과 게임 등의 서비스에 주로 사용됩니다.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6. FTP&SFTP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FTP 대표적인 앱은 파일질라, WinSCP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는 보안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기존 FTP보다 더 강화된 보안 방식으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7. SSH

SSH(Secure SHell: 시큐어 셸)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서버에 로그인 or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게 하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론 puttyMobaXterm이 있습니다.

✅ 계층 별 프로토콜 분류

계층프로토콜
물리 계층Ethernet, RS-232, USB, HDMI, Wi-Fi, Bluetooth
데이터 링크 계층Ethernet, Token Ring, HDLC, PPP, Wi-Fi, Bluetooth
네트워크 계층IP, ARP, ICMP, IGMP, OSPF, BGP
전송 계층TCP, UDP, SCTP
세션 계층NetBIOS, ASP, L2TP
표현 계층JPEG, MPEG, ASCII, EBCDIC
응용 계층HTTP, FTP, SMTP, POP3, IMAP, Telnet, SSH, DNS

✅ 통신 프로토콜 포트 번호

대표적인 통신 프로토콜 포트 번호입니다.

프로토콜포트 번호설명
HTTP80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HTTPS443HTTP의 보안 버전
FTP 21파일 전송 프로토콜
SFTP22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의 보안 접속)
SSH22원격 접속을 위한 암호화된 프로토콜
Telnet23원격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
SMTP25전자 메일을 보내기 위한 프로토콜
POP3110전자 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IMAP143전자 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DNS53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DHCP67, 68네트워크 장비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기 위한 프로토콜
SNMP161네트워크 장비의 상태 및 성능 정보 수집을 위한 프로토콜
RDP3389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
SIP5060VoIP 통화를 위한 프로토콜
NTP123네트워크 시간 동기화를 위한 프로토콜
LDAP389디렉터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SMB445파일 공유 및 프린터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

Similar Posts

  • OSI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 IP 주소(192.xxx)

    OSI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계층입니다.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 데이터 전송은 가능하지만 인터넷이나 외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라우터(Router)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가정용 공유기로…

  • [네트워크] 리피터&허브(물리계층 장비)

    케이블을 포함한 리피터(Repeater), 허브(HUB)는 네브워크 1계층인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목차✅ 프로토콜 스택✅ 통신 프로토콜 종류1. TCP2. HTTP3. HTTPS4. TLS/SSL5. UDP6. FTP&SFTP7. SSH✅ 계층 별 프로토콜 분류✅ 통신 프로토콜 포트 번호✅ 리피터(Repeater) Repeater는 전기 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입니다. 멀리 있는 상대방과 통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했으며, HUB와…

  • IPMI란 무엇인가?

    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는 서버의 전원이 꺼졌거나 운영체제가 다운된 경우에도, 하드웨어 수준에서 원격으로 서버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드웨어 기반의 관리 인터페이스입니다. 인텔이 주도하여 정의한 하드웨어 관리 표준(1998년 시작)으로, 다양한 서버 제조사가 채택하고 있으며 현재 버전은 IPMI 2.0입니다.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가지이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서버가 오류가 발생하여, 외부 망에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 [네트워크]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 | 랜 카드 |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OSI 계층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OSI 물리 계층의 역할은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로 나뉘게 됩니다. 목차✅ 프로토콜 스택✅ 통신 프로토콜 종류1. TCP2. HTTP3. HTTPS4. TLS/SSL5. UDP6. FTP&SFTP7. SSH✅ 계층 별 프로토콜 분류✅ 통신 프로토콜 포트…

  • DHCP란?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말 그대로 동적으로 호스트를 구성하는 규약입니다. 실제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나 장치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입니다. 목차✅ 프로토콜 스택✅ 통신 프로토콜 종류1. TCP2. HTTP3. HTTPS4. TLS/SSL5. UDP6. FTP&SFTP7. SSH✅ 계층 별 프로토콜 분류✅ 통신 프로토콜 포트 번호✅ DHCP 사용…

  • 네트워크 WAN, MAN, LAN 3가지 연결 구분

    보통 네트워크 WAN, MAN, LAN 3가지는 규모와 범위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기술이 이더넷으로 통합되어 사용자가 전송 기술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해졌으며, 범위 기준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목차✅ 프로토콜 스택✅ 통신 프로토콜 종류1. TCP2. HTTP3. HTTPS4. TLS/SSL5. UDP6. FTP&SFTP7. SSH✅ 계층 별 프로토콜 분류✅ 통신 프로토콜 포트 번호1. 네트워크 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