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란? 원화 강세와 원화 약세의 의미(1달러 당 원화 금액)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환율이란? 대외적인 돈의 값으로 서로 다른 통화의 비율입니다. 환율(exchange rate)은 ‘원/달러‘ 또는 ‘원/엔화‘ 그리고 반대로 ‘달러/원‘ 등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TV 또는 네이버, 구글 등의 뉴스를 통해 많이 봤을 것입니다.

1. 환율이란-표시법

‘원/달러’와 같은 내용으로 뉴스에서 환율이 오르고 내림을 발표하는데 표시법은 외국 통화 1단위 당 자국 통화의 수량으로 표시하는 방법을 ‘자국통화표시법’ or ‘직접표시법(direct quotation)이라고 합니다. 자국 통화 1 단위 당 수량으로 표시하는 ‘외국통화표시법’ or ‘간접통화표시법’ 등이 있습니다.

  • 자국통화표시법
    • 원/달러 : 1달러와 교환 되는 원화의 양
  • 외국통화표시법
    • KRW/USD : 1원과 교환 되는 달러 양을 표시

한국에서는 보통 1달러와 교환 되는 원화의 양을 나타내는 자국통화표시법으로 달러화를 기준으로 확인합니다.

환율이란(exchange rate)

2. 환율 보는법

이제 환율이 “올랐다”와 “내렸다”를 ‘자국통화표시법’ 기준으로 환율 보는 법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뉴스를 보면서 종종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원/달러 기준으로 1달러=1,000원이고 1달러=1,200원으로 올랐을 경우 환율이 상승했다고 합니다.

원/달러: 1달러=1,000원 ▷ 1달러=1,200원 ▶ 환율 상승

원/달러 기준으로 1달러=1,000원이고 1달러=800원으로 내렸을 경우 환율이 하락했다고 합니다.

원/달러: 1달러=1,000원 ▷ 1달러=800원 ▶ 환율 하락

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

‘원화 강세’란 달러화의 약세를 의미합니다.

원/달러: 1달러=1,000원 ▷ 1달러=800원 ▶ 환율 하락 ▶ 원화 강세/달러 약세

반대로 ‘원화 약세’는 달러화의 강세를 의미합니다.

원/달러: 1달러=1,000원 ▷ 1달러=1,200원 ▶ 환율 상승 ▶달러 약세/원화 강세

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

원화 강세(환율하락)일 때는 원화의 가치가 올랐기 때문에 수출 기업에 불리하며, 반대로 달러의 가치 하락으로 수입을 하는 내수 기업에 유리합니다. 반대로 원화 약세(환율상승) 시기에는 원화 가치 하락으로 수출 기업이 유리하며, 수입을 주로 하는 기업에게 불리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환율은 증권 시장의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치며, 원화 강세 및 약세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 매입 및 매수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

환율 조회를 할 수 있는 사이트는 구글 검색이나 네이버금융 등 많이 있습니다. 네이버금융에서 시장지표의 경로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LG에너지솔루션 기업 분석: 2차 전지(EV용 배터리, ESS용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영어: LG Energy Solution, LTD.)은 2020년 12월 LG화학에서 배터리 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설립된 기업입니다. ‘LG엔솔’로 부르기도 합니다. LG화학 사업보고서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차지하고 있는 매입 비중을 참고하여 2차전지 산업이 기존 화학 산업에 비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4….

  • 성일하이텍 기업 분석: 2차 전지 리사이클링 대표 기업

    성일하이텍은 전기차, 휴대폰, 노트북, ESS(에너지저장장치), 전동공구 등의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리튬 2차전지로 부터 유가금속을 추출하는 리사이클 전문기업입니다. 리튬 2차 전지는 크게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등 크게 4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극재는 전지의 전압, 에너지밀도, 수명, 출력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소재로 배터리 셀 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고가의 소재입니다. 양극재는 주로 코발트, 니켈, 망간…

  • 크로스 라이센스(Cross License) 및 사례 및 특허소송 승률 100% 서울반도체

    교차 라이센스 > 크로스 라이센스(Cross License)는 취득한 특허에 대해 상호간에 교차 사용이 필요할 경우 필요성에 의해 집단(보통 기업)간의 계약입니다.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 1. 크로스 라이센스(Cross License)란? 서로의 필요성에 의해 크로스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한 두 집단은 상대 집단의 특허(지식재산권)을 사용할…

  •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차감계정 3가지 요소

    ‘대손충당금’ 내용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1. 대손충당금 (allowance for bad debts) 대손(bad debt)은 불량채권이며, 회수가 어려운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미수금 등을 채무자로부터 받지 못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충당의 뜻은 모자라는 것을 메워 채운다는 뜻입니다. 회사는 경험 상 매출채권 금액…

  • 지식재산권 종류: 3가지

    목차1. 환율이란-표시법2. 환율 보는법3. 원화 강세 의미 및 원화 약세 의미3.1 원화 강세&약세의 기업 상황4. 환율 조회-네이버금융▥ 지식재산권 종류: 3가지 분류 지식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은 과거에는 지적재산권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지식재산권 종류는 3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지식재산권을 줄여서 IPIntellectual Property 또는 IPR(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이라고 하며, 정확한 표현을 한다면 IP가 지식 재산, IPR이 지식재산권입니다. 지식재산권이란? 지식재산 기본법 제…

  • 2023년 신한은행 땡겨요 배달앱 순위:4위 차지

    ‘신한은행 땡겨요’가 출시된 지 1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으며, 1년 동안 땡겨요는 가맹점 수를 순차적으로 꾸준히 늘려 나갔습니다. 신한은행 땡겨요 배달앱 순위는 4위로 배달의 민족, 요기요, 쿠팡이츠에 이어 차지한 순위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주진 않지만 꾸준한 성장을 1년 동안 이어 나갔다는 것입니다. 3월 6일 데이터앤리서치에 따르면, 뉴스, 커뮤니티, SNS, 유튜브 등의 12개 채널 23만 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