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 clear 명령어 – 기타명령어

clear

clea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출력 된 터미널 화면을 지우는 명령어이다.

♧ 경로
/usr/bin/clear

clear 명령어는 도스의 cls 명령어와 동일한 뜻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리눅스 터미널 화면을 지워주고 커서는 화면 상단에 위치학게 된다.

아래처럼 ll 명령어를 입력 후 clear 명령어를 입력해서 테스트 해 볼 수 있다.

[root@ip-172-26-13-161 httpd]# ll
합계 705504
-rw-r--r-- 1 root root   9098581  3월  9 10:38 access_log
-rw-r--r-- 1 root root 104118638  1월 31 10:44 access_log-20210131
-rw-r--r-- 1 root root  38270661  2월  7 03:20 access_log-20210207
-rw-r--r-- 1 root root  43477685  2월 14 03:02 access_log-20210214
-rw-r--r-- 1 root root  49783712  2월 21 03:27 access_log-20210221
-rw-r--r-- 1 root root  45407669  2월 28 03:13 access_log-20210228
-rw-r--r-- 1 root root  37554933  3월  7 03:17 access_log-20210307
-rw-r--r-- 1 root root   1485069  3월  9 10:37 error_log
-rw-r--r-- 1 root root   8535657  1월 31 10:44 error_log-20210131
-rw-r--r-- 1 root root   2749817  2월  7 03:20 error_log-20210207
-rw-r--r-- 1 root root   5032611  2월 14 03:06 error_log-20210214
-rw-r--r-- 1 root root   4641279  2월 21 03:28 error_log-20210221
-rw-r--r-- 1 root root   3354754  2월 28 03:15 error_log-20210228
-rw-r--r-- 1 root root   5337265  3월  7 03:19 error_log-20210307
-rw-r--r-- 1 root root         0  1월 24 03:35 ssl_access_log
-rw-r--r-- 1 root root     13873  3월 23  2020 ssl_access_log-20200328
-rw-r--r-- 1 root root   2971870  1월  4 03:23 ssl_access_log-20210104
-rw-r--r-- 1 root root  67634593  1월 10 03:27 ssl_access_log-20210110
-rw-r--r-- 1 root root 248831605  1월 17 03:45 ssl_access_log-20210117
-rw-r--r-- 1 root root  28374142  1월 20 14:31 ssl_access_log-20210124
-rw-r--r-- 1 root root         0  1월 24 03:35 ssl_error_log
-rw-r--r-- 1 root root     11627  3월 23  2020 ssl_error_log-20200329
-rw-r--r-- 1 root root      1146 12월 10 23:55 ssl_error_log-20201211
-rw-r--r-- 1 root root    677156  1월  4 03:27 ssl_error_log-20210104
-rw-r--r-- 1 root root   5904781  1월 10 03:28 ssl_error_log-20210110
-rw-r--r-- 1 root root   5865623  1월 17 03:45 ssl_error_log-20210117
-rw-r--r-- 1 root root   2130366  1월 20 14:32 ssl_error_log-20210124
-rw-r--r-- 1 root root         0  3월 28  2020 ssl_request_log
-rw-r--r-- 1 root root     17560  3월 23  2020 ssl_request_log-2020032
[root@ip-172-26-13-161 httpd]# clear
# 명령어 입력 시 출력된 터미널 화면이 모두 지워짐. 

Similar Posts

  • 리눅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 or 심링크로도 불리며, 하나의 파일에 여러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s 옵션]은 Symbolic Link를 만들어 주는 옵션이며 [-s 옵션]이 빠지게 되면 Hard Link를 생성하게 됩니다. ✅ 기존 하드 링크의 단점 Hard Link는 기존…

  • 리눅스 퍼미션(4,2,1)과 소유권 | chmod, chown, umask 명령어 | 스티키 비트

    리눅스 퍼미션(Permission)은 권한(&허가)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들은 MS-DOS 계열의 운영 체제들은 멀티 테스킹 시스템이 아니며 멀티 유저 시스템 역시 아닙니다. 보통 컴퓨터는 하나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가지고 한 명이 사용하지만 멀티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한 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의 멀티 유저 시스템은 운영 체제 설계 초기부터 깊게 내장된…

  • 리눅스 grep 명령어

    리눅스 grep 명령어는 로그 파일과 같은 텍스트 파일과 아스키 파일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되며, tail과 find 명령어를 파이프(|)와 결합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 기본적인 사용 예 ✅ grep 옵션 ✅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다중 명령어인 파이프(|)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rep의 3종류 grep는…

  • 리눅스 netstat 명령어, ifconfig 명령어

    리눅스에 netstat 명령어 및 ifconfig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리눅스 서버에 명령어 실행을 위한 net-tools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net-tools 설치 ✅ netstat 명령어 netstat[network statistics:네트워크 통계]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어떤 포트가 열려있고,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와 해킹 시도가 있거나 자신의 컴퓨터가 좀비 PC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etstat 명령어 옵션 ◼ netstat 실행…

  • certbot 명령어(인증서 관리 및 삭제)

    Alma Linux에서 이 사이트에 Certbot 설치 및 갱신 설치를 해 진행하는 중 인증서 삭제 후 재설치를 할 이유가 생겨 삭제와 함께 나머지 Certbot 명령어 사용법에 대해 체크하게 되었습니다. certbot 명령어는 다음 페이지에서 확인했습니다. ✅ certbot 명령어: 인증서 관리 사용 중인 인증서 목록을 보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기존 인증서 재생성 및 업데이트 certonly…

  • SSH 명령어: 옵션 및 사용 방법

    리눅스에서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원격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며, 주로 원격 접속, 파일 전송, 그리고 터널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한 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터널링 기능: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