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 명령어

  • 파일 관리 명령어

    하드 디스크, SSD, USB 메모리 등의 장치 용량을 확인할 때 df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df(Disk Free)는 마운트 된 장치 전체 용량, 사용 용량, 여유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Filesystem), 디스크 크기(Size), 사용량(Used), 여유공간(Avail), 사용률(Use%), 마운트지점(Mounted on)을 순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df [-옵션]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tmpfs          213708       0    213708   0% /dev
tmpfs             237980       0    237980   0% /dev/shm
tmpfs             237980   33176    204804  14% /run
tmpfs             237980       0    237980   0% /sys/fs/cgroup
/dev/nvme0n1p1  20960236 2507692  18452544  12% /
tmpfs              47600       0     47600   0% /run/user/1000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209M     0  209M   0% /dev
tmpfs           233M     0  233M   0% /dev/shm
tmpfs           233M   33M  201M  14% /run
tmpfs           233M     0  233M   0% /sys/fs/cgroup
/dev/nvme0n1p1   20G  2.4G   18G  12% /
tmpfs            47M     0   47M   0% /run/user/1000
~]# 
df 명령어

df 명령어 옵션

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해서 서버 관리를 하는 것이 기본적인 활용법이며, 파티션 용량이 가득 찼을 경우 웹사이트가 접속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경우 도메인 상태, 네임서버 연결 상태 다음 서버의 문제를 확인할 때 ps 명령어와 함께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명령줄 인터페이스(CLI-Command-Line Interface)

Similar Posts

  • 리눅스 top 명령어(CPU, 메모리 점유율 확인)

    리눅스 top 명령어는 구동 중인 OS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ble of processes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총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량 등을 보여주며 각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메모리와 CPU 사용량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df 명령어 옵션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Ⅰ. 리눅스 top 명령어 기본 사용 top 명령어는 대부분 옵션 없이 사용하지만 일반적인 명령어와…

  •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사용 방법과 옵션

    리눅스 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kill과 killall은 단순 종료가 아닌 프로세스에 지정한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로 시그널에서 액션이 종료일 때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목차df 명령어 옵션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대부분의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killall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psmisc 패키지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 [Linux] usermod 명령어

    usermod 명령어는 user modification(사용자 수정)의 약자로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usermod는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 UID (사용자 ID), 홈 디렉토리, 로그인 셸, 그룹 등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목차df 명령어 옵션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usermod 명령어 기본 옵션 ✅ 주요 옵션 ✅ 사용 예시 🔲 사용자 홈 디렉토리…

  • 리눅스 리다이렉션(Redirection)

    웹 상에서 리다이렉션(Redirection)은 웹 브라우저가 특정 URL을 요청했을 때, 미리 지정된 다른 URL로 재요청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 연결의 사전적인 의미를 가진 Redirection은 리눅스에서 입력과 출력을 다루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파일로 보내거나 파일에서 읽어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리눅스 리다이렉션은은 키보드로 입력, 화면으로 출력을 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다이렉션에는 표준…

  • 리눅스 tree 명령어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안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무 형태로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며,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어떤 구조로 정리되어 있는지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문서화 및 시스템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목차df 명령어 옵션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tre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tree 옵션 ✅ 사용 예시 🔲 전체 경로 포함하여…

  • 리눅스: lrzsz 툴 설치 및 파일 업로드(rz) 및 다운로드(sz) 사용하기

    리눅스 OS에서 rz와 sz를 이용한 각각의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 lrzsz가 서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lrzsz 툴 설치 후 rz와 sz는 ZMODEM/YMODEM/XMODEM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서 파일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Xshell을 사용해서 lrzszs 툴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목차df 명령어 옵션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lrzsz 툴 설치 CentOS, Ubuntu, Rocky Linux 중에 록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8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