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레코드 확인 및 네임서버 성능 측정 사이트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DNS(Domain Name System)는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 변경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입니다. 기본 호스트 서버로 연결되기 전에 보통의 경우 IP 주소를 대신해서 사용하는 주소인 도메인은 DNS에 의해 IP와 도메인을 연결해 줍니다.
DNS 레코드 확인을 편하게 할 수 있는 “whatsmydns”와 DNS 서버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DNSPerf”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공유 호스팅과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 등 서비스 중에서 이용하게 되며, 보통 DNS가 설정된 네임서버로 도메인을 연결해서 이용합니다. 기존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웹 사이트가 이전할 경우 네임서버를 변경해야 할 가능성이 생기게 됩니다. 네임서버를 변경했을 경우 변경된 값(네임서버와 DNS 레코드 값)을 확인할 수 있는 “whatsmydns” 웹 사이트와 DNS의 성능을 체크할 수 있는 ‘dnsperf’ 2개의 사이트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네임서버 성능 측정 사이트

DNS 공급자의 성능 측정을 확인할 수 있는 웹 사이트 https://www.dnsperf.com/ 입니다.

네임서버 성능 측정 사이트 dnsperf

세계적으로 유명한 클라우드플레어 네임서버 성능이 제일 좋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1시간에 한 번 데이터가 업로드 되기 때문에 순위는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본 성능 테스트 시 전 세계 외에도 아시아, 유럽, 호주 등 다양한 지역 기준으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NS 서버 역시 웹 사이트 성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본인에게 맞는 원하는 속도의 네임서버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 할 것입니다.

DNS 성능 측정 사이트 dnsperf에서 아시아 지역 기본성능 체크

2. DNS 레코드 확인 사이트 “What’s My DNS”

‘DNSPerf’ 사이트에서 DNS 서버의 성능을 확인했다면(레코드 확인도 물론 가능합니다만), DNS 서버 변경 시 변경 상태와 DNS 레코드의 상태값을 확인할 수 있는 “What’s My DNS”가 있습니다. CNAME, A레코드 외에도 NS 레코드를 확인함으로써 네임서버 변경 상태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NS 레코드 확인 사이트 "What's My DNS"

Similar Posts

  • Namecheap Domains Vs Google Domains 포함 5개 도메인 등록 기관 비교

    워드프레스로 구축된 웹 사이트를 포함해서 사이트를 운영할 경우 도메인은 필수 요소입니다.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업체 Namecheap Domains과 Google Domains을 포함한 도메인 업체에 대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먼저 우리가 알고 있을 만한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1. 네임서버 성능 측정 사이트2. DNS 레코드 확인 사이트 “What’s My DNS”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기관…

  • [SEO] google 유용한 콘텐츠(업데이트 2022년 8월 25일)

    2022년 8월에 google 유용한 콘텐츠 업데이트는 검색엔진 용 콘텐츠를 먼저 설정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 중심 콘텐츠를 만드는 것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구글 자체 검색엔진 최적화 가이드 및 권장사항을 따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아닌 사용자에게 초점이 맞춰진 콘텐츠 여부에 중점을 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목차1. 네임서버 성능 측정 사이트2. DNS 레코드…

  • 웹사이트 성능 테스트 기준: 크롬 개발자 도구 | 구글이 만든 SEO·성능 분석 표준

    웹사이트 속도와 성능은 단순한 점수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 브라우저에서 어떤 리소스가 병목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렌더링이 어느 시점에 완료되는지를 직접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만 실제 성능 저하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크롬 개발자 도구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브라우저 안에서 웹사이트 성능 테스트를 직접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 SSL보안인증서 법규정

    SSL보안인증서는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모든 웹사이트에 의무적으로 구축하도록 대한민국 법 규정에 정해져 있습니다. SSL보안인증서 법규정은 로그인이 필요한 개인정보가 있는 웹사이트와 (회원정보가 없어도)결제 모듈이 구축된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쇼핑몰에 SSL보안인증서 설치가 필수라는 것입니다. 목차1. 네임서버 성능 측정 사이트2. DNS 레코드 확인 사이트 “What’s My DNS” 1. HTTPS란 HTTPS란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 (HTTPS) 사용하는 HTTP…

  • 구글 페이지스피드 인사이트: 코어 웹 바이탈로 보는 웹사이트 속도 최적화 가이드

    구글에서 만든 페이지스피드 인사이트는 웹사이트의 속도와 사용자 경험을 측정해주는 대표적인 성능 분석 도구입니다. 단순히 웹사이트 속도 측정을 위한 페이지 로딩 시간을 평가하는 것을 넘어, 코어 웹 바이탈 평가 지표를 기반으로 사이트의 전반적인 품질을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코어 웹 바이탈은 실제 사용자 경험을 수치화한 3가지 핵심 지표로, 주요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는 속도(LCP: 최대…

  • [SEO]스키마 마크업과 리치 스니펫이란? | Schema 유형 16가지

    리치 스니펫의 형태로 스키마 마크업을 사용하는 웹사이트가 늘어 났습니다. 아래는 Rich Snippets이 SERP에서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예시입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Schema가 무엇인지, 스키마 활용 방법과 리치 스니펫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목차1. 네임서버 성능 측정 사이트2. DNS 레코드 확인 사이트 “What’s My DNS”1. 스키마 마크업이란? 스키마 마크업(Schema Markup)은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