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ContentLoaded vs Load: 웹 속도와 SEO에 미치는 영향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크롬 개발자도구에서 네트워크 탭의 속도 테스트를 진행할 때 표시되는 항목 중 DOMContentLoaded와 로드 두 가지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의 속도를 측정할 때 이 두 이벤트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실제 사용자 경험과 SEO 평가에 직결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Google은 웹사이트의 초기 로딩 속도, 상호작용 가능 시점, 전체 페이지 로딩 완료 시점 등을 기준으로 페이지 품질을 평가합니다.
Ⅰ. DOMContentLoaded와 Load 이벤트란?
웹 브라우저는 페이지를 불러오는 동안 여러 단계를 거칩니다. 그중 DOMContentLoaded와 Load 이벤트는 페이지 로딩의 중요한 두 시점을 나타냅니다.
DOMContentLoaded 이벤트는 HTML 문서의 파싱이 완료되고 DOM 트리 구성이 끝난 시점에 발생합니다. 이때 스타일시트(CSS)는 이미 로딩되어 적용되었지만, 이미지, 외부 스크립트, 폰트 등 다른 리소스는 아직 로딩 중일 수 있습니다.
또한, 동기적으로 삽입된 자바스크립트는 실행이 완료된 상태이며, defer 속성이 붙은 스크립트도 실행을 마쳤을 수 있습니다. 반면, async 속성이 붙은 스크립트는 아직 로딩 중이거나 실행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 최적화 및 로딩 방식
├─ 1. 동기식 (기본 방식)
│ ├─ HTML 파싱 중단
│ ├─ 스크립트 다운로드 및 실행 후 파싱 재개
│ └─ DOMContentLoaded 이벤트 이전에 실행 완료
│
├─ 2. defer (JS 연기:Defer JavaScript)
│ ├─ HTML 파싱과 병렬로 스크립트 다운로드
│ ├─ HTML 파싱 완료 후 실행
│ └─ DOMContentLoaded 이벤트 전에 실행
│
├─ 3. async (JS 비동기 로드 및 실행)
│ ├─ HTML 파싱과 병렬로 스크립트 다운로드 및 실행
│ ├─ 실행 시점 불확실 (DOM 파싱과 충돌 가능성 있음)
│ └─ DOMContentLoaded 이벤트와 무관하게 실행
│
└─ 4. Minify (파일 크기 최적화)
├─ 불필요한 공백, 주석 제거
├─ 변수명 축약
├─ 파일 크기 감소 → 빠른 다운로드 가능
└─ 최적화된 파일은 동기식, defer, async 중 하나의 방식으로 로드 및 실행됨반면에 Load 이벤트는 페이지의 모든 외부 리소스(이미지, CSS, JS 등)가 완전히 로딩 된 이후에 발생합니다. 즉,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완전히 표시할 준비가 끝난 상태에서 이 이벤트가 트리거 됩니다.
minify 및 delay JS는 DOMContentLoaded에서 HTML 속성으로 직접 제어되는 동작은 아닙니다. 대신, 주로 워드프레스 최적화 및 캐시 플러그인이나 빌드 도구(Webpack, Vite 등) 를 통해 적용되는 “사후 최적화 기법” 에 속합니다.
|
분류 38861_0b3b3b-79> |
브라우저 기본 기능 38861_bbda0e-11> |
HTML 태그 속성 38861_07ac54-e8> |
|---|---|---|
|
동기식 38861_ae7eec-5a> |
☑️ 38861_f7a4e9-68> |
☑️ 38861_857d47-0b> |
| 38861_a1327d-d4> |
☑️ 38861_0ad756-37> |
☑️ 38861_f6d837-38> |
| 38861_3015b7-3e> |
☑️ 38861_1d03e1-67> |
☑️ 38861_e8c831-4c> |
|
minify 38861_eea17b-ad> |
❌ 38861_40fcf4-63> |
❌ 38861_3dbbd8-dd> |
| 38861_00585c-05> |
❌ 38861_ef98c0-d6> |
❌ 38861_5689d8-98> |
1. 두 이벤트의 작동 방식과 차이
두 이벤트는 발생 시점과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입니다.
|
항목 38861_408a95-57> |
DOMContentLoaded 38861_55ec07-52> |
Load 38861_42be71-a1> |
|---|---|---|
|
발생 시점 38861_af849d-45> |
DOM 트리 생성 완료 후 38861_031175-f1> |
모든 리소스 로딩 완료 후 38861_e1ce9e-32> |
|
로딩 대상 38861_fac7c2-4f> |
HTML + CSS까지만 38861_7d93e6-6e> |
이미지, JS, 외부 폰트 등 전부 38861_209148-da> |
|
사용자 관점 38861_4dd5c8-c8> |
빠른 상호작용 가능 상태 38861_258b1a-f1> |
시각적 완전성 확보 상태 38861_14a80a-f3> |
|
SEO 영향 38861_b03a13-d8> |
FCP/LCP 등과 더 관련 38861_589470-ca> |
SEO 영향은 간접적 38861_927593-2f> |
2. 크롬 개발자도구에서 확인하는 방법
크롬 실행 후 [F12] 버튼을 눌러 크롬 개발자도구를 열고 [Network] 탭으로 이동합니다.
[Ctrl + R] 또는 [F5] 버튼을 눌러서 DOMContentLoaded와 Load를 각각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두 마커는 각각의 이벤트가 얼마나 빨리 발생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보통 DOMContentLoaded가 먼저 발생하며, Load는 이후에 발생합니다. 이 차이가 클수록 리소스 로딩이 많은 페이지일 수 있습니다.
Ⅱ. 웹 성능에 미치는 영향
웹사이트의 실제 로딩 시간은 사용자 경험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빠른 로딩은 방문자의 이탈을 줄이고, 사이트의 체감 속도를 높여 만족도를 증가 시킵니다.
DOMContentLoaded가 느린 경우 HTML 파싱 및 DOM 구성 완료가 늦어져 페이지가 상호작용 가능한 상태가 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페이지가 준비되지 않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Load 이벤트가 느린 경우 모든 이미지, 스크립트, 스타일 등 외부 리소스 로딩이 늦어 페이지가 시각적으로 완전하게 나타나는 시간이 지연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첫 상호작용은 가능하지만, 전체적인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인식할 수 있습니다.
1. 성능 개선을 위한 우선 지표 선택 가이드
성능 최적화 시 어떤 지표에 우선순위를 둘지는 사이트 특성과 목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고려할 수 있습니다.
Ⅲ. SEO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웹사이트 성능은 SEO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Google은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는 데 핵심 지표인 Core Web Vitals를 적극 반영합니다. DOMContentLoaded와 Load 이벤트도 이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SEO 최적화를 위해 이들의 의미와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1. Google의 Core Web Vitals와 연관성
Core Web Vitals는 웹페이지의 실제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입니다.
- FCP(First Contentful Paint): 사용자가 페이지에서 처음으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시점
- LCP(Largest Contentful Paint): 페이지에서 가장 큰 콘텐츠 요소가 완전히 렌더링되는 시점
- CLS(Cumulative Layout Shift): 페이지 레이아웃이 불안정하게 변경되는 정도
이 중 FCP와 LCP는 DOMContentLoaded 및 Load 이벤트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이 이벤트의 최적화가 Core Web Vitals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2. 검색 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표는 무엇인가
Google은 페이지 로딩 속도와 사용자 경험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 LCP는 페이지의 ‘시각적 완성도’를 측정하여 순위에 강한 영향을 미칩니다.
- FCP는 초기 콘텐츠 표시 속도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첫인상에 큰 역할을 합니다.
- DOMContentLoaded 시점이 빠르면 사용자 상호작용이 빨라져 간접적으로 SEO에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반면, Load 이벤트는 전체 리소스 로딩 완료 시점으로, SEO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간접적입니다.
3. LCP, FCP 등과의 비교
|
지표 38861_58fd66-75> |
FCP 38861_6d81ec-ea> |
LCP 38861_b4d827-63> |
|---|---|---|
|
설명 38861_6df2a2-73> |
첫 번째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는 시점 38861_7ca384-df> |
가장 큰 콘텐츠 요소가 완전히 렌더링된 시점 38861_81a091-c3> |
|
DOMContentLoaded |
대체로 DOMContentLoaded 이전 혹은 근접 시점 38861_3885c8-da> |
DOMContentLoaded 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38861_8313e0-c4> |
|
SEO 영향 38861_6984e4-73> |
초기 사용자 경험에 직접 영향 38861_bc7694-e3> |
페이지 시각적 완성도에 큰 영향 38861_955d67-9a> |
Ⅳ. SEO 도구에서 DOMContentLoaded 지표를 어떻게 해석하는가
대부분의 SEO 성능 분석 도구(예: Google PageSpeed Insights, Lighthouse)는 DOMContentLoaded 시간을 주요 성능 지표 중 하나로 제시합니다.
- 빠른 DOMContentLoaded는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점이 빨리 도달했음을 의미
- 느린 DOMContentLoaded는 사용자 이탈 및 체류 시간 감소 요인으로 평가됨
- DOMContentLoaded 시간 개선은 Core Web Vitals와 맞물려 SEO 점수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