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드 드레스
|

트레이드 드레스(Trade Dress): 미국의 1989년 개정된 상표법

트레이트 드레스(Trade Dress)는 지적재산권 용어 중에 하나로 미국의 1989년 개정된 상표법에서 적용되었습니다. trade는 무역의 뜻 외에 상업의 뜻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tarde와 dress를 합친 ‘trade dress’라는 새로운 단어가 지적재산권(바뀐 용어는 지식재산권)의 용어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트레이드 드레스란 색채, 크기, 모양 등 제품의 고유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무형의 요소들을 뜻하며, 지적재산권의 새로운 형태이다. Trade…

대차거래

대차거래와 대주거래 공매도의 2가지 종류

대차·대주에 의한 거래는 주식을 빌려 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대차거래 주식 대여자와 차입자 간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기관투자자와 증권사 사이의 거래이며, 증권사는 일정 수수료를 받고 기관투자자에게 주식을 대여해 줍니다. 기관은 빌린 주식을 공매도 하게 됩니다. 보통 주식대여에 동의한 개인투자자의 주식을 대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아래는 신한금융 투자 홈페이지의 참조 사진입니다. 대차거래 한 주식은 계약…

무차입공매도
|

주식의 무차입공매도와 차입공매도 차이점

공매도는 무차입공매도(naked short selling)와 차입공매도(covered short selling) 2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차이점은 자산을 빌리지 않고 공매도를 한 것과 자산을 빌린 후 공매도를 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1. 무차입공매도 (naked short selling) 먼저 주식을 보유한 사람으로부터 주식을 대차 하거나 대차 할 수 있는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래 가능한 주식을 공매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을 소유하지 않고도 주식을…

주식 공매도 원리
|

주식 공매도: 동전의 양면성 2가지 대립

주식 공매도란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시점을 예상하거나 또는 하락 시킬 주식을 정한 후 미리 빌려서 판 다음에 주가가 하락하면 싼 값에 주식 매수 후 대차거래한 주식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남기는 투자 방법입니다. 주식 투자의 기본은 싸게 사서 더 비싼 값에 팔아야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주식 공매도는…

대공황-무료급식소1931년
|

대공황 원인: 1929년 세계경제대공황과 뉴딜정책

1929년에 시작된 세계 경제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은 1939년에 끝이 난다. 1932년에 국민총생산은 대공황 시작 이후 56%까지 떨어지며 1,300만명의 실업자와 파산자가 발생했다. 이미 미국의 경제 공황은 세계 경제 공황 으로 확산된 상태였다. 국민들의 삶이 송두리째 무너진 시기로 자본주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안 좋은 일들이 한꺼번에 일어난 시기였다. 삶의 질 악화, 인종차별과 노사 갈등 등…

복리

단리와 복리 2가지 차이와 복리의 마법 : 72의 법칙

복리란? ‘단리‘ 상품은 원금에만 이자가 붙지만 ‘복리‘는 이자에도 이자가 붙습니다. 또 유명한 투자자들이 이야기 하는 복리의 마법은 매력적입니다.  72의 법칙은 원금의 가치가 2배로 증가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그럼 복리의 법칙에 대해 하나 씩 풀어 보겠습니다. 1. 단리와 복리 2가지 차이점 ⓐ 단리는 이자 계산 시 원금에 대해서 이율이 적용됩니다.ⓑ 복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가 원금에…

재무상태표 활용

재무상태표 활용: 부채(2번째)

Ⅱ. 재무상태표 활용: 부채 ‘재무상태표 활용 2번째-부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자산 = 부채+자본’ 이라는 공식 중에서 자산에 대한 항목에 대해 일전에 글을 게재 했습니다. 이번에는 부채 항목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고정부채)로 나뉘어 집니다. 유동부채에서는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부채를 ‘비유동부채‘ 에서는 금액이 큰 사채와 장기차입금을 요약해서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1. 재무상태표 활용…

재무상태표 활용 자산(첫번째)

■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 ‘재무상태표 활용 첫번째-자산’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산 =부채+자본 이라는 공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기업이 창업을 하고 기업을 운영함에 있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외부차입(부채)과 투자자(주주)의 투자(자본금)가 있습니다. 자산 = 부채+자본 ‘재무상태표’ 의 목적은 기업이 ⓐ어떻게 자금을 마련하여(부채+자본) ⓑ조달한 자금(자산)을 어떻게 활용 했는가 보여주는 표입니다. Ⅰ. 재무상태표 활용…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보는법: 자산=부채+자본

▧ 재무상태표 보는법 ‘재무상태표’는 ‘자산’ 과 ‘부채’ ‘자본’ (자기자본)이라는 크게 세가지 분류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기업이 창업을 할 경우 자금 조달을 하는 방법은 보통 주주의 투자금(자본금)과 외부차입(부채) 두 가지 방법  있습니다. 조달한 자본과 부채를 어떻게 활용(자산)하였는지를 보여주는 표가 재무상태표입니다. 자산은 부채와 자본을 합쳐서 운영한 것을 말합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과 부채,자본’…

증권이란? : 3가지 증권 종류

증권이란? : 3가지 증권 종류

증권이란 문서나 서류로서의 증거를 의미하며, 보통 유가증권(有價證券)을 줄여서 ‘증권’이라고 합니다. 유가증권과는 반대인 무가증권은 금전적 가치가 없는 증권입니다. 상법 상 재산적 가치를 인정 받는 유가 증권(영어:security)은 화폐증권, 상품증권, 주식증권 3가지가 있습니다. 증권거래법으로 규정된 유가증권 1. 증권이란: 화폐증권 화폐증권은 화폐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닌 유가증권으로, 특정 기간 또는 수시로 일정액의 화폐를 요구할 수 있는…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