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상장지수펀드: ETF 종류 및 특징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ETF 상장지수펀드(:Exchange Traded Fund)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ETF 거래 대금이 2020~2021년 기간 동안 주식 거래대금을  넘는 기간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코스피나 코스닥, 그리고 원자재, 채권 등과 같은 지수에 맞춰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입니다.


ETF(상장지수펀드)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하여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하게 거래할 수 있게 끔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기존 펀드의 대안이라고 생각해도 좋은 점은 코스피 지수를 따라가는 ETF는 코스피 수익이 한 달 동안 10% 오르면 해당 ETF의 수익률도 비슷하게 따라간다는 것입니다.


ETF 상장지수펀드

1. ETF 종류

ETF 상장지수펀드는 ‘KBSTAR 200‘ 처럼 상품 뒤에 숫자가 붙는 접두어(KBSTAR) 그리고 접미어(200)가 붙습니다. 아래 표는 ETF를 운용하는 간략한 운용사 리스트입니다.

EFT 종류운용사
ARIRANG한화
KBSTARKB
KOSEF키움
KODEX삼성
KINDX한국투자
TIGER미래에셋
SMART신한
그외 기타 운용사

예로 KBSTAR 200 ETF 같은 경우는 코스피200 지수를 그대로 쫓아 가도록 벤치 마킹한 ETF 펀드입니다. KBSTAR는 주식에 간접투자 되는 주식형 ETF입니다. ETF는 종류는 크게 주식형 ETF와 그 외 기타 ETF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2. ETF 특징

ETF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덱스펀드를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습니다.
  • 분산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 자동으로 분산 투자
  • 분산투자로 인하여 주식처럼 원금 손실(상장폐지 등)의 가능성이 적음
  • 펀드 및 주식보다 저렴한 거래 수수료
  • 소액 투자가 가능하여 주 당 가격이 높은 주식(100만원 등)에 투자가 가능
  • 일반 상승을 위한 투자 및 하락장(헷지)을 대비한 투자가 가능

3. ETF 분배금

ETF 특징 중 또 하나는 분배금은 주식의 배당금과 같은 개념입니다.
보통 주식에 투자하면 1년에 한번 배당금을 받습니다. 분기마다 배당금이 지급되는 주식도 있지만 보통 1년에 한번 배당금 지급이 되는 게 일반적입니다.
ETF에 투자했을 경우 ETF에 포함된 주식에서 배당금이 나옵니다. 그리고 투자한 ETF가 주식 외 다른 상품에도 투자를 했을 경우 추가 분배금이 나옵니다.
예를 들어 채권이자 수익, ETF 운용 수익, 주식대차 수수료 등으로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줍니다. 주식은 주식에 대한 배당금이 나오지만 ETF는 배당금과 이자를 받기 때문에 ETF 분배금이라고 합니다.


ETF 상장지수펀드: ETF 종류 및 특징

3.1 ETF 분배금 지급 기준일

ETF 분배금 지급 기준일은 ETF 종류에 따라 방식이 2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주식형 ETF와 기타 ETF의 기준이 다릅니다.

ⓐ 주식형 ETF

  • 1월, 4월, 7월, 12월 마지막 영업일
  • △최대 5번이 아닌 최대 지급할 수 있는 기준입니다.

ⓑ 기타 ETF

  • 12월 마지막 영업일

보통은 주식형과 기타 ETF 대부분 12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으로 분배금을 지급합니다.

4. 단점 – 주의점

ETF 상장지수펀드 역시 주식 및 펀드처럼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는 상품입니다. 투자를 알아본다면 어느 정도 공부는 하고 들어가야 하는 상품입니다. 실제 지수와 다른 괴리율이 있으며, 장기 보유 시 손실 등 쉬운 상품은 아닙니다.


해당 콘텐츠는 투자 판단에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실 수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으로서 그 결과에 대해 법적인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Similar Posts

  • 객단가 정의-고객 1인당 평균 매입액

    객단가란 고객 1인당 평균 매입액(구매금액)을 뜻하는 경제용어입니다. 자영업(self-employment)에서 중요하게 봐야하는 요소 중 일 평균, 주 평균, 월 평균 매출의 객단가입니다. 한 명의 손님이 지불한 금액의 평균 가격은 시간 대비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영업에선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목차1. ETF 종류2. ETF 특징3. ETF 분배금3.1 ETF 분배금 지급 기준일4. 단점 – 주의점 1….

  • 테마주 종류 6가지&4가지 특징

    테마주란 정치, 남북경협, 자원 개발 등 특정 사건에 의해 주가가 움직이는 것을 바탕으로 영어 단어 theme와 주식의 ‘주’자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테마주 종류, 테마주 특징에 따른 분류를 해 보겠습니다. 목차1. ETF 종류2. ETF 특징3. ETF 분배금3.1 ETF 분배금 지급 기준일4. 단점 – 주의점 1. 테마주 종류 테마의 종류는 6가지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①계절주: 계절의 영향에…

  • 외상매출금과 미수금

    ‘외상매출금과 미수금‘ 은 재무상태표에서 ‘당좌자산‘ 에 속합니다. 매출채권은 ‘외상매출금’과 ‘받을어음’으로  나뉘어 진다고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의 글에서 언급했습니다. 매출채권은  상거래에서 제품과 상품 등을 외상으로 제공하면서 발행한 채권을 말합니다. 매출채권 = 외상매출금&받을어음 목차1. ETF 종류2. ETF 특징3. ETF 분배금3.1 ETF 분배금 지급 기준일4. 단점 – 주의점1. 외상매출금(Accounts receivable) 외상매출금은 거래를 하고 결제를 받기 전 상태의 매출…

  •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비교(2020년 12월 10일~)·포인트 정리

    은행에서 사용했던 공인인증서가 2020년 5월 20일에 폐지 된다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국회 의결 후, 6월 9일 공포되었습니다. 2020년 12월 10일 공인인증서가 폐지 되었습니다. ‘공인인증서’란 이름이 폐지된 것이며, ‘공동인증서’란 명칭으로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2020년 12월 10일 ‘금융인증서’가 금융결제원의 본인인증 서비스로 출시 되었습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비교’하여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차이점을 순차적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1. ETF…

  • 2023년 8월 17일 헝다 그룹 파산 신청 [ⅱ]

    중국 2위 부동산 기업인 헝다 그룹이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 보호법 15조(챕터15)에 따라 파산 보호를 신청하게 되었다. 헝다 그룹 파산 신청의 원인은 코로나 이후 중국이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이유가 가장 크다. 이미 헝다 그룹은 2021년 대규모 채권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파산 위기 이력이 있었다. 당시 헝다 그룹은 360조 원 가량의 부채로 파산 위기에…

  •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3번째)

    목차1. ETF 종류2. ETF 특징3. ETF 분배금3.1 ETF 분배금 지급 기준일4. 단점 – 주의점 Ⅲ.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 ‘재무상태표 활용: 자본’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 의 기본은 ‘자산 = 부채+자본’ 의 공식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전에 자산 및 부채 항목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자본‘은 투자자의(주주) 자본금으로 자본 형성이 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