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find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find 명령어는 여러가지 다양한 기준으로 파일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파일을 찾거나 특정 문자 패턴에 맞춰서 검색, 특정 확장자의 파일 검색, 특정 소유자, 파일 사이즈, 퍼미션,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ind 명령어는 파일을 찾는 기본 역할 외에도 찾은 파일에 대한 퍼미션 변경, 소유자 변경, 파일 삭제 등의 추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find 명령어

·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명령어
· 다양한 조건(이름, 경로, 확장자, 크기, 권한 등)으로 검색 가능
· 와일드카드와 정규표현식 사용 가능
· 특정 사용자 소유의 파일 검색 가능
· 특정 날짜 기준으로 생성/수정된 파일 검색 가능
· 파일 사이즈 기준 검색 가능 (예: 100M 이상)
· 퍼미션 기준 검색 가능 (예: 644, 777 등)
· 검색한 파일에 대해 다음 작업 수행 가능:
→ 삭제 (-delete)
→ 권한 변경 (-exec chmod)
→ 소유자 변경 (-exec chown)
→ 복사 또는 이동
· 자동화 스크립트에서 많이 활용됨

✅ find 명령어 정의

Linux의 find 명령은 계층 구조 내에서 포괄적인 파일 및 디렉터리 검색을 위해 설계 된 동적 유틸리티입니다. 사용자는 이름, 크기, 수정 시간 등을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기본 사용 옵션 #
find [디렉터리] [-옵션] [표현식]
# 경로 시작 검색
find /path/
# txt. 파일을 경로에서 찾기
find /home/ -type f -name '*.txt'
# txt. 특정 디렉터리 명을 경로에서 찾기
find /home/ -type f -name 'docs'
리눅스 find 명령어(콘솔에서)

✅ 리눅스 find 명령어 옵션

아래 목록은 find 명령 옵션입니다.

✅ find 명령 예시

◻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

# 현재 폴더(이하) 파일 퍼미션을 모두 644로 변경 
find . -type f -exec chmod 644 {} \;   
# 현재 폴더(이하 디렉터리 권한을 755로 변경 
find . -type d -exec chmod 755 {} \;
# 현재 폴더(이하 특정 단어(old)가 포함된 파일을 삭제 
find ./ -type f -name '*.old' -exec rm {} \;  
find ./ -type f -name '*.old' -delete
# 현재 폴더에만 있는 *.old 파일을 찾아서 삭제
find ./ -maxdepth 1 -type f -name '*.old' -exec rm {} \;
# 현재 폴더부터 바로 하위 폴더까지 *.old 파일을 찾아서 삭제\
find ./ -maxdepth 2 -type f -name '*.old' -exec rm {} \;
# 현재 폴더(이하) 디렉토리 갯수 확인 
find ./ -type d | wc -l  

◻ 폴더 지정하여 활용 -maxdepth

-maxdepth 1 옵션의 경우 현재 폴더 내에서만 데이터를 적용하기 때문에 /home/user/public_html/ 폴더에 접속한 상태에서 .txt 확장자 파일을 지운다고 할 경우 아래와 같이 옵션을 사용해서 이하 폴더의 .txt 확장자 파일을 남기고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root@rocky-linux public_html]# pwd
/home/rocky/public_html
find ./ -maxdepth 1 -type f -name '*.txt' -exec rm {} \;

◻ find의 -size 옵션 활용

파일 사이즈에 대한 -size 옵션 활용 방법입니다.

# 5M보다 크고 30M보다 작은 파일 찾기 
find ./ -size +5M -size -30M 
# 512M보다 크고 1024G 보다 작은 파일 찾기 
find ./ -size +512M -size -1024G 
  • c : 바이트
  • k : 키로바이트
  • M : 메가바이트
  • G : 기가바이트
리눅스 기초(The Linux Foundation)

xargs 활용 및 기타 활용

# 현재 디렉토리에서 가장 큰 파일 찾기 
find . -type f | xargs du -s | sort -n | tail -1
# 현재 디렉토리 위치에서 하위디렉토리를 포함하여 string 이란 문자열을 포함한 파일 검색
find . -type f | xargs grep string
# 현재 디렉토리 밑에서 첫글자가 영어 대문자인 모든 파일을 찾을 경우 
find . -name "[A-Z]*'' -print 

grep, du 등의 명령어를 파이프(pipe) 다중 명령어를 사용할 땐 xargs를 같이 사용해 줍니다. xargs의 경우는 find 명령어를 사용하면서 /path 경로에 파일들이 너무 많으면 “Argument list too long”이란 메시지가 나오면서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명령어와 같이 사용할 때 오류 메시지가 나올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

Similar Posts

  •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사용 방법과 옵션

    리눅스 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kill과 killall은 단순 종료가 아닌 프로세스에 지정한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로 시그널에서 액션이 종료일 때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목차✅ find 명령어 정의✅ 리눅스 find 명령어 옵션✅ find 명령 예시◻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 폴더 지정하여 활용 -maxdepth◻ find의 -size 옵션 활용◻ xargs 활용 및 기타 활용✅…

  • 리눅스 퍼미션(4,2,1)과 소유권 | chmod, chown, umask 명령어 | 스티키 비트

    리눅스 퍼미션(Permission)은 권한(&허가)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들은 MS-DOS 계열의 운영 체제들은 멀티 테스킹 시스템이 아니며 멀티 유저 시스템 역시 아닙니다. 보통 컴퓨터는 하나의 키보드와 모니터를 가지고 한 명이 사용하지만 멀티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한 명 이상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닉스 계열의 멀티 유저 시스템은 운영 체제 설계 초기부터 깊게 내장된…

  • SSH 명령어: 옵션 및 사용 방법

    리눅스에서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원격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며, 주로 원격 접속, 파일 전송, 그리고 터널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한 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터널링 기능: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 리눅스 host 명령어 | DNS 조회 명령어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목차✅ find 명령어 정의✅ 리눅스 find 명령어 옵션✅ find 명령 예시◻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 폴더…

  • 리눅스 netstat 명령어, ifconfig 명령어

    리눅스에 netstat 명령어 및 ifconfig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리눅스 서버에 명령어 실행을 위한 net-tools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목차✅ find 명령어 정의✅ 리눅스 find 명령어 옵션✅ find 명령 예시◻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 폴더 지정하여 활용 -maxdepth◻ find의 -size 옵션 활용◻ xargs 활용 및 기타 활용✅ net-tools 설치 ✅ netstat 명령어 netstat[network statistics:네트워크 통계]은…

  •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와 명령어 옵션

    ‘리눅스 명령행 인자(Command-Line Argument)‘는 ‘리눅스 명령어 인수‘, ‘명령 인자‘ 등으로도 불리며,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매개변수를 뜻 합니다. 리눅스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가리킵니다. 이 값은 해당 프로그램이나 함수가 실행될 때 필요한 입력 값으로 사용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Parameters)”는 함수에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함수 정의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