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grep 명령어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눅스 grep 명령어는 로그 파일과 같은 텍스트 파일과 아스키 파일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되며, tail과 find 명령어를 파이프(|)와 결합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입니다.

  • grep 명령어
  • 파일 내의 특정 문자열을 찾을 때 사용됩니다.
  • grep 명령은 global / regular expression / print 에서 각각의 머릿글자를 따 왔음
  • ls, tail, find 명령어와 조합해서 자주 사용.
  • find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 후 원하는 결과 값만 출력할 수 있음.
  • 패턴은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나 정규 표현식으로 grep은 특정 파일의 지정한 문자열 및 정규 표현식을 활용한 행을 출력해 주는 명령어
  • 텍스트 처리&검색 명령어&스크립팅 명령어

✅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grep [-옵션] [패턴] [파일명]
다른 명령어 | grep [-옵션] [패턴] [파일명]

✅ 기본적인 사용 예

# access_log에서 403 에러 찾기 | 현재 폴더에서 403 에러 찾기 > grep 403 ./* | grep 430 *.log
~]# grep 403 access_log 

[01/Jan/2024:05:25:24 +0000] "GET / HTTP/1.1" 403 199 "-" "python-requests/2.31.0"
78.153.140.221 - - [01/Jan/2024:05:35:54 +0000] "GET /.env HTTP/1.1" 403 199 "-" "Mozilla/5.0 (X11; Linux x86_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81.0.4044.129 Safari/537.36"
95.214.235.169 - - [01/Jan/2024:05:55:12 +0000] "GET /.env HTTP/1.1" 403 199 "-" "Mozilla/5.0 (X11; Linux x86_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81.0.4044.129 Safari/537.36"
95.214.235.169 - - [01/Jan/2024:05:55:14 +0000] "POST / HTTP/1.1" 403 199 "-" "Mozilla/5.0 (X11; Linux x86_64) 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81.0.4044.129 Safari/537.36"

# 1월 1일의 데이터를 제외(-v)하고 찾기
~]# grep 403 access_log | grep -v 01/Jan

✅ grep 옵션

✅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다중 명령어인 파이프(|)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tail -f access_log | grep 430
tail -f access_log | grep 430 | grep -v 01/Jan

✅ grep의 3종류

grep는 3가지 종류로 분류됩니다. egrep는 정규 표현식만으로 검색하는 것으로 grep 옵션의 -E 옵션고 동일한 결과를 출력내며, fgrep는 문자열만 검색해서 grep 옵션의 -F옵션과 동일한 결과를 출력 해 줍니다.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

Similar Posts

  • [Linux]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 및 mv 명령어 옵션

    리눅스 mv 명령어는 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적인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기본적인 사용 예✅ grep 옵션✅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grep의 3종류✅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명령어의 기본 사용 방법입니다….

  • yum 명령어 | 사용법 | 옵션 | yum-utils | 패키지 관리와 저장소 관리🔝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YUM 명령어는 패키지 관리(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yum은 기존 패키지 시스템인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구이며, RPM에서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기본적인 사용 예✅ grep 옵션✅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grep의 3종류 ✅ YUM 명령어…

  • 리눅스 ls 명령어

    ls 명령어는 list의 약자이며, 리눅스 파일과 디렉토리를 볼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의 종류와 파일의 크기, 만들어진 날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기본적인 사용 예✅ grep 옵션✅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grep의 3종류✅ ls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ls 명령어 사용 시 [파일 or 디렉토리]를 입력하지 않으면…

  • [Linux] localectl 명령어

    CentOS 7 버전부터 많은 명령어들이 통합되어 제공됩니다. 로케일 및 키보드 관련 부문은 localectl 명령어에서 제공합니다. locale은 원래 지역이나 장소를 의미하지만, IT 환경에서는 언어 및 지역 설정을 지칭합니다. 리눅스에서는 문자 인코딩, 언어, 날짜/시간, 숫자 등의 지역화 설정을 locale 문자열로 정의합니다. 대부분의 유닉스 및 리눅스 배포판은 POSIX 기반이며, 이는 Red Hat 및 Debian 계열도 포함됩니다….

  • 리눅스 pwd 명령어 & realpath 명령어 | 절대 경로 위치 확인

    목차✅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기본적인 사용 예✅ grep 옵션✅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grep의 3종류✅ pwd 명령어 pwd 명령어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절대 경로를 표시합니다. 🔲 명령어 옵션 pwd 명령어는 간단한 명령어로 옵션은 2가지만 존재합니다. ✅ realpath 명령어 realpath 명령어는 실제…

  • 리눅스 who, w 명령어 & user 명령어

    리눅스 who 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로그인한 사용자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w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의 작업 내용을 보여주는 명령어로 각각의 차이가 있습니다. 목차✅ grep 명령어 기본 사용법✅ 기본적인 사용 예✅ grep 옵션✅ 다른 명령어와 파이프(|) 조합 활용✅ grep의 3종류✅ 리눅스 who 명령어 현재 접속 사용자(USER) 터미널 유형(TTY) 접속 시간 및 IP…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