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상태 코드 표 [100~500] 정리

HTTP 상태 코드는 운영 중인 서버의 오류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HTTP는 HTML,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동영상, JavaScript 등의 다양한 파일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에는 5가지 HTTP 상태 코드가 있습니다.

✅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에서 상태 코드는 총 3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100~500 번까지 존재하며, 총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관리됩니다.

  • 5가지 상태 코드표
  • 1xx: Informational(정보 제공)
  • 클라이언트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
  • 2xx: Success(성공)
  • 클라이언트 요청이 서버에서 정상 처리됨.
  • 3XX: Redirection(리다이렉션)
  • 요청이 완료 되려면 추가 동작인 필요함. 보통 새로운 서버 URL로 다시 접속 시도의 의미가 많음.
  • 4XX: Client Error(클라이언트 에러)
  • 페이지가 없거나 클라이언트 요청 메시지 내용이 잘못된 경우 등.
  • 5XX: Server Error(서버 에러)
  • 서버 내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로 서버 부하 및 오류, DB 오류 등의 다양한 오류를 보여줌.

✅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

1XX Informational

2XX Success

3XX Redirection

4XX Client Error

5XX Server Error

Similar Posts

  • 리눅스 head 명령어 & tail 명령어

    리눅스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와 tail 명령어는 보통 서버의 access_log를 볼 때 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두 명령어의 사용법과 테스트 서버에서 access_log를 각각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목차✅ HTTP…

  • 리눅스 프롬프트(Prompt)란?

    리눅스 셸에서 프롬프트는 CLI(커멘드 라인 인터페이스)의 명령줄 대기 모드를 뜻 합니다. 커맨드 프롬프트(command prompt) 또는 셸 프롬프트(shell prompt)로 불립니다. Command Prompt는 명령을 입력/발행할 수 있는 터미널 에뮬레이터(CLI)의 입력 필드입니다. 참조: 내 Linux 명령 Prompt는 무엇을 알려줍니까? 목차✅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1XX Informational2XX Success3XX Redirection4XX Client Error5XX Server Error ✅ 리눅스 프롬프트의…

  •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E, RHCA

    레드햇 자격증(Red Hat Certification)은 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확인하고 입증하는 자격증입니다. 레드햇 웹사이트에서 확인한 RHCSA, RHCE, RHCA 3개 자격증의 정보입니다. 자격증의 기본적인 취득 조건은 RHCSA 자격증 취득 후 RHCE, RHCA 순서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목차✅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1XX Informational2XX Success3XX Redirection4XX Client Error5XX Server Error1.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SA(Red Hat…

  • [Linux] localectl 명령어

    CentOS 7 버전부터 많은 명령어들이 통합되어 제공됩니다. 로케일 및 키보드 관련 부문은 localectl 명령어에서 제공합니다. locale은 원래 지역이나 장소를 의미하지만, IT 환경에서는 언어 및 지역 설정을 지칭합니다. 리눅스에서는 문자 인코딩, 언어, 날짜/시간, 숫자 등의 지역화 설정을 locale 문자열로 정의합니다. 대부분의 유닉스 및 리눅스 배포판은 POSIX 기반이며, 이는 Red Hat 및 Debian 계열도 포함됩니다….

  • 리눅스 top 명령어(CPU, 메모리 점유율 확인)

    리눅스 top 명령어는 구동 중인 OS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ble of processes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총 메모리 사용량, CPU 사용량 등을 보여주며 각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메모리와 CPU 사용량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1XX Informational2XX Success3XX Redirection4XX Client Error5XX Server ErrorⅠ. 리눅스 top 명령어 기본 사용 top 명령어는…

  • [Linux]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 및 mv 명령어 옵션

    리눅스 mv 명령어는 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적인 리눅스 mv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및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HTTP 상태 코드 표 5가지✅ HTTP 상태 코드 표 목록1XX Informational2XX Success3XX Redirection4XX Client Error5XX Server Error✅ 리눅스 mv 명령어 기본 옵션 mv 명령어의 기본 사용 방법입니다. ✅ mv 명령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