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mod_ssl.so Apache 모듈 설치하기
아파치를 사용하는 리눅스 서버에 SSL을 적용하려고 할 때 아피치 모듈 중 mod_ssl.so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mod_ssl.so 설치 ✅ 서버 방화벽 포트 443 열어두기 SSL 포트인 443 포트가 방화벽에서 열려있는 상태로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합니다.
CentOS, Rocky Linux 등
아파치를 사용하는 리눅스 서버에 SSL을 적용하려고 할 때 아피치 모듈 중 mod_ssl.so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mod_ssl.so 설치 ✅ 서버 방화벽 포트 443 열어두기 SSL 포트인 443 포트가 방화벽에서 열려있는 상태로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합니다.
스냅크래프트(Snapcraft) 또는 스냅(Snap)은 캐노니컬(Canonical)이 시작한 Ubuntu 스마트폰 운영 체제를 위한 소프트웨어 배포 및 패키지 도구로서 개발되었으며,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스냅(snap)이라고 불리는 패키지와 snapd를 사용하는 도구는 업스트림 소프트웨어 패키징을 간편화하여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Linux snapd은 앱 패키지로 데스크톱, 클라우드, IoT에서 사용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안전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PHP-FPM을 시작하기 전에 CGI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는 웹 서버와 외부 프로그램 사이의 상호작용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며, 웹 서버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요청이 들어올 때 마다 각각의 요청으로 CGI가 생성되게 되어 서버의 속도는 느려질 수 밖에 없습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서버의 성능을…
SSH(Secure Shell)은 리눅스 원격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보안 셸이란 이름처럼 기존 텔넷에서 업그레이드 된 보안 접속 시스템입니다. 기본적인 보안 기능 외에도 추가로 SSH 설정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SSH를 사용하면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무단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안전한 원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SH는 네트워크를 통해…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 host 명령어 사용법 기본 사용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의 IP 주소를 찾을 경우…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YUM 명령어는 패키지 관리(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yum은 기존 패키지 시스템인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구이며, RPM에서 수행할 수 있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YUM 명령어 yum 명령어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YUM 명령어 옵션 ✅ YUM 패키지 관리: 확인 및…
레드햇 자격증(Red Hat Certification)은 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확인하고 입증하는 자격증입니다. 레드햇 웹사이트에서 확인한 RHCSA, RHCE, RHCA 3개 자격증의 정보입니다. 자격증의 기본적인 취득 조건은 RHCSA 자격증 취득 후 RHCE, RHCA 순서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1. 레드햇 자격증: RHCSA RHCSA(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는 레드햇 리눅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역량의 확인 및 입증을 해 주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1. 스왑 파일 생성 /dev/zero를 읽어서 /swapfile을 1MB 블록을 2천 개…
리눅스 스왑 메모리(Swap Memory)는 실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물리 메모리인 RAM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지만 물리 메모리가 가득 찬 경우를 대비해 디스크 공간에서 할당 된 스왑 메모리를 생성해서 관리할 수 있어 한정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wap 파일 시스템 Swap 파일 시스템은 리눅스의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이며,…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