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Rocky Linux 등

리눅스(펜과 안경 배경)

Linux: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및 스레드(3가지 용어 차이)

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스레드의 차이는 운영체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요소입니다. ✅ 프로그램(Program)이란? 사전적 의미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의 모음을 의미하며,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및 소프트웨어의 형태)입니다. ◼ 종류 ✅ 프로세스(Process)란?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돌아가고 있는 상태로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에 의해 실행이 됩니다. 이때의 실행 상태를…

useradd 명령어로 생성된 계정은 /etc/passwd에서 확인 가능

리눅스: useradd 명령어 & passwd 명령어

userad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자의 ID(계정)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root 권한으로 생성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 리눅스 useradd 사용 예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예입니다. 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 계정 생성 시 설정 값이 정의되는 /etc/skel 데릭토리는 사용자를 생성 했을 때 해당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기본으로 들어가는 파일이 있습니다. /etc/skel 설정은…

아파치 톰캣 압축 파일 링크복사

리눅스 톰캣 설치

리눅스 톰캣 설치(Ver 9.0.83)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1. wget 설치 먼저 레드헷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인 yum으로 wget 설치를 진행합니다. wget은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가져오는 프로그램입니다. 2. 리눅스 톰캣 설치하기: Apach Tomcat ▼ Apach Tomcat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9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 ‘링크 주소 복사’ 버튼을 눌러 줍니다. /usr/local/ 폴더에 설치를 진행할 것이며, 폴더는 원하는…

리눅스 TOP 명령어: 명령줄 인터페이스(CLI-Command-Line Interface)

리눅스 wget 명령어

wget 명령어는 웹의 다운로드 링크를 리눅스 커멘드라인에서 실행해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웹 서버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wget 설치하기 레드헷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인 yum으로 wget 설치를 진행합니다. 기본 다운로드 명령입니다. wget 명령어 옵션 다운로드 중 중단 되었다면 -c 옵션을 이용해서 이어 받을 수 있습니다.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서블릿(servlet)의 동작 과정

서블릿(Servlet)이란?

1. 서블릿이란 무엇인가? 서블릿은 동적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자바 클래스입니다. Servlet은 일반적으로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여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 연동, 파일 처리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RESTful API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참조: Tomcat-서블릿Servlet이란…

df 명령어

df 명령어

df(Disk Free)는 마운트 된 장치 전체 용량, 사용 용량, 여유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Filesystem), 디스크 크기(Size), 사용량(Used), 여유공간(Avail), 사용률(Use%), 마운트지점(Mounted on)을 순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df 명령어 옵션 웹사이트 접속이 안되는 오류 발생 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해서 서버 관리를 하는 것이 기본적인 활용법이며, 파티션 용량이 가득 찼을 경우 웹사이트가 접속 되지…

ps 명령어로 프로세스 확인

ps 명령어(프로세스 명령어)

ps 명령어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1. ps 명령어 옵션 ps에서 주로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기본 사용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2. ps -ef 명령어 ps -ef 명령어는 모든 프로세스를 포멧 리스트로 출력해 줍니다. 2.1 출력 필드 ps 출력 필드 기본 설명입니다. 3. ps -aux 사용 3.1 ps -aux의 필드 4. 프로세스 상태…

부팅 시 아파치가 항상 로드된 상태(부팅 시 아파치 재시작이 자동)

Linux: 아파치 재시작/시작/중지 명령어[CentOS 7]

리눅스 웹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CentOS에서 아파치 재시작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시작 및 시작, 중지 명령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아파치는 HTTP 아파치 서버로 불리는 HTTP 웹서버입니다. 쉬운 웹서버 구축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많은 중소기업 및 대형사이트에서 사용합니다. 1. apache 버전 확인 2. apache 상태 확인 3. apache 시작 4. 아파치 중지 4. 아파치…

yum update

리눅스 YUM 개념과 기본 명령어

yum(Yellodog Update Modified) yum이란 ellow dog Updater, Modified의 약자이며 레드헷(RPM)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패키지) 설치 관리 도구입니다. 기존 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구이며, RPM의 경우 의존성 이슈로 인하여 필요한 도구들을 사용자가 일일히 설치하는 과정이 진행되었습니다. 기존 RPM에 비해 yum의 장점은 패키지 의존성이 존재할 때 다른 패키지들을 알아서 자동으로 먼저 설치해…

록키 리눅스9(Rocky Linux9)

록키 리눅스(Rocky Linux)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 운영 체제 소스 코드를 사용한 리눅스로 RHEL과 100% 버그 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OS가 커뮤니티에서 집중적으로 개발 중이며,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뛰어난 안정성으로 2023년 최신 버전은 9.0입니다. 릴리스의 수명 주기는 10년입니다. 록키 리눅스 시작과 배경 CentOS는 2000년대 초반에 안정적인 포인트 릴리스 시스템을 갖춘 RHEL과의 바이너리 호환성을 제공하며…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