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domain)

낙장 도메인이란?

워드프레스 및 Ghost CMS 등으로 블로그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이 늘고 있습니다.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위해 낙장 도메인 구매를 고려하는 분들이 많은 것을 유튜브 및 해외 사이트에서 빈번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낙장 도메인이란? 도메인 등록 후 연장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 도메인의 소유권이 박탈된 도메인을 낙장 도메인이라고 하며,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해외에서는 ‘expired…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리눅스 free 명령어: 메모리 상태 확인

리눅스 free 명령어는 서버의 메모리 사용량과 여유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 /proc/meminfo의 메모리 정보를 가져와 보여줍니다. ✅ 리눅스 free 명령어 옵션 1. free -h 설명 2. 옵션 활용 ✅ 스왑(SWAP)메모리란? ✅ 명목 메모리 사용량 계산법 free(1239384)는 실제로 사용되지 않은 메모리 용량이며 100%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아닙니다.

워드프레스 RSS 피드 설정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 및 피드 주소 확인

워드프레스에서 RSS 피드 설정과 주소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의 기본 RSS 피드 개수는 10개로 설정되어 있으며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먼저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 방법입니다. ✅ 워드프레스 RSS 피드 개수 설정하기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설정] > [읽기] 항목으로 접속 후 [가장 최근의 배급 피드 수]에서 항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Firewalld 설치 화면

리눅스 FirewallD 설치 및 데몬 설정

리눅스 FirewallD는 iptables의 체인과 정책이라는 규칙 대신 Zone과 Service를 대신 사용합니다. Firewalld를 사용하는 이유는 iptables의 규칙이 복잡하기 때문에 iptables 대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리눅스 FirewallD 설치하기 리눅스 서버에 설치 여부를 먼저 확인합니다.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무 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 리눅스 Firewalld 데몬 시작 ✅ firewalld zone 설정 확인 ✅…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

리눅스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INDEX

리눅스 서버를 공부 할 때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이란 단어를 접하게 되는데 서버 엔지니어와 개발자가 서버를 운영하면서 듣게 되는 단어로 말 그대로 ‘문제 해결’을 뜻 한다. 리눅스에서 Trouble Shooting은 문제가 발생한 시점에서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네트워크 등에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이다. Ⅰ. 트러블 슈팅 시스템 구축 원인과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이 되었다면…

linux Free Software

리눅스 hosts.allow 및 hosts.deny 설정

리눅스 서버에서 특정 IP만 허용 및 특정 IP에 대한 차단을 위해 리눅스 hosts.allow 및 hosts.deny 설정을 각각 진행할 수 있습니다. iptables 방화벽에서 특정 IP만 SSH 접속을 허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1개 이상의 IP가 SSH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 hosts.allow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hosts.allow 설정 ✅ 리눅스 hosts.deny 설정 설정 후…

리눅스-SSH(Secure Shell)

리눅스 SSH 정의 및 기본 설치

✅ 리눅스 SSH 정의 SSH(Secure Shell)란 원격 호스트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보안 쉘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기존 유닉스 시스템의 텔넷은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계정 정보가 해킹에 노출되는 위협이 있었으며, 1995년 암호화 기능을 추가해서 나온 프로토콜입니다. 리눅스 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며, 쉘로 원격 접속 후 리눅스…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리눅스 history 명령어

리눅스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리눅스 콘솔에 접속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history만 입력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보다 더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 리눅스 history 명령어 기본 사용 history 명령어 자체만 입력해서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 history 명령어 옵션 ✅ history 명령어 파이프(|) 명령어와 함께…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리눅스 명령어 12가지 카테고리 분류&시스템의 이해

리눅스의 명령줄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 CLI)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다. 리눅스 명령어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어서 거의 동일하게 작동하며, 명령어를 입력해서 파일의 생성, 수정, 복사 이동 및 서버 전반에 걸친 관리를 하게 됩니다. 명령어를 카테고리로 분류하지만 틀릴 수 있는 점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리눅스 명령어 시스템의…

리눅스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Linux command line Interface-CLI)

리눅스 file 명령어

리눅스 file 명령어는 그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으로 파일의 파일 타입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리눅스 file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파일의 타입(종류)를 확인하는 file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입니다. file 명령어 사용 예시 file 명령어 옵션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