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CentOS 7 설치 | VirtualBox 설치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VirtualBox에 CentOS 7 설치를 진행 해 보겠습니다. 미리 다운로드 받은 ISO 파일로 이미 설정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VirtualBox CentOS 7 세팅 완료 화면

✅ CentOS 7 설치 진행

Install CentOS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CentOS 7 설치_Install CentOS 7 화면

선택 사항

설명

Install CentOS 7

CentOS 7 바로 설치

Test this media & Install CentOS 7

설치 이미지 확인 후 CentOS 7 설치

Troubleshooting

문제 해결 및 복구 도구 실행

CentOS 7 설치_설정 파일들 확인

언어 선택 화면에서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CentOS 7 설치_언어 선택(한국어)
CentOS 7 설치_설치 요약

🔲 KDUMP 설정

KDUMP를 클릭하여, 체크 된 활성화를 비 활성화로 변경합니다.

CentOS 7 설치_KDUMP 활성화 해제

항목

내용

기능

커널 패닉 발생 시 메모리 덤프(vmcore) 생성

위치

/var/crash/ 디렉토리에 저장

사용 목적

시스템 장애 원인 분석

단점

메모리를 일부 예약하므로, 메모리 적은 시스템엔 비활성화 권장

KDUMP 설정은 테스트 용도이거나, 커널 패닉의 주요 원인이 하드웨어(드라이버, 디바이스 오류 등)와 연관되어 있어 실제 하드웨어 접근이 제한된 가상 서버 환경에서는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모리 할당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KDUMP를 제외해 시스템 자원을 절약합니다.

🔲 파티션 설정

설정 완료 후 설치 요약으로 돌아와서[설치 대상]을 클릭합니다.

CentOS 7 설치_설치 요약

[파티션을 설정합니다.]를 체크하여 수동 설정을 진행합니다.

CentOS 7_파티션 설정_1

LVM은 설치 후 디스크 크기 조정, 확장, 스냅샷 생성 등 유연한 관리가 가능하지만 구조가 복잡합니다. 반면, 표준 파티션은 구조가 단순하고 설정이 쉬우나 설치 이후 공간 조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서버나 확장 가능성을 고려한 환경에서는 LVM이 권장되고, 단순한 테스트 환경이나 리소스가 적은 시스템에는 표준 파티션이 적합합니다.

CentOS 7_파티션 설정_2

항목

LVM

표준 파티션

유연성

설치 후 크기 조정 및 확장 가능

크기 변경 어려움

스냅샷 기능

가능

불가능

구조 복잡성

복잡함 (논리 볼륨, 볼륨 그룹 등)

단순함

복구 용이성

상대적으로 어려움

쉬움

권장 환경

서버, 디스크 확장 가능성 있는 환경

테스트용, 리소스 적은 시스템

◻️/boot 파티션 생성

/boot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CentOS 7에서는 1G로 입력하면 정확히 1024MB로 설정되지만, 500MB처럼 소문자 단위로 입력할 경우 약 496MiB로 계산되어 실제 크기가 줄어듭니다. 정확한 용량을 지정하려면 MiB 단위로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CentOS 7_파티션 설정_3

LVM 기본 설정이어도 /boot 파티션을 세팅하면 [표준 파티션], xfs 파일 시스템으로 설정이 잡힙니다. 이는 부팅 과정에서 LVM을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를 대비한 구조입니다.

이는 CentOS 7의 기본 구조에 맞게 부팅 호환성과 안정성을 확보한 형태이며, 변경할 이유가 없다면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CentOS 7_파티션 설정_4

◻️BIOS Boot

[표준 파티션]으로 생성되는 BIOS Boot 파티션은, BIOS 모드에서 설치 시 자동으로 생성되며, 파일 시스템은 지정되지 않고 “bios boot” 형식으로 설정됩니다. 용량은 2048KiB(2MiB)로 자동 할당됩니다. 이는 GRUB 부트로더가 BIOS 시스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부트 코드 공간입니다.

CentOS 7_파티션 설정_5

◻️ swap 파티션 생성

스왑 파티션 파일 시스템은 [swap]로 자동 생성됩니다.

CentOS 7_파티션 설정_6_swap 파티션

◻️/tmp 파티션 생성

/tmp 파티션은 기본적으로 xfs로 설정되지만, 필요에 따라 파일 시스템을 ext4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CentOS 7_파티션 설정_7_tmp 파티션 생성_

◻️/ 파티션 및 /home 파티션 생성

/ 파티션 및 /home 파티션도 동일하게 ext4로 생성합니다.

CentOS 7_파티션 설정_8_루트 및 home 파티션 생성

항목

ext4

xfs

안정성

오래된 구조, 검증된 안정성

안정적이나, 특정 상황에서 복구 어려움

복구 도구

fsck 등 다양한 복구 도구 지원

xfs_repair만 사용 가능 (제한적)

저널링 방식

순차적 저널링

병렬 처리에 최적화된 저널링 구조

파일 시스템 크기

최대 1EB (일반적으로 수십 TB)

최대 500TB 이상

성능

소파일 위주 일반 환경에 적합

대용량 파일, 고속 I/O 환경에 유리

유연성

일반 시스템, 가상 머신, 서버에 범용적 사용

고성능, 대규모 서버 환경에 최적화

스냅샷 지원

LVM 조합 시 사용 가능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음

CentOS 7_파티션 설정_9

◻️파티션 권장 용량

파티션

권장 용량

/boot

최소 500M, 권장 1G

/boot/efi

최소 100M, 권장 200~300M

/

20GB 이상

/home

남는 공간 대부분

/swap

RAM 크기 1~2배 (최소 2GB 이상) | 권장 4G

/var

5GB 이상

/tmp

최소 1~2GB, 권장 tmp 4G

🔲 비밀번호 설정

비밀번호를 설정하면서 설치가 진행됩니다. ROOT 비밀번호 설정 및 일반 유저 생성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건너뛰고 진행합니다.

CentOS 7_비밀번호 설정_1
CentOS 7_비밀번호 설정_2_ROOT 비밀번호 설정
CentOS 7_비밀번호 설정_3
CentOS 7_비밀번호 설정_4_설치 완료 재부팅

✅ 설치 완료

CentOS 7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로그인 후 네트워크 설정을 잡아 줍니다.

CentOS 7_설치 완료_1

공유기 설정으로 바로 잡히지 않을 경우 ip link set enp0s3 up 명령어로 활성화를 진행합니다.

 [root@localhost ~]# ip link set enp0s3 up
[root@localhost ~]# ip a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enp0s3: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pfifo_fast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08:00:27:58:dd:09 brd ff:ff:ff:ff:ff:ff
    inet 192.168.0.24/24 brd 192.168.0.255 scope global dynamic enp0s3
       valid_lft 7026sec preferred_lft 7026sec
[root@localhost ~]# 

고정 IP는 nmtui 등의 명령어로 설정합니다.

Similar Posts

  • opcache 설치 및 설정

    목차✅ CentOS 7 설치 진행🔲 KDUMP 설정🔲 파티션 설정🔲 비밀번호 설정✅ 설치 완료▧ opcache 설치 및 설정 opcache 설치 및 설정’ 방법에 대해 …OS : CentOS7php 7.4opcache는 php 엑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다. 리눅스 서버의 공유된 메모리에서 php 문서 해석 시간을 줄여 서버의 응답 속도 및 부하를 줄여 성능을 향상 시킨다. Ⅰ. opcache 설치…

  • [Ubuntu] 우분투 방화벽 UFW 설정

    우분투 설치 후 기본 방화벽은 UFW(Uncomplicated Firewall)입니다. iptables의 방화벽 설정보다 간소하게 개발된 ufw는 IPv4 또는 IPv6 호스트 기반 방화벽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우분투 방화벽의 사용 목적입니다. 목차✅ CentOS 7 설치 진행🔲 KDUMP 설정🔲 파티션 설정🔲 비밀번호 설정✅ 설치 완료 Ⅰ. 기본 구문 ✅ UFW 활성화 / 비활성화 / 상태 확인 🔲…

  • HTTP 상태 코드 표 [100~500] 정리

    HTTP 상태 코드는 운영 중인 서버의 오류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HTTP는 HTML,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하는 것이 아닌 이미지, 동영상, JavaScript 등의 다양한 파일을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목차✅ CentOS…

  • [Linux] 리눅스 vi 명령어 정리 | Vim 3가지 모드 및 비주얼 모드

    리눅스 터미널에서 ‘.txt’, ‘.conf’ 등의 ASCII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vi 편집기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vi 편집기는 명령모드 입력모드와 저장 및 종료 후 치환하는 리눅스 vi 명령어는 익숙해지면 매우 빠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CentOS 7 설치 진행🔲 KDUMP 설정🔲 파티션 설정🔲 비밀번호 설정✅ 설치 완료 Ⅰ. vi vim 명령어…

  • 리눅스: lrzsz 툴 설치 및 파일 업로드(rz) 및 다운로드(sz) 사용하기

    리눅스 OS에서 rz와 sz를 이용한 각각의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 lrzsz가 서버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lrzsz 툴 설치 후 rz와 sz는 ZMODEM/YMODEM/XMODEM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서 파일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Xshell을 사용해서 lrzszs 툴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목차✅ CentOS 7 설치 진행🔲 KDUMP 설정🔲 파티션 설정🔲 비밀번호 설정✅ 설치 완료 lrzsz 툴 설치 CentOS,…

  • 리눅스 chage 명령어

    리눅스 chage 명령어는 change age의 줄임 말로 사용자 계정의 만료 및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관리 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과 목적은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최소 사용 기간 설정, 계정의 비활성화 날짜 설정 등이 있습니다. 목차✅ CentOS 7 설치 진행🔲 KDUMP 설정🔲 파티션 설정🔲 비밀번호 설정✅ 설치 완료✅ chage 명령어 옵션 ✅ chag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3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