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ifcfg: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이더넷) | CentOS 7 ver.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레드헷 계열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구성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파일에서 설정합니다. ifcfg(interface configuration)“이더넷” 장치를 어떻게 네트워크에 연결할지 설정하는 게 ifcfg-* 파일의 목적입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물리적 또는 가상 장치입니다. 유선(이더넷 카드), 무선(Wi-Fi 어댑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리눅스에서는 eth0, wlan0, enp0s3 등 이름으로 식별하며 고유하게 관리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 되어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 ifcfg 파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레드헷 계열의 리눅스 설치 후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이더넷 장치 이름]은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넷마스크, 게이트웨이, 부팅 시 자동 활성화 여부 등을 설정합니다.

CentOS7 네트워크 설정 경로_ifcfg(인터페이스 구성 파일)

CentOS 7에서는 enp0s3이 이더넷 장치 이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fcfg-enp0s3 파일을 열었을 때의 기본 설정입니다.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dhcp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p0s3
UUID=3fc4d12e-8776-4682-b20a-e2b7c1c75f2f
DEVICE=enp0s3
ONBOOT=no

🔲 ifcfg-enp0s3 수정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static # 고정 IP 설정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p0s3
UUID=3fc4d12e-8776-4682-b20a-e2b7c1c75f2f
DEVICE=enp0s3

ONBOOT=yes     # 부팅 시 인터페이스 활성화
IPADDR=192.168.45.49 # 고정 IP 주소 추가
NETMASK=255.255.255.0 # 서브넷 마스크 추가
GATEWAY=192.168.45.1 #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추가
DNS1=8.8.8.8 # DNS 서버 주소 추가 (선택사항)
DNS2=8.8.4.4 # 보조 DNS 서버 주소 추가 (선택사항)

설정 적용 후 재부팅 네트워크 재시작 명령어로 다른 세션에서 터미널 재접속을 하여 바로 확인합니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 설정 예: 서브넷 마스크 설정

고정 IP와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가 각각 있는데 서브넷마스크를 확인 후 적용해야 하는 경우

321.211.33.241/27
321.211.33.225

321.211.33.241 고정 IP 및 27의 서브넷이 있으며, 게이트웨이 주소는 321.211.33.225로 확인됩니다.

서브넷 마스크를 구하기 위해

32비트 중 상위 27이 네트워크 ID이며, 나머지 5비트는 호스트 ID → 2⁵ = 32개 단위 서브넷으로 나뉩니다.

블록 번호

IP 범위

1

0 ~ 31

2

32 ~ 63

3

64 ~ 95

4

96 ~ 127

5

128 ~ 159

6

160 ~ 191

7

192 ~ 223

8

224 ~ 255 ✅

옥텟 기준으로 32개 단위 서브넷으로 IP 범위를 나누고 241은 8번째 블록에 속하게 됩니다.

  • IP 범위는 224 ~ 255 (32개 IP)
  • 네트워크 주소는 321.211.33.224
  •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255
네트워크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 라우터가 사용할 수 없는 IP

◻️ 네트워크 주소: 블록의 시작 IP
네트워크 주소는 “이 서브넷은 어디서 시작하는가”를 나타냅니다.
◻️ 브로드캐스트 주소: 블록의 끝 IP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이 서브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에 메시지를 보낼 때” 쓰입니다.
→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같은 네트워크(서브넷)에 속한 모든 장비(호스트)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특수한 IP 주소입니다.
◻️ 호스트 주소: 시작+1 ~ 끝−1
→ 시작 + 1 = 225
→ 끝 − 1 = 254
→ 즉, 225 ~ 254 → 실제 기기들이 사용할 수 있는 IP

서브넷 마스크는 0부터 255 사이 값이 오며, 네트워크 ID는 네트워크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 라우터가 사용할 수 없는 IP 호스트 ID는 224입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24]가 됩니다.

서브넷 마스크까지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이더넷)이 완료 되었습니다.

321.211.33.241/27
321.211.33.225 

NETMASK=255.255.255.224 # 서브넷 마스크
ONBOOT=yes
IPADDR=321.211.33.241
NETMASK=255.255.255.0
GATEWAY=321.211.33.225
DNS1=8.8.8.8
DNS2=8.8.4.4
서브넷 계산기 Ver 1.0
IP 주소 (예: 192.168.1.0)
서브넷 마스크 비트 (/CIDR)
리눅스 기초(The Linux Foundation)

Similar Posts

  •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사용 방법과 옵션

    리눅스 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번에 종료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kill과 killall은 단순 종료가 아닌 프로세스에 지정한 시그널(Signal)을 보내는 명령어로 시그널에서 액션이 종료일 때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목차✅ ifcfg 파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ifcfg-enp0s3 수정✅ 설정 예: 서브넷 마스크 설정✅ 리눅스 killall 명령어 설치 대부분의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killall 명령어가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 셔뱅(Shebang) [#! /bin/bash]

    shebang (셔뱅 또는 해시뱅)은 스크립트 파일의 첫 줄에 쓰이는 #!(해시 기호 + 느낌표)로 시작하는 구문입니다. 이 줄은 해당 스크립트를 어떤 인터프리터로 실행 할지를 지정합니다. 인터프리터(interpreter)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한 줄씩 읽고 즉시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는 “작성된 명령을 번역해서 곧바로 실행해주는 번역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ASCII 텍스트 파일로 작성된 셸 스크립트에서 해시…

  • 리눅스 명령어 13가지 카테고리 분류&시스템의 이해

    리눅스의 명령줄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 CLI)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텍스트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다. 리눅스 명령어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어서 거의 동일하게 작동하며, 명령어를 입력해서 파일의 생성, 수정, 복사 이동 및 서버 전반에 걸친 관리를 하게 됩니다. 명령어를 카테고리로 분류하지만 틀릴 수 있는 점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ifcfg 파일: 네트워크…

  • nslookup 명령어

    nslookup 명령어는 네임 서버 조회(Name Server Lookup)를 뜻하는 명령어로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DNS(Domain Name System)에 질의 후 대상 도메인의 IP 주소나 DNS 레코드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명령어입니다. DNS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통해 정상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할 때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보통 맥 OS 및…

  • 리눅스 YUM 개념과 기본 명령어

    YUM(Yellow dog Updater, Modified)은 레드햇(RPM)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설치 및 관리 도구입니다. 기존의 RPM 방식은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 문제로 사용자가 필요한 도구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YUM은 이러한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 주며, 필요한 패키지와 관련된 의존 패키지를 함께 설치하여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의존성이 존재할 때 관련된 다른 패키지들을 자동으로…

  • 셸 스크립트: 변수(variable)와 상수(constant)

    셸 스크립트에서 변수란 단어가 가진 의미는 변할 수 있는( variable) 값이다. 또 상당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변수가 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상수(constant)는 이름이 정의되고 값이 지정된다는 점은 변수와 같다. 하지만 그 값은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쉘은 변수와 상수를 따로 구분하지 않는데 용어를 구분하는 이유는 쉘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목차✅ ifcfg 파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4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