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localectl 명령어

CentOS 7 버전부터 많은 명령어들이 통합되어 제공됩니다. 로케일 및 키보드 관련 부문은 localectl 명령어에서 제공합니다.

locale은 원래 지역이나 장소를 의미하지만, IT 환경에서는 언어 및 지역 설정을 지칭합니다.

리눅스에서는 문자 인코딩, 언어, 날짜/시간, 숫자 등의 지역화 설정을 locale 문자열로 정의합니다. 대부분의 유닉스 및 리눅스 배포판은 POSIX 기반이며, 이는 Red Hat 및 Debian 계열도 포함됩니다.

✅ locale 명령어

기본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로케일 값을 보여 줍니다.

기본 명령어 입력 시 언어와 문자셋 관련 항목은 LANG 변수입니다.

 ~]# locale
LANG=en_US.UTF-8
LC_CTYPE="en_US.UTF-8"
LC_NUMERIC="en_US.UTF-8"
LC_TIME="en_US.UTF-8"
LC_COLLATE="en_US.UTF-8"
LC_MONETARY="en_US.UTF-8"
LC_MESSAGES="en_US.UTF-8"
LC_PAPER="en_US.UTF-8"
LC_NAME="en_US.UTF-8"
LC_ADDRESS="en_US.UTF-8"
LC_TELEPHONE="en_US.UTF-8"
LC_MEASUREMENT="en_US.UTF-8"
LC_IDENTIFICATION="en_US.UTF-8"
LC_ALL=
항목설명
LANG전체 로케일의 기본값. 개별 LC_로 설정되지 않은 항목에 사용됨.
LC_CTYPE문자의 분류(알파벳, 숫자 등) 및 대소문자 변환 규칙을 정의함.
LC_NUMERIC숫자 표현 방식(소수점 기호, 천 단위 구분자 등)을 설정함.
LC_TIME날짜 및 시간의 형식(예: 월/일/연도 순서, 요일 이름 등)을 설정함.
LC_COLLATE문자열 정렬 순서를 정의함. (예: 사전순 정렬 방식)
LC_MONETARY통화 표시 형식(통화 기호 위치, 소수점 자리 등)을 설정함.
LC_MESSAGES시스템 메시지의 언어를 설정함. (예: 오류 메시지 등)
LC_PAPER용지 크기 설정 (예: A4, Letter 등)
LC_NAME사람 이름의 형식(예: 성, 이름 순서 등)을 설정함.
LC_ADDRESS주소 형식(예: 국가, 지역, 우편번호 순서 등)을 설정함.
LC_TELEPHONE전화번호 형식(예: 국가 코드, 지역번호 등)을 설정함.
LC_MEASUREMENT단위계 설정 (미터법/야드파운드법)
LC_IDENTIFICATION로케일 정보의 식별자 (로케일 이름, 작성자 등 메타 정보)
LC_ALL모든 LC_* 항목에 대한 일괄 설정값. 일반적으로 비워 두거나 수동 설정.
 ~]# echo $LANG
en_US.UTF-8

en은 언어, US는 국가(지역), UTF-8은 문자 인코딩을 의미합니다.

Linux Locale 의미

🔲 시스템에 설치 된 locale 보기: -a

시스템에 설치 된 모든 로케일 항목을 보여줍니다.

 ~]# locale -a
C
C.utf8
en_AG
en_AU
en_AU.utf8
en_BW
en_BW.utf8
...

✅ localectl 명령어: 시스템 Lacale 확인

localectl 명령어 실행 결과입니다. locaelctl status 실행 결과 역시 동일하게 나옵니다.

 ~]# localectl
System Locale: LANG=en_US.UTF-8   
    VC Keymap: (unset)         
   X11 Layout: (unset)         
 ~]# 

구분

설명

System Locale

현재 설정된 로케일

VC Keymap

가상 콘솔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배열 설정

X11 Layout

Xwindows에서 사용되는 키보드 레이아웃

🔲 localectl 명령어 옵션

명령어

설명

status

현재 로케일 및 키보드 설정 확인

set-locale LANG=ko_KR.UTF-8

시스템 로케일 설정 변경

set-keymap us

콘솔 키보드 레이아웃 US로 설정

set-keymap ko

콘솔 키보드 레이아웃 KO로 설정

set-x11-keymap us

X11 키보드 레이아웃 US로 설정

set-x11-keymap kr

X11 키보드 레이아웃 KR로 설정

list-locales

설치된 로케일 목록 보기

list-keymaps

사용 가능한 키보드 맵 목록 보기

🔲 설정 가능한 로케일 출력

[Linux] localectl 명령어

🔲 로케일 설정

export LANG=ko_KR.UTF-8는 Shell 세션에만 임시 적용하는 설정입니다. 서버 시스템에 영구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Failed to issue method call: Locale ko_KR.UTF-8 not installed, refusing.

Alma Linux 9.4 서버에서 ko_KR.UTF-8 로케일이 설치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확인했습니다.

locale -a

ko_KR.UTF-8 로케일이 없다는 걸 재 확인 후

dnf install glibc-langpack-ko
glibc-langpack-ko 언어팩 설치
 ~]# locale -a | grep ko_KR
ko_KR.euckr
ko_KR.utf8
 ~]#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 locale
LANG=en_US.UTF-8
LC_CTYPE="en_US.UTF-8"
LC_NUMERIC="en_US.UTF-8"
LC_TIME="en_US.UTF-8"
LC_COLLATE="en_US.UTF-8"
LC_MONETARY="en_US.UTF-8"
LC_MESSAGES="en_US.UTF-8"
LC_PAPER="en_US.UTF-8"
LC_NAME="en_US.UTF-8"
LC_ADDRESS="en_US.UTF-8"
LC_TELEPHONE="en_US.UTF-8"
LC_MEASUREMENT="en_US.UTF-8"
LC_IDENTIFICATION="en_US.UTF-8"
LC_ALL=
 ~]# localectl status
System Locale: LANG=ko_KR.UTF-8
    VC Keymap: (unset)         
   X11 Layout: (unset)         
 

시스템에서는 적용되어 있지만 SSH에서는 적용이 바로 안되어, SSH를 다시 접속하면 로케일이 적용된 걸 확인 했습니다. 바로 적용하려면 source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cat /etc/locale.conf 
LANG=ko_KR.UTF-8
 ~]# source /etc/locale.conf # 또는 localectl set-locale로 locale.conf 반영

🔲 /etc/locale.conf

locale.conf는 눅스 시스템에서 시스템 전체의 로케일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설정 파일입니다.

파일명

용도

/etc/locale.conf

시스템 전체 로케일 설정 파일

~/.bashrc, ~/.profile

쉘 환경 설정 파일(로그인 세션 시작 파일 위치)
EX) export LANG=ko_KR.UTF-8

Similar Posts

  • 리눅스 tar 명령어: 파일 압축, 해제

    리눅스 tar 명령어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해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웹사이트의 이전 등에 mysqldump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테이프 아카이버(Tape Archiver)의 앞 글자를 따서 ta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목차✅ locale 명령어🔲 시스템에 설치 된 locale 보기: -a✅ localectl 명령어: 시스템 Lacale 확인🔲 localectl 명령어 옵션🔲 설정 가능한 로케일 출력🔲 로케일…

  • SSH 명령어: 옵션 및 사용 방법

    리눅스에서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원격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이며, 주로 원격 접속, 파일 전송, 그리고 터널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한 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터널링 기능: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 리눅스 history 명령어

    리눅스 history 명령어는 이전에 명령어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리눅스 콘솔에 접속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history만 입력해서 많이 사용하지만 보다 더 다양한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locale 명령어🔲 시스템에 설치 된 locale 보기: -a✅ localectl 명령어: 시스템 Lacale 확인🔲 localectl 명령어 옵션🔲 설정 가능한 로케일 출력🔲 로케일 설정🔲…

  • 리눅스 host 명령어 | DNS 조회 명령어

    host 명령어는 DNS(Domain Name System) 조회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매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목차✅ locale 명령어🔲 시스템에 설치 된 locale 보기: -a✅ localectl 명령어: 시스템 Lacale 확인🔲 localectl 명령어…

  • du 명령어: 파일 디스크 용량 확인

    du 명령어는 disk usage의 줄임말로 파일과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locale 명령어🔲 시스템에 설치 된 locale 보기: -a✅ localectl 명령어: 시스템 Lacale 확인🔲 localectl 명령어 옵션🔲 설정 가능한 로케일 출력🔲 로케일 설정🔲 /etc/locale.conf✅ du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경로 없이 실행 시 현재 디렉토리(.) 및 하위 k 바이트 단위로 표시됩니다….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locale 명령어🔲 시스템에 설치 된 locale 보기: -a✅ localectl 명령어: 시스템 Lacale 확인🔲 localectl 명령어 옵션🔲 설정 가능한 로케일 출력🔲 로케일 설정🔲 /etc/locale.conf✅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5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