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tat 명령어 : 파일&파일 시스템 확인

리눅스 stat 명령어는 파일 및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

✅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stat -옵션 파일(디렉토리)

✅ 명령어 옵션

옵션

설명

(옵션 없음)

기본 정보 출력 (파일 이름, 크기, 접근권한, 수정시간 등)

-c 또는 –format

사용자 지정 형식으로 출력

-f

파일의 시스템 정보 출력

-t

간단한 출력 (탭으로 구분된 값들)

–printf

포맷 문자열로 출력 (세밀한 제어 가능)

-L 또는 –dereference

심볼릭 링크가 가리키는 대상 파일 정보 출력

–version

stat 버전 정보 출력

–help

사용 가능한 옵션 및 도움말 출력

✅사용 예시

stat 명령어(기본)

항목

설명

Access

마지막으로 읽은 시간

Modify

파일 내용이 바뀐 시간

Change

메타데이터(권한, 소유자 등)가 바뀐 시간

Birth

파일이 생성된 시간

🔲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stat 명령어 -f 옵션_파일 시스템 정보 출력

항목

설명

File

검사한 파일 이름

ID

파일 시스템 ID

Namelen

파일 이름의 최대 길이 (보통 255)

Type

파일 시스템 종류 (예: xfs, ext4 등)

Block size

파일 시스템의 블록 크기

Fundamental block size

입출력에 사용하는 기본 블록 크기

Blocks: Total / Free / Available

전체 / 사용 가능 / 비어 있는 블록 수

Inodes: Total / Free

전체 / 남은 inode 수


Similar Posts

  • 리눅스 which whereis locate: 3가지 위치(경로) 확인 명령어

    리눅스 which와 whereis 명령어 명령어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명령어는 find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을 찾을 수 있지만 find 명령어는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locate 명령어는 파일명을 빠르게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기본 명령어 3가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명령어 옵션✅사용 예시🔲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 리눅스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와 하드 링크(Hard Link)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프트 링크 or 심링크로도 불리며, 하나의 파일에 여러 이름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목차✅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명령어 옵션✅사용 예시🔲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 명령어 [-s 옵션]은 Symbolic Link를 만들어 주는 옵션이며 [-s 옵션]이 빠지게…

  • 리눅스 mkdir 명령어 | Linux 디렉토리 생성하기

    리눅스 mkdir 명령어는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리눅스에서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명령어 옵션✅사용 예시🔲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리눅스 mkdir 명령어 기본 사용법 경로 미 지정 시 현재 위치에서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mkdir 명령어 옵션 설명 -m 디렉토리 생성 시 권한(퍼미션) 설정(기본 값: 755) -v 디렉토리 생성 후…

  • 리눅스 touch 명령어

    touch 명령어는 파일의 날짜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무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파일의 최근 사용 시간, 변경 시간이 서버의 현재 시간으로 변경됩니다. 파일이 없는 파일명을 입력할 경우 새로운 크기가 0인 빈 파일이 생성됩니다. 목차✅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명령어 옵션✅사용 예시🔲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touch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리눅스 백그라운드(Back Ground)&포그라운드(Fore Ground): 프로세스 제어하기

    리눅스의 프로세스는 백그라운드(Back Ground)와 포그라운드(Fore Ground) 두 가지의 모드로 작동됩니다. 리눅스 백그라운드 작업을 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쉘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목차✅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명령어 옵션✅사용 예시🔲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 리눅스 포그라운드(Fore Ground)란? 터미널에 직접 연결되어 터미널과 입출력을…

  • 리눅스: useradd 명령어 & passwd 명령어

    userad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자의 ID(계정)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root 권한으로 생성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목차✅ stat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명령어 옵션✅사용 예시🔲 파일 시스템의 정보 출력: -f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 리눅스 useradd 사용 예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예입니다. 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 계정 생성 시 설정 값이 정의되는 /etc/skel 데릭토리는 사용자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10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