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과 MariaDB 차이점

MySQL과 MariaDB는 둘 다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행과 열이 있는 테이블(표)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수 많은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MySQL은 1994년에 개발을 시작해 2010년에 선마이크로시스템에 인수되었으며, 같은 해 선마이크로시스템이 오라클에 인수되면서 오라클의 서비스가 되었습니다.

MySQL

현재 MySQL은 교육용과 개인에게는 무료(오픈 소스)로 제공되고 있지만 상업용으로 사용할 경우 라이선스를 구매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다중 사용자와 다중 스레드 지원 및  C/C++, Java 등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다양한 API를 제공합니다.

MySQL

MariaDB: 오픈 소스

‘마리아 DB’는 MySQL을 대안으로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입니다. 2009년 MySQL이 오라클에 인수되는 해 마리아 DB를 생각하게 되었으며, 오픈 소스로 유지되도록 보증하고 있습니다.

마리아 DB는 MySQL의 주요 개발자이자 몬티 프로그램 AB를 설립한 몬티 와이드니어스(Michael “Monty” Widenius)가 만든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입니다. 마리아 DB는 몬티 와이드니어스의 둘째 딸인 마리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이 데이터베이스는 MySQL의 오픈 소스 버전을 기반으로 하며, 성능 향상과 확장성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마리아디비(MariaDB) 로고
  • 스폰서
  • amazon, Acronis, Alibaba Cloud, ServiceNow, Constructor, WebPros, DBS, IBM, IONOS. Cyber ​​Leo 등
  • https://www.automattic.com: WordPress.com, WooCommerce, Jetpack, Simplenote, Longreads, VaultPress, Akismet, Gravatar, Crowdsignal, Cloudup, Tumblr 등을 지원하는 분산 회사

mariadb vs mysql 비교표

라이센스 및 결론

비용 부담 없이 상용으로 사용한다면 앞서 설명한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리아DB를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두 개의 DBMS 모두 꾸준한 버전 업데이트로 현재는 속도와 같은 성능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 주요 의견이기도 합니다.

표준 SQL과 기업의 SQL 교집합

Similar Posts

  • [DBMS] MariaDB cnf 파일 설정

    DBMS인 MariaDB를 설치하면 MariaDB cnf 파일 설정을 하게 되는데 MySQL MariaDB 환경설정 파일 mycnf는 /etc/my.cnf 경로에 있으며, /etc/my.cnf.d/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설정이 기본으로 잡혀 있습니다. 11.3 버전 설치 시 화면입니다. 목차MySQLMariaDB: 오픈 소스mariadb vs mysql 비교표라이센스 및 결론 ✅ MariaDB cnf 파일 구성: /etc/my.cnf.d 디렉토리 /etc/my.cnf.d 디렉토리 내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riaDB Client와…

  • MariaDB 서버 접속 오류: Can’t Connect to Server on

    DB 잡업을 위해 서버에 접속하려고 할 때 Can’t Connect to Server on이란 메시지를 확인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ySQL/MariaDB 서버 접속 오류의 원인과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60 10061과 같은 오류는 원격 접속을 할 때 발생하며, 크게 네트워크 방화벽, 서버 방화벽, 그리고 DB 접속 허용 여부에 따라 적용됩니다. 목차MySQLMariaDB: 오픈 소스mariadb vs mysql…

  • SQL: 테이블 구조, 쿼리(Query), 저장 프로시저(3가지 분류)

    목차MySQLMariaDB: 오픈 소스mariadb vs mysql 비교표라이센스 및 결론✅ SQL이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구조화된 질의 언어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조적 쿼리 언어(SQL)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를 표 형식으로 저장하며, 행과 열은 다양한 데이터 속성과 데이터 값 간의 다양한 관계를 나타냅니다. ✅ SQL 시스템의 구성 요소 SQL 시스템은…

  • DB Query | SQL Statement(SQL 문) | 쿼리문 | 기본 문법

    DB QuerySQL Statement(SQL 문)는 MySQL, MariaDB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에서 사용되며, MySQL Query, SQL 명령어, SQL 쿼리, Mysql 명령어 등 다양한 형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쿼리문은 명령의 역할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합니다. 업무를 보면서 당장에 인식하고 사용하지 않더라도 차츰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차MySQLMariaDB: 오픈 소스mariadb vs mysql…

  • phpMyAdmin 설치 및 취약점

    리눅스 서버에 MySQL 또는 MariaDB, PostgreSQL 설치 후 좀 더 편리한 DB 관리를 위해 phpMyAdmin 설치 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인 phpMyAdmin 설치와 취약점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MySQLMariaDB: 오픈 소스mariadb vs mysql 비교표라이센스 및 결론phpMyAdmin 설치 방법 RedHat 기반의 OS 버전인 RockyLinux 및 AlmaLinux에서의 설치가 가능하며, AlmaLinux 9.3에서 설치를 진행했습니다. PHP 7.1…

  • |

    MariaDB: Slow Query Log 설정

    MariaDB에서 Slow Query Log 설정을 할 경우 Mariadb 10.2 버전부터 etc/my.cnf.d/ 폴더안에 mysql-clients.cnf 및 server.cnf 파일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mysql 이라도 폴더를 확인한 후에 설정 내역에 따라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먼저 etc/my.cnf.d/server.cnf 파일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Slow Query Slow Query는 수행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쿼리입니다. 응답 시간이 길어질 경우 서비스의 품질이…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