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오라클 인스턴스 서버 생성이 되었다면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을 진행 해 보겠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의 고정 아이피는 미리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1. 오라클 클라우드 콘솔에 회원 가입 및 VM 인스턴스가 세팅되어 있다면, 콘솔에 접속 후 좌측 상단 [햄버거] 메뉴 클릭 후 > [네트워킹] > [DNS 관리] 순서로 접속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 오라클 클라우드-네트워킹_DNS 관리

2. [DNS 관리] 영역에서 우측의 [영역 관리]로 접속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DNS 관리_영역관리

3. [영역 생성] 버튼을 누릅니다.

오라클 클라우드-DNS 관리_영역관리_영역 생성 버튼

4.1 영역 이름을 입력해 줍니다. 전 참고로 연결할 도메인 이름을 기재했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DNS 관리_영역관리_영역 생성_공용 영역 생성

4.2 영역 생성이 완료 되었다면 [리소스] 하위 카테고리인 [레코드]를 클릭해서 레코드 관리로 접속합니다. 네임서버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CI: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4.3 [레코드] 관리로 접속한 화면입니다.

오라클 클라우드-DNS 관리_영역_메인페이지

4.4 [레코드 추가]를 진행할 때 [DNS 관리]에서 생성된 [영역]이 활성화 되었습니다. 이제 [레코드 관리] 페이지에서 [레코드 추가]를 진행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DNS 관리_레코드 관리_레코드 추가

4.5 이제 레코드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저는 도메인이 서버에 연결 될 A레코드를 설정했으며, 레코드 정보에 이름에는 www.domain.com, 메인 도메인 설정이라면 비워둔 상태로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Address(주소)]에는 인스턴스의 IP 주소를 입력해 주고 [레코드 추가] 버튼을 눌러 줍니다.

OCI-DNS 관리_A레코드 추가하기

4.6 레코드 추가 후에 마지막으로 적용을 위해 좌측 하단의 [변경사항 게시]를 눌러서 진행 해 줍니다.

OCI-DNS 관리_A레코드 추가 후_변경사항 게시 |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 도메인의 네임서버 OCI로 변경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컴퓨트 인스턴스에 도메인을 연결하기 위한 과정은 모두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제 도메인을 구매한 업체에서 네임서버만 OCI 네임서버로 변경하면 됩니다. 저는 네임칩에서 도메인을 구매했기 때문에 네임칩에서 네임서버를 변경했습니다.

네임칩 네임서버 변경하기(OCI DNS 관리의 네임서버)

네임서버 변경까지 진행되면서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이 완료 되었습니다.

Similar Posts

  • Oracle VM VirtualBox: 다운로드 및 설치

    목차✅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도메인의 네임서버 OCI로 변경1. Oracle VM VirtualBox란? Oracle VM VirtualBox는 기업 및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x86 및 AMD64/Intel64 가상화 제품입니다. VirtualBox는 기업 고객을 위한 기능이 매우 풍부한 고성능 제품일 뿐만 아니라 GNU General Public License(GPL) 버전 3의 조건에 따라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무료로 사용할 수…

  • 오픈스택(OpenStack)이란?

    OpenStack(오픈스택)은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하고, 정의하고, 활용하기 외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로써 비영리 단체인 오픈인프라스트럭처재단(OIF)(구:오픈스택 재단)에서 운영 중이며, 아파치 라이선스에서 배포됩니다. 2010년 오픈스택 재단은 AWS의 폐쇄성에 대항하는 오픈소스 laaS 오픈스택 프로젝트를 관리합니다. 목차✅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도메인의 네임서버 OCI로 변경 OpenStack 정의 OpenStack은 AWS, Oracle Cloud,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수…

  • Ubuntu Server Rsync 작업_SSH 방식(LightSail)

    새로 만든 Ubuntu 서버에서 Rsync를 활용해 현재 운영 중인 Alma Linux 서버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작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기존 LightSail의 스냅샷만 사용하기에는 웹 사이트 데이터의 실시간 복구가 힘들고, 실시간 복구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되기에 Rsync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동일한 Alma Linux보다 거의 사용하지 않았던 Ubuntu를 써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판단되어 Rsync 작업 서버는…

  • Ceph란?

    목차✅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도메인의 네임서버 OCI로 변경 ✅ Ceph의 기본 개념 Ceph는 분산형 스토리지 시스템이며, 여러 개의 스토리지를 클러스터로 묶어 데이터를 블록으로 관리하는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구현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Ceph는 오징어나 문어 등이 포함된 두족류 동물을 뜻 하는 cephalopod의 줄임말이며 세프로 읽습니다. 세프를 사용하는 이유는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하여 정보의…

  • 가상 머신(VM)과 하이퍼바이저 2가지 유형과 종류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이란 물리적 하드웨어 시스템에 자체 CPU,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스토리지를 만들어 가상 컴퓨터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환경을 뜻 합니다. 가상 머신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에서 각각 다른 자체 ‘운영 체제(OS)’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운영할 수 있습니다. 목차✅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도메인의 네임서버 OCI로 변경 1. 가상 머신을 사용하는 이유 VM을…

  • [AWS] EC2에 EBS 볼륨 추가 방법

    AWS의 EC2에 추가 스토리지가 필요한 경우 EBS 볼륨 추가를 진행하게 됩니다. EBSElastic Block Store는 AWS에서 제공되는 용량에 스토리지 용량을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고 영구적인 데이터 또는 추가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EBS는 원하는 크기 및 성능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할 때 삭제가 가능합니다. 목차✅ 오라클 클라우드 도메인 연결 방법✅ 도메인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2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