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텨야 합니다. 실력 좋은 투자 애널리스트(투자가)가 되기 위해서는 이코노미스트(경제학자)로서도 일류가 되어야 합니다.
  • 메리츠증권 배당 및 기업분석

    메리츠증권은 금융주 중에서도 대표적인 배당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리츠증권 배당금은 2020년 12월 기준 320원으로 배당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1. 메리츠증권 배당금과 배당 성향 메리츠증권 배당금은 2020년 사업보고서 항목 배당에 관한 사항에서도 꾸준한 배당 성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분 2020년 2019년 2018년 (연결)현금배당성향(%) 39.89 24.73 32.55 주당 현금배당금(원) 320원 200원 200원 현금배당수익률(%) 8.3…

  •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A(총자산이익률) 2가지 이익률 지표

    ‘ROE와 ROA‘ 중에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은 기업의 자기 자본을 이용해서 얼마 만큼의 당기순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1. ROE (자기자본이익률) 회사의 시가 총액이 100억 원이라 하더라도 ‘자기자본이익률‘과 무관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의 계산은 회사의 자산과 부채를 뺀 순수한 자본에 대한 값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시가총액=현재의 주가가 아닌) 총 자본금(자본총계)이 10억 원인 회사에서 1억 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했다면,…

  •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전자공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찾는 법‘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업의 전자공시를 확인할 수 있는 DART  사이트는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 된 기업들의 재무에 관한 사항을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주식 투자자에게 있어 중요한 정보를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구글에서 전자공시 또는 다트를 입력하면…

  • 외감법과 분식회계

    1. 외감법(외부감사법) ‘외감법’ 이란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으로 외부감사법의 줄임 말입니다. (2020년부터 유한회사도 적용되며, 구글 코리아(유) 등 외국 기업도 공시 의무가 추가됩니다.) 외부감사법에 해당하는 법인은 외부의 공인 회계사에게 외부 감사를 받고 감사 보고서를 공시해야 합니다.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외부감사법’의 정의는 간략히 다음과 같습니다. 독립된 외부의 회계사가 외부 감사를 함으로써 회계처리의…

  • PBR과 BPS의 정의: 주가순자산비율과 주당순자산

    ‘PBR과 BPS의 정의‘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BR: 주가순자산 비율 ‘PBR‘이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rice to Book Ratio : 주가 순자산 비율) PER 및 ROE와 함께 많이 보는 주식 지표입니다. 주가 순자산 비율 = 현재주가 ÷ 주당 순자산(BPS) PBR (주가 순자산 비율)은 현재주가 ÷ BPS(주당 순자산) 풀어서 현재의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비율로써 현재의 주가가 낮거나…

  • 상장폐지와 관리종목 지정

    1. 상장폐지 ‘상장폐지와 관리종목 지정‘ 된 주식이 내가 투자하는 주식에 포함되어 있다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상장폐지(delisting)는 코스피, 코스닥 등에 상장(다른 단어로 기업공개[IPO:Initial Public Offering]가 있다) 된 증권이 유가증권으로써 적격성을 상실하여 상장 자격이 취소되는 것을 말한다. 상장폐지 조건에 부합할 경우 상장폐지 전에 먼저 관리 종목으로 지정된다. 2. 관리종목 지정 관리종목 지정 후 해결이 되지…

  • PER과 EPS의 정의

    PER EPS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ER이란?  ‘PER’ 은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을 의미하며, 현재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PBR 및 ROE와 함께 많이 보는 주식투자지표 중 하나입니다.  PER(주가수익비율) = 현재 주가 ÷ 주당순이익(EPS) 보통 PER은 낮을 수록 좋습니다. 이유는 PER (주가수익비율)은 쉽게 말해서 내가 투자한 금액을 몇 년 안에 회수할 수 있는지…

End of content

End of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