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스키마 마크업과 리치 스니펫이란? | Schema 유형 16가지

ℹ️이 콘텐츠에는 광고가 포함되어,판매 발생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네이버 쇼핑 커넥트, 아마존 어필리에이트, 애드센스 등)

리치 스니펫의 형태로 스키마 마크업을 사용하는 웹사이트가 늘어 났습니다. 아래는 Rich Snippets이 SERP에서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예시입니다.

스키마 마크업을 통한 리치 스니펫

이번 페이지에서는 Schema가 무엇인지, 스키마 활용 방법과 리치 스니펫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1. 스키마 마크업이란?

스키마 마크업(Schema Markup)은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이해하고 SERP(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에 반영할 수 있도록 사이트의 HTML에 추가할 수 있는 표준화 된 어휘입니다.

스키마 마크업 설정돤 화면

2. 리치 스니펫이란?

그럼 리치 스니펫(Rich Snippets)이란 무엇일까요? Rich Snippets은 구조회된 데이터(스키마)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활용하여 마크업 한 웹사이트의 결과인 SERP 기능 입니다. 현재 천만 개가 넘는 웹사이트가 Schema.org를 사용하여 Google, Microsoft, Yahoo 및 Yandex가 원래 설립한 웹페이지마크업을 추가했습니다 .

리치 스니펫은 검색 엔진에서 더 많은 트래픽과 관심을 유도하는 평점, 이미지, 가격 등 웹페이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표시하는 구글의 검색 결과 유형입니다. 구조화 된 Schema Markup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3. Schema Markup 이점

Schema Markup은 일반 검색 결과보다 클릭률이 더 높은 리치 스니펫(특수 SERP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 사이트의 더 많은 트래픽을 얻을 수 있습니다. Schema를 사용할 가치는 입증되었습니다.

스키마 마크업은 차후 음성 인식 검색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Alexa, Google Assistant, Siri 등)

4. Schema Markup 유형

4.1 스키마 유형

Article(기사) Schema 유형은 일반 Article과 블로그, 뉴스 기사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Article의 경우 제품을 검토하거나 레시피에 대해 작성하는 기사를 작성한다면, 레시피 스키마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게시물인 경우 Article 유형을 블로그 게시물로 설정합니다. 게시물이 뉴스 웹사이트 기사인 경우 뉴스 기사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google News 조건에 부합한다면 구글 뉴스에 등록될 수 있습니다.

FAQ Schema Markup은 ‘자주 묻는 질문 목록과 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페이지입니다.

SERP-추천 스니펫과 일반검색&FAQ

사실 확인 스키마 유형은 글에서 주장한 내용, 주장한 사람, 주장의 진실성에 대한 세부정보와 함께 Google 검색에서 볼 수 있습니다.

‘냉장고 성애 제거 방법’이나 ‘주방 타일을 바르는 방법’ 등과 같은 단계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Schema입니다. 방법의 각 단계를 순서대로 작성해서 HowTo 데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가능한 데이터 및 데이터 카탈로그 등의 Schema입니다.

Person(사람) 즉, 특정 인물에 대한 Markup입니다. 예를 들어 스티븐 잡스와 같은 유명인에 대해 글을 쓸 때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름, 생년월일 등의 정보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음악 관련 콘텐츠에 대한 Schema 입니다. MusicGroup과 MusicAlbum으로 나뉩니다.

레스토랑dml 이름 및 주소, 메뉴 및 예약 옵션과 같은 정보를 제공(소개)하여 검색 엔진에서 매장을 더 쉽게 찾을 수 있게 하는 Schema입니다.

집 청소 서비스, 수리 및 교체, 인테리어 디자인 등 잠재고객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비스 전용 웹페이지가 있는 경우 서비스 스키마 유형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구글 예약 등)

4.2 등급 스키마 유형

모든 종류의 책에 대한 Schema가 생성됩니다. 검색 엔진이 책에 대한 유형의 Schema를 지원합니다.

book 스키마 검색 결과

웹사이트에 영화 관련 콘텐츠가 포함된 게시물이나 페이지가 있는 경우 검색자가 검색 엔진에서 제목, 감독, 이미지 등과 같은 영화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영화 스키마 유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에 ‘영화 캐러셀 리치 스니펫’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게 유리한 제품 스키마 유형입니다. 두 가지 주요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에도 제품 사용 후기 등이 되겠습니다.

  • 단일 제품을 설명하는 제품 페이지
  • 단일 제품을 나열하는 종합 쇼핑 페이지

온라인 교육 코스 등에 대한 리뷰를 작성하거나 판매하려는 경우 코스 스키마 유형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레시피 글을 작성해서 레시피 스키마 유형 형식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등급, 요리 및 준비 시간, 영양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유저에게 제공합니다.

웹사이트에 공개 이벤트에 대한 콘텐츠가 포함된 게시물이나 페이지가 있는 경우 이벤트 스키마 유형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웹사이트에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게시물 또는 페이지 형식의 콘텐츠가 있는 경우 소프트웨어 앱 스키마 유형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각종 무료 및 유료 앱 등을 사용한 후기 등을 작성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양한 Schema Type과 리치 스니펫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종류 별로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SEO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Similar Posts

  • 글로벌 SEO 비교 사이트 4군데

    글로벌 SEO 비교 사이트를 찾고 있다면 SimilarWeb, Ahrefs SEMrush, Moz와 같은 인기있는 웹사이트를 추천합니다. 이 사이트들은 트래픽 및 키워드 순위 정보를 제공하여 전 세계적인 SEO 분석을 가능케 합니다. 이 중에서 웹사이트 순위 정보도 제공하는 사이트는 SimilarWeb, Alexa, SEMrush와 같은 사이트들입니다. 이러한 사이트들은 글로벌 SEO 분석에 도움이 되는 강력한 도구로, 인기와 신뢰성이 높습니다. 목차1….

  • [MS 365] 아웃룩 검색 방법 및 검색 오류 해결

    아웃룩 검색 기능은 메일을 보낸 사람, 내용, 아웃룩 작업과 일정 등 다양한 항목을 찾을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아웃룩 검색 방법은 [Ctrl+E] 단축키로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항목을 찾을 수 있습니다. 검색하는 키워드는 단어 외에도 문구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목차1. 스키마 마크업이란?2. 리치 스니펫이란?3. Schema Markup 이점4. Schema Markup 유형4.1 스키마 유형4.2 등급 스키마 유형1….

  • [SEO]구글 판다(Google Panda)

    구글 판다(Google Panda) 알고리즘은 2011년 2월에 출시된 구글의 검색 순위 결정 알고리즘입니다. 판다의 초기 출시 후 영어 검색 결과에 12%의 영향력을 주었던 판다의 목적은 “낮은 품질의 사이트” 및 “빈약한 콘텐츠의 사이트”의 순위를 낮추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또한 다수의 프리렌서 작가를 고용하거나 자동화 된 도구를 이용해서 검색 알고리즘을 충족해서 웹 콘텐츠를 생성하는 회사의 순위를 낮추는…

  • 네임칩 도메인 구매 및 연결 절차와 환불 정책

    도메인 등록 기관인 네임칩(Namecheap)은 .com 도메인을 신규 등록 시 $7.98, 연장 시 $13.98에 제공하고 있어 매우 합리적인 가격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네임칩 도메인 구매 방법과 환불 정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규 구매 시 대부분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규 구매: $7.98 = 10,161.57 갱신 가격: $13.98 = 17,801.85 목차1. 스키마 마크업이란?2. 리치 스니펫이란?3….

  • [Chrome] 크롬 개발자도구 기능 개요

    크롬 개발자도구의 주요 기능은 웹 개발자가 웹사이트의 코드 테스트 및 디버그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파이어폭스,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크롬 등 웹 브라우저에는 크롬처럼 ‘웹 개발 도구(Web development tools)’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크롬 개발자도구 기능은 개발자에게 유용한 도구임이 분명합니다. ‘devtools‘이라는 줄임말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디버그(debug) 디버깅 or 디버그는 컴퓨터 프래그램 개발 중 발생하는 시스템의 버그를…

  •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란 무엇인가?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 Native AD)는 해당 웹사이트에 맞춰 고유한 방식으로 기획 및 제작된 광고를 말 합니다. 기존의 광고는 이용자의 관심을 끌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목차1. 스키마 마크업이란?2. 리치 스니펫이란?3. Schema Markup 이점4. Schema Markup 유형4.1 스키마 유형4.2 등급 스키마 유형 ✅ 네이티브 광고의 정의 및 특징 배너 광고 또는 디스플레이 광고와 달리 N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