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파일 기능 및 설정

SSH(Secure Shell)은 리눅스 원격 컴퓨터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보안 셸이란 이름처럼 기존 텔넷에서 업그레이드 된 보안 접속 시스템입니다. 기본적인 보안 기능 외에도 추가로 SSH 설정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SSH를 사용하면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무단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안전한 원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SH는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하게 연결되며, 패스워드 인증 뿐만 아니라 키 기반 인증도 지원합니다.

리눅스-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 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SSH 데몬 설정은 주로 /etc/ssh/sshd_config 파일에서 설정하게 되며 포트 번호 변경, 특정 사용자에게만 슈퍼 유저 관한 부여, root로 로그인 차단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vi /etc/ssh/sshd_config

SSH 기본 포트 번호는 22번으로 규약되어 있지만 서버의 보안을 위해 임의의 포트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데몬 재시작 및 서버에 설정된 iptables 또는 FirewallD 방화벽 설정에 맞게 포트 설정을 같이 진행해 줍니다.

#Port 22
Port 1131 

보안을 위해 SSH 접속 시 root 로그인 차단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38~40 번 째 정도 되는 줄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석 처리 또는 yes로 설정되어 있는 부분을 [PermitRootLogin no]로 변경 해 줍니다.

# PermitRootLogin yes
PermitRootLogin no

✅ SSH 데몬 명령어

sshd_config 파일의 내용 수정 후 systemctl 또는 service 명령어로 데몬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ssh 재시작
systemctl restart sshd.service
# ssh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sshd.service
# 서비스로 상태 확인
service sshd.service status
 구글링  직접 테스트한 결과 SSH 데몬 중지  접속한 상태의 계정은 서비스가 차단되지 않습니다.
systemctl stop sshd.service
systemctl start sshd.service
 당연히 정지 상태에서 다른 콘솔 창을 열어 접속  접속이 되지 않으니 정지 명령은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리눅스(Linux)

Similar Posts

  • FTP 평가: vsftpd vs proftpd 차이점

    FTP는 파일을 광범위하게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vsftpd 및 proftpd는 FTP 프로그램은 원격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엑세스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서버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vsftpd vs proftpd’ 둘 중에 어떤 것이 더 적합할지 알아 보겠습니다. 목차✅ 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SSH 데몬 명령어 Vsftpd 개요 Vsftpd(Very Secure FTP Daemon)는 빠른 파일 전송…

  • [Ubuntu] 우분투 방화벽 UFW 설정

    우분투 설치 후 기본 방화벽은 UFW(Uncomplicated Firewall)입니다. iptables의 방화벽 설정보다 간소하게 개발된 ufw는 IPv4 또는 IPv6 호스트 기반 방화벽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우분투 방화벽의 사용 목적입니다. 목차✅ 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SSH 데몬 명령어 Ⅰ. 기본 구문 ✅ UFW 활성화 / 비활성화 / 상태 확인 🔲 활성화 🔲 상태 확인 활성화…

  •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 장치 파일(Device File) | /dev 디렉토리

    리눅스는 모든 것을 파일로 관리합니다. 리눅스에는 장치 파일(Device File)은 여러 프로그램에서 시스템에 설치된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파일입니다.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필수 요구 사항입니다. 리눅스 시스템이 마우스 장치 파일을 참조해서 마우스의 조작을 하게 하거나 프린트의 출력 등을 담당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주로 스토리지를 마운트 하는데 많이 사용된다고 할…

  • iptables 개념과 설치 | iptables 명령어

    iptables는 netfilter.org에서  C언어로 만들어진 패킷 필터링이며 무료 방화벽 서비스입니다. 리눅스 방화벽의 기본 정책은 필요한 것을 제외한 모든 패킷에 대해 거부하는 것이 방화벽의 기본 정책입니다. 기본 설치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룰 설정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SSH 설정 – /etc/ssh/sshd_config✅ SSH 데몬 명령어 Ⅰ. iptables 용어와 기본 iptables에서는 체인[Chain]이라고 불리는 규칙[Rule]으로 패킷 필터링[Packet…

  • 리눅스 head 명령어 & tail 명령어

    리눅스 head 명령어는 파일의 처음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옵션 없이 사용할 경우 각각의 머리와 꼬리 부분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와 tail 명령어는 보통 서버의 access_log를 볼 때 주로 많이 사용됩니다. 두 명령어의 사용법과 테스트 서버에서 access_log를 각각의 명령어를 통해 확인 해 보겠습니다. 목차✅ SSH…

  • 리눅스 YUM 개념과 기본 명령어

    YUM(Yellow dog Updater, Modified)은 레드햇(RPM) 계열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설치 및 관리 도구입니다. 기존의 RPM 방식은 패키지 설치 시 의존성 문제로 사용자가 필요한 도구를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YUM은 이러한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 주며, 필요한 패키지와 관련된 의존 패키지를 함께 설치하여 오류를 최소화합니다. 의존성이 존재할 때 관련된 다른 패키지들을 자동으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9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