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useradd 명령어 & passwd 명령어

  •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시스템 관리 명령어인 useradd 와 비밀번호 생성 명령어인 passwd
  • 시스템 관리 명령어

useradd 명령어리눅스에서 사용자의 ID(계정)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root 권한으로 생성이 가능하며 기본적인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useradd [사용자 계정 이름]
useradd [-옵션] [사용자 계정 이름]

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

리눅스 useradd 사용 예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예입니다.

  • testuser 계정 생성
useradd testuser
  • testuser 계정 생성하면서 경로 및 nobody 그룹에 지정함
    • /home/home1/testuser 디렉토리와 nobody 그룹이 먼저 생성되어 있어야 함.
# 디렉토리 지정 & 그룹 nobody로 지정
useradd  testuser -d /home/testuser -g nobody
  • /etc/default/useradd 경로의 파일은 사용자 생성 시 기본으로 적용되는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useradd -D 명령어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useradd -D
# useradd defaults file
GROUP=100
HOME=/home
INACTIVE=-1
EXPIRE=
SHELL=/bin/bash
SKEL=/etc/skel
CREATE_MAIL_SPOOL=yes

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

계정 생성 시 설정 값이 정의되는 /etc/skel 데릭토리는 사용자를 생성 했을 때 해당 계정의 홈 디렉토리에 기본으로 들어가는 파일이 있습니다.

~]# ll -a /etc/skel
-rw-r--r--.   1 root root   18 Jan 23  2023 .bash_logout
-rw-r--r--.   1 root root  141 Jan 23  2023 .bash_profile
-rw-r--r--.   1 root root  492 Jan 23  2023 .bashrc

/etc/skel 설정은 /etc/default/useradd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vi /etc/default/useradd

#useradd defaults file
GROUP=100
HOME=/home/www
INACTIVE=-1
EXPIRE=
SHELL=/bin/bash
SKEL=/etc/skel
CREATE_MAIL_SPOOL=yes

리눅스 /etc/passwd

adduser로 생성된 계정은 /etc/passwd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 /etc/passwd
useradd 명령어로 생성된 계정은 etcpasswd에서 확인 가능

passwd 명령어

useradd로 계정 생성 후 비밀번호 생성을 진행하게 됩니다. passwd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sswd [사용자 계정 이름]
## Ex 
pssswd testuser
Changing password for user testuser.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 옵션 사용
passwd [-옵션] [사용자 계정 이름]
pssswd testuser

passwd 옵션

Similar Posts

  • [Linux] lsof 명령어: 실행 중 파일 정보 출력

    lsof 명령어는 lisf open files의 약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파일의 정보를 출력해 주는 명령어입니다. lsof 명령어는 파일을 포함하여 디렉터리, 네트워크 소켓, 파이프 등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다양한 리소스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 lsof 명령어 기본 구문 명령어만 입력 했을 때는…

  • 리눅스 cd 명령어

    cd 명령어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현재 위치)를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cd 명령어 기본 사용 방법 ✅ 사용 예시 cd 명령은 절대 경로(/부터 시작)를 기입해서 이동하는 방식과 상대 경로(. 및 ..)를 이용해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나뉩니다.

  • 리눅스 chage 명령어

    리눅스 chage 명령어는 change age의 줄임 말로 사용자 계정의 만료 및 비밀번호 만료 설정을 관리 할 때 사용합니다. 주요 기능과 목적은 비밀번호 만료일 설정, 비밀번호 최소 사용 기간 설정, 계정의 비활성화 날짜 설정 등이 있습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chage 명령어 옵션 ✅ chage 명령어…

  • 리눅스 uniq 명령어

    리눅스 uniq 명령어는 “unique”의 약자이며, 텍스트 파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하나의 행만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중복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거하고 몇 번의 반복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리눅스 uniq 명령어 기본 사용법 INPUT 파일은 대상 파일로써 표준 입력에서…

  • 리눅스 dd 명령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dd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의 복사, 이미지 파일 생성, 디스크 작업 등 주로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dd 명령어 기본 사용 및 옵션 기본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nv 옵션 ✅ dd 명령어 사용 예…

  • 리눅스 백그라운드(Back Ground)&포그라운드(Fore Ground): 프로세스 제어하기

    리눅스의 프로세스는 백그라운드(Back Ground)와 포그라운드(Fore Ground) 두 가지의 모드로 작동됩니다. 리눅스 백그라운드 작업을 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쉘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목차리눅스 useradd 명령어 옵션리눅스 useradd 사용 예리눅스 /etc/skel 디렉토리리눅스 /etc/passwdpasswd 명령어passwd 옵션✅ 리눅스 포그라운드(Fore Ground)란? 터미널에 직접 연결되어 터미널과 입출력을 진행하는 프로세스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Prove your humanity: 7   +   8   =